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더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더더(THETHE)는 1997년 결성 이후 한국 모던록 장르의 변주와 확장을 꾸준히 주도해 온 밴드로, 대중성과 예술성을 모두 경험한 드문 록 밴드로 평가된다. 결성 초기부터 정교한 기타 중심 사운드와 감성적 멜로디를 핵심으로 삼았으며, 시대 변화에 따라 팝 감각, 모던록의 현대적 표현, 록 밴드의 정통적 요소를 유연하게 흡수하며 독자적 작법을 구축해 왔다.

간략 정보 더더(THETHE), 기본 정보 ...

음악적 성향

더더의 음악은 록을 중심축으로 두지만 팝의 구조적 안정성과 현대적 감각을 자연스럽게 결합해 곡마다 상이한 색채를 만들어내는 유연성이 특징이다. 멜로디 라인은 비교적 선형적이며, 리프 중심의 기타 편곡과 안정된 베이스·드럼 섹션이 어우러져 곡의 중심을 잡는다. 각 보컬리스트의 시기마다 앨범의 인상과 완성도가 크게 달라졌다는 점은, 더더가 보컬을 단순한 프런트 역할이 아니라 ‘앨범의 미학적 방향’을 결정하는 요소로 사용해 왔다는 점을 보여준다.

초기 활동(1997~1999)

보컬 박혜경이 참여한 1·2집은 한국 모던록의 대중적 확장기에 등장해 Delight, 내게 다시, It’s You 등 당시 감성적 록 사운드의 대표곡을 만들어냈다. 이 시기의 음악은 대중성, 라디오 친화성, 정제된 기타 사운드를 동시에 확보하며 1990년대 후반 한국 모던록의 가장 넓은 청중 기반을 형성했다.

한희정 시기(2001~2003)

3·4집에선 밴드의 방향성이 보다 예술적이고 서정적 성향으로 이동한다. 한희정의 보컬은 공간감 있는 모던록 사운드와 높은 호응도를 보였고, 4집은 2004년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음반을 수상하며 밴드의 미학적 정점으로 기록되었다. 이 시기 작품은 대중적 임팩트보다 음악적 서사와 감성 구조를 강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2004~2011년의 변주

5집과 6집은 명인희를 중심으로 감성적 록의 확장판을 보여주었고, EP 참여의 이혜주, 7집의 양송현 등은 더더가 각 보컬의 개성에 맞춰 앨범의 음악적 방향을 정교하게 조율해 왔음을 드러냈다. 보컬 변화는 단순한 교체가 아니라 매 앨범마다 다른 음악적 정체성을 실험하는 장치로 작동했다.

이현영 합류 이후(2012~현재)

2015년 8집 이후 이현영이 밴드의 중심 보컬리스트로 자리하며 더더의 사운드는 현대적 록의 질감을 기반으로 재정립된다. 이현영의 보컬은 명료한 발성, 넓은 다이내믹, 강한 표현력을 갖추고 있어, 곡마다 감정 구조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는 폭넓은 음악적 해석을 가능하게 했다. 이 시기 작품들은 도시적 질감의 모던록과 팝적 구성미를 조합하며 밴드의 사운드를 세련되게 재구성했다.

최근 작업과 10집 THE MAST

2022년 EP Dramatic Irony를 통해 밴드는 밴드의 역사적 색채를 응축한 선공개 곡들과 함께 새로운 질감을 쌓아갔다. 이후 빙글뱅글을 비롯한 싱글과 리와인드 프로젝트가 이어지며 사운드 다듬기가 완성되었고, 2025년 발매된 정규 10집 The Mast는 더더의 긴 음악적 역사를 현대적 록 사운드로 집약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정교한 기타 리프, 단단한 리듬 섹션, 현대적인 믹싱 감각, 그리고 이현영의 강한 보컬 해석이 결합해 더더의 기존 음악성과 새로운 시대적 감각을 동시에 보여준다.

한국 모던록 씬 내 위치

더더는 한국 모던록의 계보에서 ‘대중성과 예술성을 모두 경험한 밴드’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 1990년대 후반: 모던록의 대중적 확장을 견인한 선도적 밴드
  • 2000년대 초·중반: 감성적 모던록의 미학을 정립
  • 2010년대 이후: 록의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팝·현대 사운드를 결합해 현재형 밴드로 재정의

이러한 흐름은 더더를 단순히 장수한 팀이 아니라, 세대 간 감각의 전환을 지속적으로 견디며 발전해온 사례로 만든다. 특히 4집의 음악상 수상은 당시 한국 모던록 씬에서 더더가 단순한 히트 밴드를 넘어 ‘음악적 미학을 갖춘 밴드’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점이다. 이후 10집까지 이어진 작업은 한국 록 밴드가 긴 시간 동안 어떻게 사운드를 갱신하며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실질적 사례로 평가된다.

현재 라인업

보컬 이현영

기타·프로듀서 김영준

베이스 정명성

드럼 노윤영

평가

더더는 한국 모던록 장르의 변화 흐름에서 핵심적인 이정표를 남겨왔다. 대중성과 서정성을 동시에 지닌 초기작부터 음악적 탐구를 강조한 중기, 그리고 현대적 록 사운드를 확립한 현재에 이르기까지, 더더의 작업은 단일한 브랜드가 아니라 ‘시대마다 새롭게 해석되는 록 밴드’라는 특성을 강화해 왔다. 이들은 모던록 씬에서 과거의 유산을 반복하지 않고 지속적인 재편과 확장을 통해 현재형 감각을 유지하는 대표적인 록 밴드로 평가된다.

Remove ads

구성원

이전 구성원

  • 김영준 : 기타, 보컬, (1997 ~ 현재) - 1집 ~ 현재
  • 박혜경 : 보컬, (1997 ~ 1999) - 1집, 2집
  • 한희정 : 보컬, (1999 ~ 2003) - 3집, 4집
  • 명인희 : 보컬, (2003 ~ 2009) - 5집, 6집
  • 이혜주 : 보컬, (2009) - 눈물이 흐르다 EP ALBUM 2009
  • 양송현 : 보컬, (2011) - 7집
  • 이창현 : 베이스, (2003 ~ 2008) - 4집, 5집, 6집
  • 김태종 : 드럼, (2003) - 4집
  • 조민혁 : 드럼, (2006 ~ 2008) - 5집, 6집
  • 박규석: 드럼, (2011 ~ 2017) - 7집, 8집
  • 라지웅 : 기타, (2015 ~ 2017) I STAY (SINGLE, 2015), 8집, 내 잘못이죠 (SINGLE, 2016)
  • 임한국 : 드럼, (2017 ~ 2023) 9집 참여, 주요 싱글 및 공연 투어 드러밍 담당
Remove ads

음반 목록

정규 음반

  1. The More The Better (1997) 1집
  2. The One And The Other (1998) 2집
  3. The Man In The Street (2001) 3집
  4. The The Band (2003) 4집
  5. The Music (2007) 5집
  6. Half The Time (2008) 6집
  7. How Many Time (2011) 7집
  8. Anybody Here (2015) 8집
  9. Have A Nice Day (2018) 9집
  10. Have A Nice Day (2019 Deluxe Edition) 9집
  11. THE MAST (2025) 10집

베스트 음반

  1. History Album (2005)

싱글, EP 음반

  1. (EP) 2006 NEW SINGLE
  2. (1ST SINGLE) 하나란 (영화 리틀러너)
  3. (2ND SINGLE) 여자이니까 (황혼의 사무라이 한국 프로모션)
  4. (EP) BRIDGE ALBUM, 2008
  5. (3RD SINGLE) 나는 락스타 (영화 미운오리새끼와 랫소의 모험), 2008
  6. (4TH SINGLE) I LOVE YOU MOVIE STAR (영화 캔디 - 히스레져), 2008
  7. (5TH SINGLE) 나쁜씨 (영화 리벤지 45), 2008
  8. (EP) I Am A Special Number, 2009
  9. (6TH SINGLE) IT`S HOT, 2009
  10. (EP) 눈물이 흐르다, 2009
  11. (7TH SINGLE) 못믿을 사람, 2011
  12. (8TH SINGLE) 사랑을 부르다, 2011
  13. (9TH SINGLE) I STAY, 2015
  14. (10TH SINGLE) 내 잘못이죠, 2016
  15. (11TH SINGLE) THE FIRST DAY OF FALL, 2017
  16. (12TH SINGLE) 9DAY, 2018
  17. (13TH SINGLE) 슬픔(Rewind), 2020
  18. (Compilation) Again103 Compilation Vol.1 BLACK HORSE, 2020
  19. (Compilation) Again103 Compilation Vol.1 I'M GONNA SHOW YOU CRAZY, 2020
  20. (14TH SINGLE) COLORS, 2020
  21. (15TH SINGLE) 백일몽 (DAYDREAMING), 2021
  22. (EP) DRAMATIC IRONY, 2022
  23. (16TH SINGLE) 빙글 뱅글, 2022
  24. (17TH SINGLE) 이대로, 2023
  25. (18TH SINGLE) 작은새 (Rewind), 2023
  26. (19TH SINGLE) 가리워진 꿈 (Rewind), 2024
  27. (20TH SINGLE) 으라차차 대한민국, 2024
  28. (21TH SINGLE) I`M GONNA MISS YOU (Rewind), 2025
Remove ads

수상

자세한 정보 연도, 시상식 ...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