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다 격자는 1차원 입자들의 사슬로 구성된다. 각 입자의 위치를
라고 하자. 서로 이웃하는 두 입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다 격자는 플라슈카 변수(영어: Flaschka variable)을 사용하여 간단히 풀 수 있다.


그렇다면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럭스 쌍
가 존재한다. 이들은 힐베르트 공간
위의 선형작용소이다.


이들은 럭스 방정식
![{\displaystyle {\dot {L}}=[P,L]}](//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2bfd79f51472242798a0774fb4716379e0d2e7f)
을 만족시키므로, 도다 격자는 적분가능계이다. 도다 격자의 운동 상수들은
의 고윳값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