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강원도 동해시의 석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Remove ads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東海 三和寺 三層石塔)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삼화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삼층석탑이다. 1998년 4월 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77호로 지정되었다.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간략 정보 종목, 정보 ...
Remove ads

개요

삼화사에 있는 석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비교적 높아 보이는 기단은 각 층 모두 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기단의 맨윗돌에는 별도의 탑신 괴임돌을 두어 탑신을 받치도록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을 번갈아 쌓아 올렸는데,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그 규모가 서서히 줄어든다.

여러군데에 금이 가 있고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으나, 대체로 잘 남아있고 균형이 잘 잡힌 단아한 모습이다. 기단의 구성이나 별도의 석재로 탑신괴임을 둔 점 등으로 미루어 9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짐작된다.

1997년 4월 대웅전 앞에서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해체하여 복원하였는데, 이 때 위층 기단 안에서 나무 궤짝이 발견되었다. 그 안에는 곱돌로 만든 소형탑 25기와 청동제 불대좌조각 2점, 철조각 6점, 문서를 기록한 종이 1매 등이 들어있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