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두만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ㆍ중국ㆍ러시아의 국경을 흐르는 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두만강
Remove ads

두만강(豆滿江, 만주어: ᡨᡠᠮᡝᠨ
ᠪᡳᡵᠠ
Tumen Bira, 중국어 간체자: 图们江, 정체자: 圖們江, 병음: Túmenjiāng 투먼장[*], 러시아어: Туманная 투만나야[*])은 백두산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유입되는 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와의 국경을 이룬다.

Thumb
두만강의 위치
Thumb
두만강 图们江

역사

지리

두만강은 백두산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는 홍토수(紅土水)를 원류로, 석을수(石乙水), 홍단수(紅端水), 서두수(西頭水), 홍기하(紅旗河), 하이란강(해란강, 海蘭江), 가야하(嘎呀河, 알아하), 훈춘하(琿春河)등의 지류와 합쳐져 동해로 흘러드는 547 km(서두수의 발원지부터는 610 km)의 강이다. 유역은 33,800 km²이며,《한청문감(漢淸文鑑)》 만주지명고(滿洲地名考)에서 지리명이 유래되었다.

남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함경북도, 라선시에 속하고, 북쪽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이다. 강의 하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라선시러시아 하산스키 군 사이의 국경이다.

명칭

두만강은 두만(豆滿), 도문(圖們) 외에도 역사적으로 두만(豆漫, 豆慢), 도문(徒門), 통문(統門), 토문(土門) 등으로 불리었는데, 이는 만주어의 음역에서 비롯된 것이다. '두만'의 원래 뜻은 만주어로 '만(萬)'을 뜻하는 투먼(tumen)에서 유래되었다.[1]

녹둔도

두만강 하구에는 15세기 초부터 19세기까지 조선의 영토였던 녹둔도(鹿屯島)가 있었다. 녹둔도는 약 4 km2[2][3]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두만강 하류의 섬으로, 이 섬은 두만강의 퇴적작용에 의하여 18세기[4]연해주와 연륙(連陸)되어 육지가 되었다.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연해주를 차지한 러시아제국은 연해주에 붙은 녹둔도까지 점령하였다.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