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로디온 셰드린
러시아의 작곡가 (1932–2025)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로디온 콘스탄티노비치 셰드린(러시아어: Родион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Щедрин 로디온 콘스탄티노비치 셰드린[*], 1932년 12월 16일 ~ 2025년 8월 28일)은 러시아의 작곡가이다.
생애
요약
관점
셰드린은 1932년 12월 16일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으며, 음악가 집안 출신이었다. 그의 부친은 작곡가이자 음악이론 교사였다. 그는 모스크바 합창학교와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수학하였으며, 작곡은 유리 샤포린에게, 피아노는 야코프 플리예르에게 사사하여 1955년에 졸업하였다. 그는 1958년부터 2015년 그녀의 사망 시까지 발레리나 마야 플리세츠카야와 결혼 생활을 이어갔다.
셰드린의 초기 작품은 조성적이며 화려한 관현악법을 특징으로 하고, 종종 민속음악의 단편들을 포함한다. 반면, 후기 작품들 가운데 일부는 우연성 기법이나 음렬 기법을 활용하였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발레 《꼽추 망아지》(1955), 《카르멘 모음곡》(1973), 톨스토이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안나 카레니나》(1971), 《여우 같은 여인》(1985)이 있으며, 오페라로는 《사랑만이 아니다》(1961), 고골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죽은 영혼들》(1976) 등이 있다. 또한 다수의 피아노 협주곡, 교향곡, 실내악, 피아노곡을 남겼으며, 쇼스타코비치의 《24개의 전주곡과 푸가》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24개의 전주곡과 푸가》, 그리고 《폴리포니 노트북》 또한 중요한 작품으로 꼽힌다.
그는 다섯 곡의 관현악 협주곡을 작곡하였다. 그중 제1번은 ‘개구쟁이 민속가락(Chastushki)’이라는 러시아 특유의 풍자적 민요 형식을 바탕으로 하여 국제적 명성을 얻게 된 작품이다. 제2번 《종소리》는 뉴욕 필하모닉 창립 125주년을 기념하여 레너드 번스타인의 지휘로 초연되었고, 제3번은 러시아 지방 서커스의 옛 음악을 소재로 하였다. 제4번 《호로보디(원무)》는 1989년에, 제5번 《네 개의 러시아 노래》는 1998년에 완성되었다.
셰드린은 피아니스트이자 오르가니스트로서도 명성을 얻었으며, 자신의 여섯 개 피아노 협주곡 가운데 첫 세 곡의 초연에서 직접 피아노를 연주하였다. 1974년 5월 5일에는 예브게니 스베틀라노프 지휘, 소련 국립 교향악단과 함께 세 협주곡을 모두 독주자로 연주하였고, 이 실황은 음반으로 발매되었다.
그는 1989년 베를린 예술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92년에는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으로부터 국가상을 수상하였다. 소련 붕괴 이후에는 국제적 교류의 기회를 넓히며 주로 뮌헨과 모스크바를 오가며 활동하였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는 ‘지역 간 대의원 그룹’의 일원이었으며, 또한 리투아니아와 스페인 국적을 보유하였다.
2008년 6월 11일부터 14일까지 아르메니아에서 ‘셰드린의 날’ 행사가 개최되었으며, 셰드린과 마야 플리세츠카야가 명예 초청 인사로 참석하였다. 2009년에는 발터 핑크의 초청으로 라인가우 음악제의 연례 기획인 ‘작곡가 초상(Komponistenporträt)’에서 제19번째 주인공으로 선정되었다. 이때 그는 아내와 함께 참석하여, 에버바흐 수도원에서 합창과 플루트를 위한 러시아 성가 《봉인된 천사》가 연주되었으며, 실내악 프로그램으로는 첼리스트 라파엘 발피쉬와 함께 피아노를 맡아 연주한 《러시아 민요의 고풍스러운 선율》(2007), 그리고 테너 케네스 타버와 피아니스트 롤란트 폰티넨이 연주한 《나의 시간, 나의 맹수》 등이 포함되었으며, 후자는 베르비에 페스티벌에서도 연주되었다.
2011년에는 그의 오페라 《롤리타》의 독일어 버전이 헤센 주립극장의 제작으로 국제 5월제 개막 공연에서 초연되었다.
Remove ads
작품
오페라
발레
- 카르멘 모음곡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로디온 셰드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영어) 로디온 셰드린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