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양구읍
강원도 양구군의 군청소재지 겸 하위행정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양구읍(楊口邑)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군내 행정·교통·산업의 중심지이다. 인제·화천과 더불어 목재·벌꿀·버섯·약초 등의 산지이다. 한국전쟁 이후 수복되었고, 군사상 요지로 군인이 많이 있다.
개요
양구읍의 동쪽은 동면과 남면, 남쪽은 춘천시 북산면, 서쪽은 화천군 간동면, 북쪽은 방산면에 닿아 있다.
본래 양구현의 소재지였으며, 현내면(縣內面)이라 부르다가 조선 고종 32년(1895) 지방관제 개정에 의하여 양구현이 군으로 됨에 따라, 군내면(郡內面)이 되어 상리(上里), 중리(中里), 하리(下里), 함춘(含春), 동수(東水), 고대(高垈), 대동(大同), 한전(閑田), 죽곡(竹谷), 송청(松淸), 정림(井林)의 10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서면의 안대(安垈), 이동(泥洞), 학조(鶴鳥), 공동(恭洞), 석현(石峴), 웅진(雄津), 용호(龍湖), 수인(水仁)의 8개 리를 병합하여 다시 군내면이라 하여 19개 리로 개편하였다.
1917년 군의 이름을 따서 양구면으로 고쳤다.
1945년 38도선이 생김에 따라, 공산치하에 들어갔다가, 1950년에 수복되고, 1962년 11월 21일에 북면의 공수(公須), 도사(都沙), 군량(軍糧), 월명(月明), 상무룡(上舞龍)의 5개 리를 편입하여 현재 중리, 상리, 송청, 수인, 웅진, 석현, 학조, 안대, 한전, 공리, 이리, 정림, 죽곡, 하리, 고대, 동수, 월명, 도사, 공수, 군량, 상무룡의 21개 리가 되었다.[1]
Remove ads
행정 구역
각주
교육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