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어휘상

동사가 내포한 상적 의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문법에서 어휘상(語彙相, lexical aspect) 또는 동작류(動作類, aktionsarten)는 의 하나로, 어휘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상적 의미이다. 어휘상은 문법상과 함께 상을 이루며[1], 시제와 어울려 문장의 의미를 구성한다.

하나의 동사는 단 하나의 어휘상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하는 논항에 따라 둘 이상의 어휘상을 갖는다. 이때 동사구 전체가 갖는 어휘상의 의미를 그 동사의 상황유형(狀況類型, situation type)이라고 한다.[2] 이 관점에 따르면 하나의 동사는 여러 개의 상황유형을 가질 수 있다.

분류 기준

미국의 언어학자 제노 벤들러(Zeno Vendler)는 동사가 나타내는 사건이나 상태[주 1]의 양상에 따라 동사를 분류하는 세 개의 기준을 제안하였다. 우선 동사가 기술하는 사태에 자연스러운 끝점(final point)이 존재하는지의 여부(telic / atelic)로 동사를 구분하여, 자연스러운 끝점이 존재하는 상황을 기술하는 동사는 종결성(終決性, telos)을 갖는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사태에 시폭(time span)이 존재하는지의 여부(durative / non-durative)로 동사를 구분하여, 시폭이 존재하는 상황을 기술하는 동사는 기간성(期間性, duration)을 갖는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태가 정적인지 아닌지, 즉 사태의 내부가 분석이 불가능한지 가능한지의 여부(static / dynamic)로 동사를 구분하여, 지속적인 상황을 기술하는 동사는 역동성(力動性, dynamism)을 갖는다고 하였다. 이에 따른 분류는 아래와 같다.[3]

자세한 정보 역동성(dynamism), 기간성(duration) ...

1976년 영국의 언어학자 버나드 콤리(Bernard Comrie)가 다섯 번째 어휘상 부류인 순간(semelfactive)을 추가하였다.[5] 이 유형에 속하는 동사는 자연스러운 끝점이 존재하지 않고, 시폭이 드러나지 않는 사태를 기술한다.

Remove ads

어휘상 부류

요약
관점

[-역동성]을 [+상태성]으로 대체하고, 순간(semelfactive) 범주를 추가한 어휘상 부류는 아래와 같다.

자세한 정보 상태성(state), 기간성(durativity) ...
자세한 정보 부류, 동사 ...

의미론자이자 통사론자인 미국의 언어학자 데이비드 다우티(David Dowty)는 어떤 동사가 어떤 어휘상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기준을 제안하였다. 아래 표에서 ‘d.n.a.’는 “이 유형의 동사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라는 의미이다.

자세한 정보 기준, 상태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