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제염거화상탑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동제염거화상탑지map
Remove ads

동제염거화상탑지(銅製廉巨和尙塔誌)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국립춘천박물관에 있는, 얇은 동판에 통일신라 선종승인 염거화상이 844년에 전화한 내용을 해서체를 쌍구체기법으로 전각한 것이다. 2015년 4월 2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71호로 지정되었다.[1]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Remove ads

개요

이 염거화상탑지는 얇은 동판에 통일신라 선종승인 염거화상이 844년에 전화한 내용을 해서체를 쌍구체기법으로 전각한 것이다. 염거화상(?~844)은 진전사 원적선사 도의의 제자로 가지산문의 2대 조(祖)로 알려진 인물이다. 동판에 새겨진 탑지의 내용은 비록 소략하지만 단정한 글씨체는 당시의 서체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며 축조의 정교한 끌 자국은 금속공예 기술의 우월함을 잘 대변해 준다. 무엇보다 이 몇 줄의 명문을 통해 당대 최고의 고승인 염거의 행적이 밝혀졌을 뿐 아니라 한국 승탑의 효시가 되는 염거화상탑의 축조시기를 규명하는 결정적인 자료라는 점에서 이미 국보로 지정된 염거화상탑과 함께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보호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1]

명문

會昌四秊歲次甲子季

秋之月兩旬九日遷化
廉巨和尙塔去𥼶迦牟
𡰱佛入𣵀槃一千八百四
秊矣

 當此囯慶膺大王之時

회창 4년 간지가 갑자이던 해 9월 29일에 천화한(돌아간) 염거화상의 탑으로 석가모니불이 열반에 든 지 1804년이 지나서인데, 이 나라 경응 대왕(문성왕)의 때이다.

강삼혜, "염거화상탑지와 탑에 대한 고찰", 국립춘천박물관 소장품조사연구보고서 Ⅰ: 선림원종 · 염거화상탑지 (2014. 12.), 150.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