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명왕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동명왕편》(東明王篇)은 고려 때 문인 이규보가 1193년(명종 23년)에 지은 5언체 서사시이다. 지은이의 문집 《동국이상국집》 중 〈전집〉의 제3권에 실려있다.
이 작품에 딸린 서문[幷序]에 따르면
- 《구삼국사》(舊三國史)의 〈동명왕본기〉(東明王本紀)[1]의 내용은 깊이 알고 보면 요술이 아닌 성(聖)이요 귀신이 아닌 신(神)이라고 찬양하고,
- 김부식이 《삼국사기》에서 동명왕 관계 기사를 생략해 버린 것을 비판하면서,
- 자기는 고려가 본래 성인(聖人)의 나라임을 알릴려고
이 작품을 지었음을 밝혔다.
한국어 번역
- 조현설 옮김, 《동명왕편: 신화로 읽는 고구려의 건국 서사시》, 아카넷, 2019년 12월 31일
참고 자료
- ㅇ 국립중앙도서관 코리안메모리 이규보의 <동명왕편>컬렉션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