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로맨스 스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로맨스 스캠
Remove ads
남성 피해자 여성 피해자
Thumb20대 미만: 20명 (1.1%)20-29: 268명 (15.2%)30-39: 339명 (19.2%)40-49: 486명 (27.6%)50-59: 438명 (24.9%)60대 이상: 211명 (12.0%)
  •   20대 미만: 20명 (1.1%)
  •   20-29: 268명 (15.2%)
  •   30-39: 339명 (19.2%)
  •   40-49: 486명 (27.6%)
  •   50-59: 438명 (24.9%)
  •   60대 이상: 211명 (12.0%)
Thumb20대 미만: 24명 (0.6%)20-29: 219명 (5.6%)30-39: 468명 (12.0%)40-49: 1,305명 (33.5%)50-59: 1,351명 (34.6%)60대 이상: 534명 (13.7%)
  •   20대 미만: 24명 (0.6%)
  •   20-29: 219명 (5.6%)
  •   30-39: 468명 (12.0%)
  •   40-49: 1,305명 (33.5%)
  •   50-59: 1,351명 (34.6%)
  •   60대 이상: 534명 (13.7%)
온라인 로맨스 스캠 피해자
인터넷 크라임 컴플레인트 센터(Internet Crime Complaint Center), 2011 범죄 보고서

로맨스 스캠(영어: Romance scam)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나 데이팅 앱 등 온라인을 통해 피해자에게 접근하여 신뢰와 애정을 쌓은 뒤, 이를 이용하여 금전을 갈취하는 신용 사기의 일종이다.[1] 가해자는 주로 도용한 사진을 이용해 자신을 매력적인 사람으로 위장하며, 장기간에 걸쳐 피해자와 정서적 유대를 형성한 후 긴급한 상황을 빌미로 돈을 요구하는 특징이 있다.

수법

로맨스 스캠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Thumb
인터넷 로맨스 스캠에 사용된 위조 여권. 사진 규격·자세가 규정에 맞지 않는 등 겉보기에도 속임이 드러나지만, 피해자는 이런 신호를 종종 간과한다.

수법

  • 사기꾼은 자신의 상사가 우편환으로 급여를 지불한다고 말하고 피해자에게 위조된 우편환을 현금으로 바꿔달라고 요청한다.[2]
  • 사기꾼은 자신의 가족이나 배우자에 의해 본국에 억류되어 있다며 피해자의 국가로 가는 비행기를 타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고 한다.[3]
  • 사기꾼은 온라인 데이트 사이트에서 피해자를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자신의 나라에 피해자를 데려오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고 말한다.[4]
  • 사기꾼은 자신이나 부모의 긴급한 치료를 위해 돈이 필요하다고 말한다.[5]
  • 사기꾼은 휴가를 보낼 경비를 피해자에게 택배로 부친다고 하고, 피해자에게 그 택배의 통관 관세를 보낼 것을 요구한다.[6]

도용 이미지와 신분 사칭

사기범은 매력적인 인물의 도용 사진으로 프로필을 만들고 연락을 유도한다. 이는 흔히 캣피싱이라 불린다. 무명 배우나 모델 사진, 혹은 미군 복무자 이미지를 활용하여 대면이 어려운 상황(파병 등)을 설명한다. 실제 외모가 사진과 달라 영상통화나 대면을 피하며, 여행 중·웹캠 고장 등을 이유로 댄다.

피해자 길들이기

사기범은 연애편지, 장래 결혼 약속 등으로 감정을 고조시키고 질문은 많이 하지만 자기 정보는 거의 주지 않는다. 몇 달 이상 연락을 지속하다 신뢰가 쌓였다고 판단되면 교통비·항공권·의료비·학비 등 명목으로 돈을 요구한다. 피해자를 본국으로 초대하여 선물·뇌물 명목의 현금을 요구하고, 도착 후 강도나 살해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피해자는 현실 부정과 수치심 때문에 신고를 꺼리며, 가족이나 지인의 제지에 분노하는 사례도 있다.

신흥 수법: 가상화폐 연계

2025년 7월, 금융감독원은 SNS·데이팅 앱을 통해 외국인으로 위장한 사기범들이 친밀감을 형성한 뒤 가짜 코인 거래소로 투자를 유도하는 신종 로맨스 스캠에 대해 소비자 경보를 발령했다.[7]

같은 달, 한 50대 남성은 일본인 여성으로 위장한 인물과 데이팅 앱을 통해 연락을 주고받으며 연인 관계로 발전했다고 믿었다. 그는 결혼 약속까지 하게 되었고, 상대방이 권유한 해외 가상자산거래소에 총 1억520만 원을 투자했다. 그러나 출금 과정에서 세금을 핑계로 추가 송금을 요구받았고, 돈을 더 보낼 수 없게 되자 상대방은 잠적했다.[8]

사례: 킴 카스트로 사건

이 계정은 페이스북을 통해 30대 이상 남성에게 접근해 자신을 한국계 미군으로 소개하며 신뢰를 쌓았다. 이후 카카오톡으로 유인하여 300만 달러 현금을 외교행낭으로 보내주겠다는 명목으로 피해자에게 통관비 등을 송금하도록 요구하는 방식이었다. 결국 나이지리아 번호 기반 계정과 카메룬 성씨를 가진 인물이 연루된 사실이 드러났으며, 피해자는 사기 수법을 체험담 형식으로 공개했다.[9]

로맨스 스캠과 마약 운반

2025년 7월, 제주에서 필로폰 2.98㎏(약 9만9000명분)을 밀반입하려던 60대 남성이 적발된 사건이 발생했다. 그는 온라인에서 알게 된 외국인 여성과 연인 관계를 맺은 뒤 “가방을 운반하면 수백억 원을 나눠주겠다”는 제안에 속아 범죄 조직의 마약 운반책으로 이용되었다고 주장했다.[10]

한중 합작 범죄조직 검거

2024년 11월, 부산경찰청은 한국계 외국인 여성으로 사칭해 SNS에서 남성 80여 명에게 접근, 122억 원을 가로챈 한중 합작 로맨스 스캠 조직을 적발했다. 이들은 20~30대 한국인 지인을 모집해 캄보디아·라오스로 데려가 범행 수법을 교육하고, 피해자들에게 가상자산·금 선물거래를 권유했다.[11]

스위스 남성 피해 사건

2024년 3월, 한 스위스 남성은 한국인으로 행세한 여성에게 약 14만 달러(약 2억 원)를 송금한 뒤 한국까지 찾아와 범인을 직접 체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는 부모 사망으로 상속받은 유산을 배경으로 범인과 2개월간 신뢰 관계를 쌓았고, 결혼을 약속하며 송금을 이어갔다. 이후 의심이 생겨 한국 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했고, 경찰과 공조해 범인을 유인·체포했다.[12]

대상 인구통계

많은 피해자는 40대~60대 중반의 동반자를 찾는 사람들이며, 고령자는 자산 보유 가능성이 높아 표적이 되기 쉽다. 민감하고 정서 지능이 낮은 사람일수록 더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일부는 한 번 피해를 겪은 뒤에도 다른 시나리오로 반복 피해를 당한다.

국가별 현황

호주

호주에서는 2017~2019년 로맨스 스캠 금전 피해가 2,050만 달러에서 2,860만 달러로 증가했다. ACCC 산하 SCAMwatch는 식별·예방·신고 정보를 제공한다.

영국

영국에서는 2023년 로맨스 스캠이 사이버범죄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한 유형으로 보고되었으며, 손실액이 9,300만 파운드에 달했다.

미국

2023년 FBI는 관계 사기로 인한 피해 신고 손실이 6억5천만 달러를 넘었다고 보고했다. 이는 피싱보다 7배, 랜섬웨어보다 약 100배 많았다.

피해 현황

로맨스 스캠은 금전적 피해뿐만 아니라 신뢰했던 상대에게 배신당했다는 사실로 인해 심각한 정신적 충격과 정서적 고통을 남긴다. 피해자는 사기 피해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하고 혼자 고통을 감내하는 경우가 많아 우울증, 대인기피증 등을 겪기도 한다.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로맨스 스캠 피해액은 2018년 17억 7000만 원에서 2022년 48억 6000만 원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실제 신고되지 않은 피해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13]

예방 및 대처법

예방

  • 온라인에서만 만난 사람에게 절대 돈을 보내거나 금융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 상대방의 프로필 사진이 의심스러우면 구글 등에서 역방향 이미지 검색을 해본다.
  • 관계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거나 과도한 애정 표현을 하면 일단 의심한다.
  • 해외에서 보낸 선물 통관비, 사업 자금 등 어떠한 명목으로든 금전을 요구하면 사기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새로운 온라인 관계에 대해 가족이나 친구와 대화하여 객관적인 조언을 구한다.

대처

  • 사기라고 인지한 즉시 모든 연락을 차단하고 더 이상 돈을 보내지 않는다.
  • 상대방과의 대화 기록, 송금 내역 등 모든 증거 자료를 확보한다.
  • 이용했던 소셜 미디어나 데이팅 앱 운영자에게 해당 계정을 신고한다.
  •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이나 가까운 경찰서에 즉시 신고한다.[14]
  • 송금한 은행에 연락하여 지급정지를 신청하는 등 신속한 조치를 취한다.

각주

  1. 김일수 (2020). 로맨스 스캠의 실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19 (2): 7-30. ISSN 1738-8120.
  2. "Seduced into scams: Online lovers often duped," NBC News. 1
  3. "Seduced into scams: Online lovers often duped," NBC News. 1.
  4. Online daters, be warned! 1 in 10 profiles are scams, report reveals.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1일에 확인함.
  5. 곽창렬, "자기, 코인할래?"… 로맨스 스캠 주의보, 《조선경제》, 2025년 7월 3일.
  6. 이해준, "결혼하자 외국인 여친의 코인 권유…'로맨스 스캠' 주의보", 《중앙일보》, 2025년 7월 2일.
  7. 최훈민, "페북 여왕 '킴 카스트로'와 사랑에 빠지다…로맨스스캠 체험기", 《중앙일보》, 2023년 9월 29일.
  8. 김지혜, "'9만9000명분' 필로폰 밀반입 시도 60대 "로맨스스캠"…뭔일", 《중앙일보》, 2025년 7월 24일.
  9. 정시내, "“누나 못 믿어?” 로맨스스캠으로 122억원 챙긴 일당 검거", 《중앙일보》, 2024년 11월 26일.
  10. 이해준·박경민, ""2억 로맨스 스캠 당했다" 스위스男, 한국 와 '그녀' 잡고보니…", 《중앙일보》, 2024년 3월 12일.
  11. 국가정보원 국제범죄정보센터, "국제범죄 위험 알림 로맨스 스캠 주의보!", 2023-05-11
  12. 경찰청 사이버안전지킴이, "사이버범죄 신고/상담"

외부 링크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