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맥관 개존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동맥관 개존증
Remove ads

동맥관 개존증(動脈管開存症, patent ductus arteriosus, PDA)은 출생 이후에 동맥관이 닫히지 못하는 질병이다.

간략 정보 동맥간 개존증, 진료과 ...

역사

로버트 E. 그로스, MD는 1938년 보스턴 아동병원(Children's Hospital Boston)의 8세 소녀를 대상으로 한 동맥관 개존증에 대한 최초의 성공적인 완화를 수행하였다.[1]

증상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진단

Thumb
정상 심음과 비정상 심음의 심음도.

동맥관 개존증은 비침습적 기법을 사용하여 진단된다.

병인

동맥관 개존증은 특발성이다. 알려진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예방

모든 미숙아에게 생애 첫 날에 인도메타신을 주사하면 동맥관 개존증 및 해당 질병과 관련된 합병증의 발전의 위험을 감소시켜 준다는 일부 증거가 있다. 미숙한 유아에 대한 인도메타신 치료 또한 외과 수술의 필요를 줄여줄 수 있다.[3]

치료

부정적인 증상이 없는 신생아의 경우 간단히 외래 환자로서 감시될 수 있지만, 증상이 있을 경우 수술 및 비수술 방식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4]

같이 보기

  • 조지 알렉산더 깁슨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