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민국 육군의 여단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보병
- 제501보병여단; 1981년 10월 15일, 창설
- 제503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제1경비단; 1996년 12월 17일, 창설
- 제2경비단
- 제3경비단
- 세종시 경비단
기계화 보병
수기사 예하의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은 대한민국 육군이 최초로 창설한 기갑 연대였던 전통을 살리기 위해 기갑 명칭을 가진다. 각 제대는 보병 연대에서 기계화보병으로 전환될 시에 연대 호칭에서 여단 호칭으로 바뀌게 된다. (수도사단 1보병연대 ->(기계화보병)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8사단 예하)
- 제1기계화보병여단 (수기사 예하)
- 제9기계화보병여단 (11사단 예하)
- 제13기계화보병여단 (11사단 예하)
- 제16기계화보병여단 (수기사 예하)
- 제26기계화보병여단 (수기사 예하)
- 제61기계화보병여단 (11사단 예하)
- 제60기계화보병여단 (8사단 예하)
- 제73기계화보병여단 (8사단 예하)
- 제90기계화보병여단 (30사단 예하)
- 제91기계화보병여단 (30사단 예하)
- 제92기계화보병여단 (30사단 예하)
Remove ads
특수부대
특수전
특수임무
특공대
- 제201특공여단 "황금독수리"; 1984년, 창설
- 제203특공여단 "용호"; 1984년, 창설
- 제205특공여단 "백호"; 1984년 ~ 2008년 12월 1일
기갑
포병
- 수도포병여단; 1974년
- 제1포병여단; 1953년 2월 16일, 창설
- 제2포병여단; 1953년 2월 16일, 창설
- 제3포병여단; 1953년 4월 13일, 창설
- 제5포병여단; 1953년 5월 1일, 창설
- 제6포병여단; 1954년 5월 1일, 창설
- 제7포병여단;
- 제1포병단
- 제2포병단
- 제3포병단
- 제5포병단
- 제6포병단
- 제7포병단
- 제8포병단
- 제9포병단
- 제11포병단
- 제12포병단
공병
- 제1101공병단
- 제1107공병단
- 제1113공병단
- 제1115공병단
- 제1116공병단
- 제1117공병단
- 제1118공병단
- 제1120공병단
- 제1170공병단
- 제1173공병단
- 제1175공병단
군사경찰
- 수도방위사령부 군사경찰단
- 수도군단 군사경찰단
- 제1군단 군사경찰단
- 제2군단 군사경찰단
- 제3군단 군사경찰단
- 제5군단 군사경찰단
통신
- 정보통신여단; 2019년 1월 1일, 창설
- 제11정보통신단; 2018년 12월 31일, 정보통신여단으로 병합됨.
- 제12정보통신단
- 제13정보통신단; 2018년 12월 31일, 정보통신여단으로 병합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106정보통신단
- 제107정보통신단
- 제108정보통신단
- 제122정보통신단
방공
- 제1방공여단; 1986년 12월 1일, 창설.
- 제11방공단 (제1군단)
- 제15방공단 (제5군단)
항공
군수
- 제1군수지원여단; 2018년 12월 31일, 제3군수지원사령부를 재편성.
- 제2군수지원여단; 2017년 12월 1일, 창설.[1]
- 제3군수지원여단; 2017년 12월 1일, 창설.[1]
- 제5군수지원여단; 2018년 12월 31일, 제2군수지원사령부를 재편성.
- 수도군수지원단; 2019년 12월 31일, 창설
- 제6군수지원단; 2019년 12월 31일, 창설
- 제7군수지원단; 2019년 12월 31일, 창설
- 제8군수지원단; 2019년 12월 31일, 창설
- 제51군수지원단 "비봉"; 1971년 1월 1일, 창설
- 제52군수지원단 "쌍봉"
- 제53군수지원단 "일벌"
- 동해안군수지원단
교육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