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두순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두순류
Remove ads

두순류(Cephalaspidea)는 바다 민달팽이와 달팽이로, 진후새류에 속하는 해양 복족류 연체동물이다.[1]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약 500여 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2]

간략 정보 두순류, 생물 분류ℹ️ ...

분류

요약
관점

조가비를 지고 있는 많은 연체동물처럼, 껍질에 싸인 두순류의 분류는 조가비라는 매우 단순한 특징에 기반을 두고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 분류군 전체에 통하는 조가비 형태는 약간의 상사성만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좀더 최근의 분류학자들은 이 복족류의 치설과 내장, 생식기 그리고 행콕 기관(Hancock's organ)과 같은 다른 해부학적 특징들을 따르고 있다.

린네식 분류

2005년 분류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Bouchet & Rocroi)의 복족류 분류는 두순류를 아래와 같이 분류했다.

  • 두더지고둥상과 (Bulloidea) - 두더지고둥과 (Bullidae)
  • 디아파나상과 (Diaphanoidea) - 디아파나과 (Diaphanidae)와 Notodiaphanidae
  • 포도고둥상과 (Haminoeoidea) - 포도고둥과 (Haminoeidae), Bullactidae 그리고 에메랄드고둥과 (Smaragdinellidae)
  • 갯달팽이고둥상과 (Philinoidea) - 갯달팽이고둥과 (Philinidae), 민챙이아재비과 (Aglajidae), 둥근고둥과 (Cylichnidae), Gastropteridae, Philinoglossidae, Plusculidae 그리고 쌀알고둥과 (Retusidae)
  • 룬키나상과 (Runcinoidea) - 룬키나과 (Runcinidae)와 일비아과 (Ilbiidae)

비자고둥상과는 새로운 비공식군 "하이새류"에 포함되었고 실린드로불라상과는 실린드로불라류의 일부가 되었다.

2009년 분류

2009년 말라키아스(Malaquias)와 그의 공저자들은 넓은 의미(sensu lato)의 두순류 분류를 아래와 같이, 재분류하여 발표했다.[3]

  • 고새류(Architectibranchia)의 복권.[3]
  • 우협새류(羽叶鰓類, Runcinacea)를 두순류 바깥의 유효한 분류명으로써 복권.[3]
  • 유효한 과로 스카판데르과(Scaphandridae) 복권.[3]
  • 이상의 분류는 분류 체계 상의 상과를 사용하지 않는다.

2009년 말라키아스(Malaquias)와 그의 공저자들이 분류한 넓은 의미(sensu lato)의 두순류 분류는 아래와 같다.(분자생물학적 분석에 기반한 속 목록이다. 분석되지 못한 과들은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incertae sedis)하다.)[3]

고새류(Architectibranchia) Haszprunar, 1985

  • 비자고둥과(Acteonidae) d’Orbigny, 1843 - Acteon, Mexacteon, Pupa
  • Aplustridae Gray, 1847 - Hydatina, Micromelo
  • Bullinidae Gray, 1850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두툼입술고둥과(Ringiculidae) Philippi, 1853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Notodiaphanidae Thiele, 1931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룬키나류(Runcinacea) Burn, 1963

  • 룬키나과(Runcinidae) H. Adams & A. Adams, 1854 - Runcina
  • 일비아과(Ilbiidae) Burn, 1963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두순류(Cephalaspidea) Fischer, 1887 - 여기서, 두순류는 좁은 의미(sensu stricto)의 두순류이다.

  • 디아파나과(Diaphanidae) Odhner, 1914 - Diaphana, Colpodaspis속은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둥근고둥과(Cylichnidae) H. Adams & A. Adams, 1854 - Cylichna
  • 스카판데르과(Scaphandridae) G. O Sars, 1878 - Scaphander
  • 쌀알고둥과(Retusidae) Thiele, 1925 - Retusa, Pyrunculus
  • Rhizoridae Dell, 1952 - Volvulella
  • 두더지고둥과(Bullidae) Gray, 1827 - Bulla
  • 갯달팽이고둥과(Philinidae) Gray, 1850 - Philine
  • 민챙이아재비과(Aglajidae) Pilsbry, 1895–96 - Aglaja, Chelidonura, Navanax, Odontoglaja, Philinopsis
  • Philinoglossidae Hertling, 1932 - Philinoglossa
  • Gastropteridae Swainson, 1840 - Gastropteron, Sagaminopteron, Siphopteron
  • Plusculidae Odhner, 1968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포도고둥과(Haminoeidae) Pilsbry, 1893 - Atys, Haminoea, Phanerophthalmus, 에메랄드고둥속(Smaragdinella), Ventomnestia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Bullactidae Thiele, 1826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2010년 분류

2009년 분류에 이어, 2010년 말라키아스(Malaquias)[4]는 이전에 불락탁과(Bullactidae)의 유일종이었던 민챙이(Bullacta exarata)[5]를 이동하여 포도고둥과에 포함시켰다.[4]

2010년 요르거(Jörger)와 그의 공저자들[1] 은 좁은 의미(sensu stricto)의 두순류와 우협새류를 진후새류로 이동하고, 하이새류비자고둥상과가 위치함을 확인했다.[1] 고새류의 모든 과들은 노토디아파나과를 제외하고는 이미 부쉐(Bouchet)와 로크루아(Rocroi)의 분류에서 하이새류에 포함되었으며, 고새류는가 단계통군으로 간주될 수 있도록 2010년 이래 하이새류로 분류되고 있다.

다음은 2022년 크루그(Krug) 등의 연구에 의한 범유폐류의 계통 분류이다.[6]

범유폐류
낭설상목

실린드로불라상과

옥시노이상과

꼭지갯민숭붙이상과

날씬이갯민숭붙이상과

고랑딱개비상과

회오리고둥상과

암피볼라상과

아코클리디움상목

히그로필라상목

진유폐상목

대추귀고둥목

수안목

병안목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