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허위 언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허위 언어(虛僞言語, Spurious languages)는 권위 있는 저작에서 존재한다고 보고된 적이 있으나 다른 연구에서 그 실재가 의문스럽거나 존재하지 않는다고 반박된 언어를 말한다. 어떤 허위 언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다른 허위 언어들은 그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아주 적고, 후속 연구에서 부정된 것들이다. 그러나 연구의 부족으로 인해 아직도 존재 자체가 불확실한 허위 언어들이 많이 남아 있다.

의심스러운 언어

의심스러운 언어(Dubious languages)는 그 존재 여부가 불확실한 언어다. 다음의 언어들이 포함된다.

  • Oropom (우간다)
  • Nemadi (모리타니)
  • Rer Bare (에티오피아) – 실재했더라도 현재는 사멸
  • Tapeba (브라질) [tbb][1] – 최근에 공인된 토착 민족으로, 고유 언어가 없음
  • Ladakhi 수화 – 사용하는 집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2]

에스놀로그와 ISO 639-3에 따른 허위 언어

요약
관점

다음은 2006년 첫 표준 제정 이후로 삭제된 ISO 639-3 언어 코드의 목록이다. 그 이전의 자료는 에스놀로그(Ethnologue)에 포함되어 있다가 삭제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에스놀로그 12판 (1992)에서 삭제

  • Itaem (PNG) [ITM]
  • Marajona (Brazil) [MPQ]
  • Nemeyam (PNG) [NMY]
  • Nereyama, Nereyó (Brazil) [NRY]
  • Numbiaí (Orelha de Pau) [NUH]
  • Oganibi (PNG) [OGA]
  • Tijuana Sign Language (Mexico) [TJS] – 에스놀로그 1988년판에 다시 추가되었다가 1992년 삭제되었다. 이것이 실제로 존재했다는 증거는 없다.
  • Tyeliri Senoufo [TYE] – Tyeliri는 가죽 노동자들의 카스트 집단으로, 고유의 언어는 없다.
  • Wagumi [WGM]
  • Zanofil [ZNF] – 용콤어[yon]를 사용하는 민족의 이름이다.

에스놀로그 13판 (1996)에서 삭제

  • Bibasa (PNG) [BHE] – 12판에서는 "조사가 필요한 고립어"로 기술되어 있었다.

에스놀로그 14판 (2000)에서 삭제

  • Alak 2 [ALQ] – 한 단어 목록 일부에 잘못 표시된 라벨로 인한 것[3]
  • Dzorgai [DZI], Kortse [KBG], Pingfang [PFG], Thochu [TCJ], Lofuchai (Lophuchai) [LFU], Wagsod [WGS] – 창어군의 옛 이름인데, 개중 일부는 현재 인정되는 이름들과의 대응이 모호하다.
  • Hsifan [HSI] – 창어군 또는 자룽어군 언어를 쓰는 민족 집단의 이름
  • Scandinavian Pidgin Sign Language [SPF] – 단순한 언어간 접촉이며, 정립된 하나의 피진이 아님
  • Wutana (Nigeria) [WUW] – 민족명

에스놀로그 15판 (2005)에서 삭제

  • Jiji [JIJ][4]
  • Kalanke [CKN][5]
  • Lewada-Dewara [LWD], incl. Balamula/Mataru[6]
  • Lowland Semang [ORB][7] – 단 윌라어(Wila')와 같이 ISO 코드가 없는 다른 언어 중 Lowland Semang으로 불리는 것이 있다.
  • Mutús [MUF][8] – Adelaar (2005) 등은 실존했다고 추정한다.
  • Nchinchege [NCQ][9]
  • Nkwak [NKQ][10]탄지질리어(Tanjijili)와 같은 대상이거나, Kwak(2015년 삭제)의 다른 이름
  • Oso (Southern Fungom) [OSO] – Fungom 및 Bum과 구분되는 언어라는 증거가 없다.[11]
  • Rungi [RUR][12]
  • Wamsak [WBD][13]

2007년 삭제

  • Miarrã [xmi] – 문증되지 않음[14][15]
  • Atuence [atf] – 더친의 옛 이름[16]
  • Amapá Creole [amd][17]

2008년 삭제

  • Amikoana (Amikuân) [akn][18]
  • Land Dayak [dyk] – 단일 언어가 아닌 언어군의 이름[19]
  • Ware [wre][20] – 탄자니아의 SIL팀 조사에서 이 언어가 사용된 증거를 찾지 못하여 삭제되었다. 그러나 Maho (2009)에서는 사멸한 언어로 간주한다.
  • Bahau River Kenyah [bwv], Kayan River Kenyah [knh], Mahakam Kenyah [xkm], Upper Baram Kenyah [ubm] – 현재 용어로는 Mainstream Kenyah [xkl] 또는 Uma' Lung [ulu]
  • Amerax [aex] – 감옥 은어
  • Garreh-Ajuran [ggh] – 단일 언어가 아니라, 각각 보라나어와 소말리어를 쓰는 밀접하게 연관된 두 집단을 가라킨다.
  • Sufrai [suf] – Tarpia와 Kaptiau라는 2개의 서로 다른 언어[21]

2009년 삭제

  • Aariya [aay]
  • Papavô [ppv] – 복수의 미접촉 부족을 가리키던 이름
  • Europanto [eur] – 진지하지 않은 인공 언어

2010년 삭제

  • Chimakum [cmk] – 체마쿰어(Chemakum) [xch]의 중복
  • Beti (Cameroon) [btb] – 집합 이름

2011년 삭제

  • Ayi (China) [ayx]
  • Dhanwar (India) [dha]
  • Mahei [mja]

2012년 삭제

  • Palu [pbz]
  • Pongyong [pgy]
  • Elpaputih [elp] – 실존하는 2가지 언어를 모두 가리킬 수 있는 이름
  • Wirangu-Nauo [wiw] – 하나로 묶을 수 없는 2개의 방언[22]

2013년 삭제

  • Malakhel [mld] – 오르무리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
  • Forest Maninka [myq] – 포괄적인 지칭

2014년 삭제

  • Gugu Mini [ggm] – 포괄적인 지칭
  • Maskoy Pidgin [mhh] – 존재한 적이 없음
  • Emok [emo] – 존재한 적이 없음
  • Yugh [yuu] – 유그어(Yug) [yug]의 중복
  • Lamam [lmm] – 로맘어(Romam) [rmx]의 중복

2015년 삭제

  • Mator-Taygi-Karagas [ymt] – 마토르어(Mator)의 중복
  • Yiddish Sign Language [yds] – 존재했다는 증거가 없음[23]
  • The [thx] – 오이어(Oy)의 중복
  • Imraguen (Mauritania) [ime]
  • Borna (Eborna) [bxx] – 보마어(Boma, Eboma)의 오타로 추정됨[24]
  • Bemba [bmy] – 부족명
  • Songa [sgo] – 부족명
  • Daza [dzd] – 2015년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폐기되었으나 2023년 번복되어 [dzd]로 복구되었다.[25]
  • Buya [byy]
  • Kakauhua [kbf] – Kakauhua/Caucahue는 민족명으로서 그들의 언어는 문증된 적이 없다.(알라칼루프어족 참조)
  • Subi [xsj] – Shubi [suj]의 중복으로 추정되었으나, 2019년 번복되어 [xsj]로 복구되었다.k[26]
  • Yangho [ynh] – 존재하지 않음
  • ǂKxʼaoǁʼae ("=/Kx'au//'ein") [aue] – 주호안어(Juǀʼhoan) [ktz]의 방언[27]

2016년 삭제

  • Bhatola [btl]
  • Cagua [cbh]
  • Chipiajes [cbe] – 살리바족과히보족의 성씨
  • Coxima [kox]
  • Iapama [iap] – 미접촉 부족으로, 주변 언어 중 하나를 사용할 것으로 추정됨
  • Kabixí [xbx] – 파레시족(Paresi), 남비콰라족(Nambiquara), 또는 기타 적대적 집단을 가리키는 포괄적 명칭. 카비시어(Cabixi)가 그러한 사용의 일례이다.
  • Runa [rna]
  • Savara (Dravidian) [svr]
  • Xipináwa [xip] – 문증된 적이 없고, 구분되는 언어가 아니었을 수 있다.[28]
  • Yarí [yri] – 카리호나어(Carijona)의 방언[29]

또한 사멸했다고 주장된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의 몇몇 아라와크어족 언어들이 삭제되었다.

  • Cumeral [cum]
  • Omejes [ome]
  • Ponares [pod] – 살리바족의 성씨로, 아마 피아포코어(Piapoco)나 아차과어(Achagua)와 동일한 것이다.[30]
  • Tomedes a.k.a. Tamudes [toe]

이외에도 2016년에 삭제된 언어와 코드들이 있는데, 주로 존재했다는 증거가 부족한 데 따른 것이며 반드시 허위 언어라는 것은 아니다.

2017년 삭제

  • Lua' [prb][31]
  • Rennellese Sign Language [rsi] – 가정 수화(home sign) 체계로서, 정립된 언어가 아님[32]
  • Rien [rie][33]
  • Shinabo [snh][34]
  • Pu Ko [puk] – 이 언어가 존재했다는 실질적인 증거가 없다.

2018년 삭제

  • Lyons Sign Language [lsg][35] – 이 언어가 존재했다는 실질적인 증거가 없다.
  • Mediak [mwx][36]
  • Mosiro [mwy] – 씨족명[37]

2019년 삭제

  • Lui [lba][38]
  • Khlor [llo] – 크리앙어(Kriang)의 중복 [ngt][39]
  • Mina (India) [myi] – 인도의 부족이자 카스트인 미나족(Meena)을 가리킴[40]

2020년 삭제

2021년 삭제

  • Bikaru [bic] 비소리오어(Bisorio)의 질낮은 조사 자료에 의한 것이다.[53]

2022년 삭제

2023년 삭제

2024년 삭제

  • Mawa [wma] – 에스놀로그에 등재되어 있으나, SIL도 이 언어가 존재했다는 증거를 가지고 있지 않다.
  • Dek (Cameroon) [dek] 수마어(Suma) [sqm]의 중복
Remove ads

글로톨로그에 따른 허위 언어

요약
관점

라이프치히에 위치한 막스 플랑크 진화 인류학 연구소에서 관리하는 글로톨로그(Glottolog)는 ISO에서 폐기된 언어 외에도 몇몇 ISO 639 코드를 가진 언어들을 허위 언어 또는 문증되지 않은 언어(unattested language)로 분류한다.

자세한 정보 언어명, ISO 639-3 ...
Remove ads

참조 및 메모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