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도다 격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응집물질물리학에서 도다 격자(영어: Toda lattice)는 1차원 결정을 나타내는 모형이다. 적분가능계의 대표적인 예로, 솔리톤을 가진다.

역사

도다 모리카즈(일본어: 戸田 盛和)가 1967년 도입하였다.[1]

정의

요약
관점

도다 격자는 1차원 입자들의 사슬로 구성된다. 각 입자의 위치를 라고 하자. 서로 이웃하는 두 입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다 격자는 플라슈카 변수(영어: Flaschka variable)을 사용하여 간단히 풀 수 있다.

그렇다면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럭스 쌍 가 존재한다. 이들은 힐베르트 공간 위의 선형작용소이다.

이들은 럭스 방정식

을 만족시키므로, 도다 격자는 적분가능계이다. 도다 격자의 운동 상수들은 고윳값들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