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부간선수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동부간선수로(東部幹線水路)는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의 신곡양배수장에서 한강물을 끌어올려 김포시, 서울특별시 강서구, 부천시 일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인공 수로이다.[1] 여름이면 상습적으로 물에 잠기던 지금의 경기도 부천시와 서울특별시 강서구(김포공항 부근) 일대의 평야에 산미증식계획의 일환으로 1923년 4월부터 1925년 3월까지 관개 시설을 건설하면서 만들어졌다.[2][3][4] 수로는 용수 공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남쪽 방향으로 0.1퍼밀 기울어져 설계되었다.[5]

대부둑 혹은 부둑천이라고도 불린다.[6][7] 원래는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 오정동, 삼정동, 중동을 거쳐 상동까지 이어져 있었으나[6], 중동신도시를 조성하면서 삼정동 남쪽은 모두 매립되었다. 부천테크노파크 3단지 부근은 2005년에서 2007년 사이에 매립되었고[8][9], 오정물류단지 부근은 2013년에서 2016년 사이에 매립되었다.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전호리에서 경인 아라뱃길을 통과한다. 부천시 오정구 대장동-오정동 경계 부근에서 여월천이 통과한다. 오정동 산업로 인근에서 베르네천이 합류한다. 오정동-삼정동-내동 경계 부근에서 삼정1천이 통과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李榮薰 (1992). 《근대조선수리조합연구(近代朝鮮水利組合硏究)》. 서울: 일조각(一潮閣). ISBN 8933702237.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