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등쪽뼈사이근 (손)
손가락을 벌리는 손의 근육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등쪽뼈사이근(dorsal interossei, DI) 또는 배측골간근(背側骨間筋)은 손등에 존재하는 근육으로, 한쪽 손에 네 개씩 존재한다. 집게손가락과 약손가락을 손의 정중선(가운뎃손가락의 정중선)으로부터 멀어지게, 즉 벌리는 작용을 한다. 또한 집게손가락,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에서 손허리손가락관절의 굽힘, 손가락사이관절의 폄을 돕는다.[1]
Remove ads
구조
한쪽 손에는 네 개의 등쪽뼈사이근이 존재한다. 바닥쪽뼈사이근은 손허리뼈의 앞쪽에 위치하여, 뒤쪽에 위치하는 등쪽뼈사이근과 대조된다.
등쪽뼈사이근은 모두 깃근육(bipennate)으로, 각각의 등쪽뼈사이근은 이웃하는 손허리뼈의 인접한 측면에서 두 갈래로 일어난다. 몸쪽손가락뼈 바닥과, 대응하는 손가락폄근 힘줄의 폄근널힘줄에 닿는다. 가운뎃손가락에는 두 개의 등쪽뼈사이근이 와서 닿으며,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에는 등쪽뼈사이근이 닿지 않는다. 등쪽뼈사이근과 바닥쪽뼈사이근을 합치면,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손가락에는 모두 두 개의 뼈사이근이 붙는다. 새끼손가락의 경우 등쪽뼈사이근 대신 새끼벌림근이 붙는다.[2]
첫째 등쪽뼈사이근은 다른 등쪽뼈사이근보다 크기가 크다. 첫째 등쪽뼈사이근의 두 근육갈래 사이로는 노동맥이 손등에서 손바닥으로 지나간다. 둘째, 셋째, 넷째 등쪽뼈사이근의 두 근육갈래 사이로는 깊은손바닥동맥활에서 나오는 관통가지가 주행한다.[2]
신경 분포
Remove ads
기능
등쪽뼈사이근은 둘째, 셋째, 넷째 손가락을 벌린다. 첫째 등쪽뼈사이근은 손허리손가락관절에서 집게손가락을 약간 돌릴 수 있으며, 엄지를 모을 때 엄지모음근을 돕는다.[4]
임상적 중요성
손의 첫째 등쪽뼈사이근에서는 드물게 구획증후군이 발생한다.[5] 이는 손의 과도한 사용 때문에 발생하며, 손등의 통증과 종창을 유발한다. 단순 근막절개술로 치료 가능하다.[5]
추가 이미지
- 왼쪽 손등의 뼈
- 첫째 등쪽뼈사이근
- 새끼벌림근의 모습. 새끼벌림근은 다섯째 등쪽뼈사이근으로 불리기도 한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