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도서 분류법

도서관 자료를 조직하고 관리하는 방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도서 분류법
Remove ads

도서 분류법(圖書分類法)은 주제에 따라 도서 물품(서적, 컴퓨터 파일, 지도, 청각 자료 등)을 정리하고 부호화한 뒤 이를 구분하는 번호를 할당하는 체계이다.

Thumb
홍콩의 어느 한 도서관의 책꽂이에 듀이 분류를 이용하여 배열되어있는 모습.

과거 사용되었던 분류법

동양의 분류법

칠분법

  • 칠략:동양 최고(最古)의 분류법. 전한 성제유향이 시작하여 아들 유흠이 완성하였다.
  • 칠지:송나라(473년) 비서승 왕검이 비각의 도서를 편찬한 것이 사부관수목록인데 사부관수목록을 칠분법으로 재편찬 한 것이 칠지이다.
  • 칠록:양나라(520~526) 원효서가 편찬

사분법

  • 중경부:정묵이 편찬하였다. 고대동양의 사분법의 효시
  • 중경신부:순욱이 중경부를 증보 (갑부,을부,병부,정부)
  • 수서경적지:이순풍,위안인,이연수 등이 편찬, 사부분류법 체계확립, 명칭변경(경,사,자,집)
  • 사고전서:청나라 건륭제 때 기윤,윤석태 손사의 등이 9(1773~1781)년간의 작업 끝에 완성한 청나라 최대의 학술 총서
  • 해동문헌총록:현존하는 국내 최고(最古)의 분류법 조선 인조 15년(1637) 김휴가 편찬한 해제서목
  • 규장총목:정조 5년(1781) 서호수가 편찬 중국본 서목
  • 누판고:정조 13년(1789) 서유구가 편찬

삼분법

불교서적에 쓰인 분류법이다 삼장(경장-경전, 율장-계율, 논장-연구서)로 나눠져 있다.

  • 계원석교록:당나라 스님 지승(智昇)이 편찬한 목록
  • 고려(초조)대장목록:고려 초조대장경의 목록을 작성한 것으로 최사위가 작성하였다
  • 신편제종교장총록:고려 시대의 스님인 의천이 작성한 목록

서양의 분류법

  • 베이컨의 학문분류(1605):프랜시스 베이컨이 작성한 학문분류로 현대의 학문분류와 자료 분류에 영향을 미쳤다. 인간의 정신능력에 의한 분류 기억(역사), 상상(시학), 오성(철학)
  • 게스너(Gesner) 분류법(1643):세계 최초 철학적, 서지학적 분류법, 세계서지 편찬 목적
  • 노데(Naude)의 분류법(1643):서지학자 가브리엘 노데(Gabriel Naude)가 작성 프랑스 분류법의 기초 확립, 주제를 12가지로 분류
  • 해리스(Harris)분류법(1870):세인트루이스 공립학교 도서관 관장인 '해리스'가 창안함. '분류기호'와 '도서기호'를 최초로 서가배열, 목록배열, 대출과 반납에 사용했다.
Remove ads

현재 사용되는 분류법

십진법

기타 분류법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