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민국 제12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

역대 22번째로 시행된 대한민국 국회의장 선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제12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1987년 5월 12일 실시되었다.

간략 정보 재적 국회의원 수 274명 당선을 위해 138표 필요, 투표율 ...

선거 결과 6선의 이재형 민주정의당 의원이 국회의장에, 재선의 장성만 민주정의당 의원이 국회부의장에 선출되었다.

국회법상 국회부의장은 두 명을 선출해야 했으나, 통일민주당과 신한민주당은 4·13 호헌 조치, 범양 사건 조사특위 구성 거부 등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국회부의장 후보 불추천 및 원 구성 보이콧을 선언하였다. 결국 5월 12일 열린 본회의에서 국회는 국회의장과 민주정의당 몫 국회부의장의 선거만 실시하였으며, 국회의장에 재선된 이재형 의장은 당선 인사에서 "의석의 1/3 가량이 원 구성에 불참한 채로 의장 선거를 하고 본인이 당선된 심정은 혼인 잔치에 사돈집에서 거의 안 온 것 같은 심정"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후 여당은 국회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 야당에서 속히 국회부의장 후보를 공천해줄 것을 요구하였으나, 야당이 끝까지 거부하여 제12대 국회의 야당 몫 국회부의장 자리는 임기가 끝날 때까지 공석으로 남고 말았다.

당시 정당별 국회 의석 수는 민주정의당 147석, 통일민주당 67석, 신한민주당 28석, 한국국민당 21석, 민주한국당 3석, 무소속 8석이었다.[1] 그 중 통일민주당과 신한민주당은 4·13 호헌 조치 등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본회의에 불참하여, 민주정의당 의원 145명, 한국국민당 의원 20명, 민주한국당 의원 3명, 무소속 의원 2명 등 170명만이 모여 선거를 치르게 되었다.[2]

Remove ads

선거 제도

국회의장 및 국회부의장은 국회의원들의 무기명 투표로 선출하되 만약 1차 투표 결과 재적 의원의 과반을 득표한 자가 없으면 2차 투표를 실시하고, 2차 투표에서도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시 최고득표자와 차점자에 대하여 3차 결선 투표를 실시하되 이 경우 단순 다수 득표자를 당선자로 하도록 되어있었다.

후보

국회의장 후보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은 5월 11일 이재형 국회의장을 국회의장 후보로 재지명하였다.[3]

국회부의장 후보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은 5월 11일 장성만 당 정책위원회 의장을 국회부의장 후보로 지명하였다.[3]

통일민주당

남은 한 곳의 국회부의장은 관례상 제1야당인 통일민주당이 차지하는 것이 맞았으나, 통일민주당은 여당의 독선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국회부의장 후보를 내지 않고 의장단 선거에 불참하기로 하였다.[4]

기타

통일민주당이 국회부의장 후보를 내지 않자 제2야당 신한민주당과 제3야당 한국국민당은 독자적으로 국회부의장 후보를 낼 것을 고려하였으나, 통일민주당에 야당으로서의 선명성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우려와 괜히 1985년 국회부의장 보궐선거 때처럼 야권이 분열하는 모습을 보여선 안 된다는 여론이 우세해 두 당 모두 후보를 내지 않기로 결정하였다.[4][5]

Remove ads

선거 결과

국회의장 선거

전국구의 이재형 민주정의당 의원이 당선되었다.

자세한 정보 후보, 소속 ...

민주정의당 몫 국회부의장 선거

부산직할시 북구 지역구의 장성만 민주정의당 의원이 당선되었다.

자세한 정보 후보, 소속 ...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