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딕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딕시map
Remove ads

딕시(영어: Dixie, Dixieland, Dixie Land)는 미국 남부 지방의 통칭이다. 1859년, 대니얼 디케이터 에밋 (Daniel Decatur Emmett)이 발표한 노래 "Dixie"가 남북 전쟁 미국 연합군의 행진곡으로 사용됨으로써 딕시라는 호칭이 퍼졌다.

Thumb
Remove ads

노래

노래 "딕시의 땅"(영어: Dixie's Land)은 19세기 미국에서 유행하던 백인들이 흑인분장을 하고 노래부르던 연극이였던 '민스트렐 쇼'(Minstrel show)에 등장하던 유행가였다. 인종차별이 만연한 19세기 미국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끌기 위해 민스트렐 쇼들은 인종차별적인 내용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에밋의 가사는 대농원에서 노예로 일하는 흑인들을 비하하고 희화화(戱畫化)하기 위해 위해 의도적으로 잘못된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흑인 사투리로 쓰여졌다. 가사의 내용은 대농원에서 즐겁게 사는 흑인 노예들의 관점에서 남부의 일상을 촌극처럼 우습게 묘사하였다. 남북전쟁 기간 동안에서 "딕시의 땅"은 남부연맹의 비공식 국가로 애창되었다.

가사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한국어 가사, 영어 가사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 흑인노예들에게는 고운 밀가루 빵보다 더 거칠고 억센 환경에서 자라는 메밀로 만든 빵, 혹은 케이크를 주식으로 먹었다. 인디언 반죽 "Injun batter"는 곱게 갈은 옥수수 가루로 만든 반죽이였다. 반죽을 뜨거운 기름에 바로 튀긴 것은 "hushpuppy"라는 간식으로 불렀고 (지금도 미국 남부에서 인기있는 간식이다), 인디언 반죽을 베이컨 기름, 달걀, 물과 함께 섞어서 떡처럼 만들은 것은 "sloosh"라고 하여 남군병사들의 주식중에 하나였다
  • "hoe it down" 괭이질과 "scratch your gravel"돌밭갈이는 19세기 미국에서 유행하던 춤들의 이름이다. 여기서는 들에서 일하는 흑인노예들을 비꼬기 위해서 두 가지 뜻을 가진 표현으로 말장난을 하고있다.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