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도서 분류법
도서관 자료를 조직하고 관리하는 방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도서 분류법(圖書分類法)은 주제에 따라 도서 물품(서적, 컴퓨터 파일, 지도, 청각 자료 등)을 정리하고 부호화한 뒤 이를 구분하는 번호를 할당하는 체계이다.

과거 사용되었던 분류법
동양의 분류법
칠분법
사분법
삼분법
불교서적에 쓰인 분류법이다 삼장(경장-경전, 율장-계율, 논장-연구서)로 나눠져 있다.
서양의 분류법
- 베이컨의 학문분류(1605):프랜시스 베이컨이 작성한 학문분류로 현대의 학문분류와 자료 분류에 영향을 미쳤다. 인간의 정신능력에 의한 분류 기억(역사), 상상(시학), 오성(철학)
- 게스너(Gesner) 분류법(1643):세계 최초 철학적, 서지학적 분류법, 세계서지 편찬 목적
- 노데(Naude)의 분류법(1643):서지학자 가브리엘 노데(Gabriel Naude)가 작성 프랑스 분류법의 기초 확립, 주제를 12가지로 분류
- 해리스(Harris)분류법(1870):세인트루이스 공립학교 도서관 관장인 '해리스'가 창안함. '분류기호'와 '도서기호'를 최초로 서가배열, 목록배열, 대출과 반납에 사용했다.
Remove ads
현재 사용되는 분류법
십진법
기타 분류법
- 미국의회도서관분류법 (LCC)
- 콜론분류법 (CC)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
이 글은 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