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레니시카리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레니시카리스
Remove ads

레니시카리스(학명: Lenisicaris)는 중국의 마오텐산 셰일과 미국 펜실베니아주의 킨저스층(Kinzers Formation)에서 발견된 캄브리아기아노말로카리스과 방사치류이다. 속명은 라틴어로 '매끄럽다'를 뜻하는 lēnis(레니스)와 고대 그리스어로 '새우'를 뜻하는 καρίς (카리스)의 합성어이다.[1]

간략 정보 레니시카리스속, 생물 분류ℹ️ ...
Remove ads

발견과 명명

1929년, 미국의 고생물학자 찰스 E. 레서Charles E. Resser는 킨저스층에서 보존이 거의 되지 않은 절지동물의 화석을 기재하였다. 그는 이 화석표본이 아노말로카리스의 신종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여서 Anomalocaris pennsylvanica로 분류되었는데[2] 이는 두 번째로 기재된 방사치류 종이 되었다.[3] 그 후 여러 화석표본들이 이 종의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 중 다수는 연달아 방사치류의 다른 분류군으로 지정되었다.[3][4] 현재 이 종에는 세 개의 표본만이 확실하게 포함되어 있다.[3]

L. pennsylvanica는 2021년의 연구에서 모식종인 L. lupata의 그것과 형태상 닮은 전방부속지에 기초해 레니시카리스속으로 지정할 때까지 아노말로카리스속의 한 종으로 오랫동안 사료되었다. 종소명 lupata(루파타)는 '늑대'를 뜻하는 lupus(루푸스)와 '송곳니'를 뜻하는 fanga(팡가)가 합쳐진 단어로서 '커다랗고 예리한 늑대의 이빨'을 뜻하며, 안돌기가 늑대의 이빨 모양을 닮은 것에서 비롯했다.[1]

Remove ads

특징

레니시카리스속은 오직 전방부속지들만이 발견되었지만 이 표본들은 몇 가지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바로 옆가시가 없다는 점이다.[5] 모식종 L. lupata의 경우에는 아노말로카리스의 것을 매우 닮은, 보다 더 작고 세모꼴의 안돌기를 지녔다.[1] (과거에 아노말로카리스속의 하나로 기재된[2]) 다른 종인 L. pennsylvanica의 경우에는 는 보다 더 크며 좀 더 직사각형 모양의 안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홀수 가락마디에 있는 것들은 더 작다.[1]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