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람 다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람 다스
Remove ads

람 다스(영어: Ram Dass, 본명: 리처드 앨퍼트 Richard Alpert, 1931년 4월 6일~2019년 12월 22일)는 미국의 영적 교사이자 현대 요가·명상 대중화에 큰 영향을 미친 작가이며, 전직 임상심리학자이다. 대표작 《지금 여기(Be Here Now, 1971)》는 1960~70년대 반문화·뉴에이지 운동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1][2] 1960년대 초 하버드 대학교에서 티머시 리어리와 함께 하버드 사이로시빈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1962년 굿 프라이데이 실험에 관여했다.[3][4] 1967년 인도에서 님 카롤리 바바를 만나 '람 다스(신을 섬기는 자)'라는 법명을 받았고,[5] 이후 하누만 재단, 세바 재단 등 여러 자선·봉사 조직을 공동 설립하였다.[6][7] 1997년 뇌졸중으로 실어증을 겪었으나 이를 ‘사나운 은총(Fierce Grace)’으로 해석하며 노년까지 가르침을 이어갔다.[8]

간략 정보 람 다스Ram Dass, 본명 ...
Remove ads

생애

초기 생애와 교육

보스턴에서 태어나 유대계 가정에서 자랐으며, 터프츠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1952)하고 웨슬리언 대학교에서 석사(1954),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박사(1957)를 받았다.[9] 학생 시절에는 종교에 무관심하거나 무신론적 성향을 보였다고 회고했다.[10]

하버드 시절과 논란·해임(1958~1963)

1958년 하버드 대학교에 임용되어 동기부여·성격발달을 연구했고,[11] 리어리와 함께 사이로시빈·LSD 등의 사이키델릭 물질의 치료적 잠재성을 탐구했다. 1962년 신학도 대상의 굿 프라이데이 실험은 이들 약물이 종교적·신비적 체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12] 그러나 연구윤리 시비와 학내 논란 끝에 1963년 두 사람은 하버드에서 해임되었다.[13]

인도 체류와 ‘람 다스’ 개명(1967~)

1967년 인도로 건너가 님 카롤리 바바(마하라지지)를 스승으로 만나 ‘람 다스’라는 이름을 받았다. 이후 명상·바크티 요가(헌애)의 길을 따르며 서구 대중에게 동양적 영성을 소개했다.[14]

Remove ads

사상과 영성

비이원론과 헌애(바크티)

람 다스의 가르침은 ‘자기 동일시 해체’와 ‘사랑-봉사-기억(Love·Serve·Remember)’의 윤리, 아드바이타 베단타적 비이원론 그리고 바크티 요가의 헌애 실천이 교차한다.[15]

심리학과 명상의 접목

하버드에서의 심리학 훈련과 이후 명상 수행을 접목해 의식·자아·치유를 통합적으로 해석했고, 사이키델릭은 “문을 열어 주는 초기 자극”일 뿐, 수행을 통한 ‘안정된 깨어 있음’이 핵심이라고 보았다.[16]

‘지금 여기(Be Here Now)’와 현재성

《지금 여기》는 일상 속에서 현재성·자각을 훈련하는 지침서로, 1970년대 이후 명상·요가 대중화를 견인했다.[17][18]

주요 저서

대표 저서(단행본)

  • 《지금 여기(Be Here Now)》(1971)[19]
  • 《Still Here: Embracing Aging, Changing and Dying》(2000)
  • 《Polishing the Mirror: How to Live from Your Spiritual Heart》(2013)[20]

공저·편저

  • (리어리·메츠너 공저) 《The Psychedelic Experience》(1964)
  • (미라바이 부시 공저) 《How Can I Help?》(1985)
  • (라메슈와르 다스 공저) 《Be Love Now》(2010)

선집·강연·녹음물

  • 《Love Serve Remember》(1973, 오디오)
  • 《Ram Dass, Going Home》(2017, 단편 다큐 관련 발언·요지)
  • 《Becoming Nobody》(2019, 강연 아카이브 기반 다큐와 연동)

사회 활동

하누만 재단과 ‘감옥–아쉬람 프로젝트’

1974년 하누만 재단을 설립해 수감자 명상·서신상담을 지원하는 ‘감옥–아쉬람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해당 사업은 이후 휴먼 카인드니스 재단으로 이관되어 지속되고 있다.[21][22]

세바 재단(Seva Foundation) 공동 설립

1978년 래리 브릴리언트, 웨이비 그레이비 등과 함께 세바 재단을 공동 설립, 개발도상국에서 실명 예방·시력 회복 사업을 지원했다.[23]

Living/Dying Project 공동 창립

말기 환자의 ‘의식적인 떠남’을 돕는 리빙/다잉 프로젝트를 스티븐 레바인, 데일 보글럼(람데브) 등과 시작했다.[24][25]

개인적 삶과 정체성

정체성(성적 지향) 공개

1990년대에 자신의 양성애 정체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26][27]

가족

2010년 유전자 검사로 1955년 교제했던 사람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후 관계를 맺었다.[28]

유대교와의 재만남

60세 무렵 유대 전통을 다시 탐구하며 정체성을 재해석했다.[29]

뇌졸중 이후와 노년의 가르침

1997년 뇌졸중과 ‘사나운 은총’

1997년 뇌졸중으로 편마비·표현성 실어증을 겪었으나 이를 수행의 연장선으로 보며 회복과 가르침을 이어갔다. 그의 투병·통찰을 다룬 다큐 《Ram Dass: Fierce Grace》(2001)가 제작되었다.[30][31]

마우이 정주와 온라인 법문

2004년 이후 하와이 마우이에 정주하며 소규모 리트리트·웹캐스트를 지속했다.[32][33]

유작적 메시지와 회고

노년의 메시지는 《Polishing the Mirror》 등에서 정리되었고, 단편 다큐 《Ram Dass, Going Home》(2017/2018 배포)에서도 삶·사랑·죽음에 대한 성찰을 남겼다.[34][35]

주요 어록

당신이 권력을 원하는 한, 당신은 권력을 가질 수 없다. 권력을 원하지 않는 순간, 당신은 꿈꿔왔던 것보다 더 많은 권력을 얻게 될 것이다.

[36]

미디어와 문화적 영향

대중문화와 반문화

《지금 여기》는 ‘히피 바이블’로 불리며 서구의 요가·명상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37]

다큐멘터리와 미디어

Ram Dass: Fierce Grace》(2001), 《Dying to Know: Ram Dass & Timothy Leary》(2014), 《Ram Dass, Going Home》(2017) 등 다큐가 제작되었다.[38][39]

기술·예술계로의 파급

애플 공동창업자 스티브 잡스 등 여러 인물에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40]

사후 평가

부고와 평가

2019년 12월 22일 마우이 자택에서 별세(향년 88). 주요 매체는 그를 “동양 영성의 서구 전파자”이자 “뉴에이지·마인드풀니스의 가교”로 평가했다.[41][42][43]

비판과 논쟁

하버드 시절 사이키델릭 연구는 윤리·방법론 논란을 낳았으나, 이후 장기 추적·재현 연구는 ‘종교적 체험 유발’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 근거를 제시하였다.[44][45]

유산과 영향력

그의 유산은 러브·서브·리멤버(Love Serve Remember) 재단, 세바 재단, 리빙/다잉 프로젝트 등의 활동과 방대한 강연·저작 아카이브로 이어지고 있다.[46][47]

주요 인물 관계

티머시 리어리

하버드 동료로, 초기 사이키델릭 연구와 대중 논쟁의 핵심 파트너였다.[48]

님 카롤리 바바(마하라지지)

인도에서 만난 구루. 헌애 요가·자비의 실천을 가르치며 ‘람 다스’라는 법명을 주었다.[49]

래리 브릴리언트·웨이비 그레이비

세바 재단 공동 설립 동료들로, 실명 예방 및 국제 보건 사업을 함께 이끌었다.[50]

참고 문헌 및 외부 링크

1차 자료(저서·강연)

  • Ram Dass, Be Here Now (1971)
  • Ram Dass, Still Here (2000)
  • Ram Dass, Polishing the Mirror (2013)

2차 자료(연구·평론)

  • Rick Doblin, “Pahnke’s Good Friday Experiment: Long-Term Follow-Up…”,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1991).[51]
  • Frederick S. Barrett 외, “Classic Hallucinogens and Mystical Experiences”, Neuropsychopharmacology(2018).[52]
  • Kenneth Turan, Los Angeles Times 리뷰(2016).[53]

재단·프로젝트 공식 페이지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