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민국의 종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한민국의 종교(religion in South Korea)는 비교적 다양하며, 특히 무종교의 비중이 절반에 달하는 세속주의 성향이 강하다. 대한민국 헌법에서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여러 조사에 의하면 약 절반의 인구는 특정한 종교에 소속하여 있지 않으며 나머지 인구는 대부분 기독교불교를 믿고 기독교 인구의 약 2/3은 개신교, 1/3은 천주교에 속한다. 약 1%의 인구는 원불교, 유교, 천도교, 대순진리회, 이슬람교 등의 여러 소수 종교를 믿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은 남북 모두 근현대에 들어 종교관에 큰 변화를 겪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건국 이후 기독교의 빠른 확산이 눈에 띄었다. 최근에는 젊은 인구층에서 종교를 믿지 않는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였는데, 2012년 갤럽의 조사에 의하면 그 중 스스로를 무신론자로 여기는 사람의 비율은 약 15%였다.[1]

한국의 문화와 종교관은 전반적으로 조선시대 동안 지배적이었던 성리학과 오랜 기간 이어져온 토착 신앙인 샤머니즘(무속신앙)의 영향을 받았다.[2]

Remove ads

인구 통계







종교 인구 현황 2023[3]

  무종교(52%)
  기독교(32%)
  불교(14%)
  기타(2%)
자세한 정보 대한민국 종교 인구 통계 1985년~2015년, 전체 국민 비율 % ...

연도별 종교 소속(1950–2015)

연령별 종교 소속(2015)

성별별 종교 소속(2015)

종교 인구 및 종교 활동 현황(2023)

2023년 종교인구 비율은 개신교 20%, 불교 17%, 천주교 11%, 종교 없음 51%였다.[4]

Remove ads

역사

주요 종교

토착 종교

기타 종교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