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도련선 전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도련선 전략
Remove ads

도련선 전략(島鏈線 戰略, 영어: island chain strategy)은 1951년 한국전쟁 당시 미국 외교 정책 정치인 존 포스터 덜레스가 처음 고안한 전략적 해상 봉쇄 계획이다.[1] 서태평양에 해군기지를 배치하여 소련과 중국을 포위함으로써 세력을 투사하고 해상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제안했다.[2]

Thumb
제1,2 도련선이 그어져 있는 지도

"도련"이라는 개념은 냉전 시대에는 미국 외교 정책의 주요 주제가 되지 않았지만, 소련 붕괴 이후 오늘날까지 미국과 중국의 지정학적, 군사적 분석가들의 주요 관심사로 남아 있다. 미국에게 도련선 전략은 극동 지역에서 미군의 전력투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중국에게 이 개념은 해상 안보와 미군의 전략적 포위 위협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는 데 필수적이다. 양측 모두에게 도련선 전략은 대만의 지리적,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한다.[3]

Remove ads

제1도련선

Thumb
제1도련선이 그어져 있는 지도

쿠릴 열도, 일본 열도, 난세이 제도, 대만이 여기에 해당한다.

제2도련선

오가사와라 제도, 가잔 열도, 마리아나 제도, 캐롤라인 제도, 서뉴기니가 여기에 해당한다.

제3도련선

알류샨 열도, 하와이주, 사모아, 피지, 뉴질랜드

제안된 제4,5도련선

전략국제연구센터는 제4도련선에 몰디브, 락샤드위프 제도, 디에고가르시아섬을 제4도련선으로 지정하여, 중국의 구단선 주장과, 중국이 이용하는 과다르 항구와 함반토타 항구를 봉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제5도련선은 동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뿔지부티캠프 레모니어부터 모잠비크 해협, 남아프리카를 지정하여, 중국과 아프리카 간 무역을 차단해야 한다고 봤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