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자바-이슬람주의자 분쟁은 시리아 내전의 주요 전역 중 하나로, 인민수호부대와 이슬람 반군 세력이 라스 알아인을 점령하기 위해 충돌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알누스라 전선이 YPG를 공격하기 위한 기지로 북부 시리아를 활용하자 쿠르드군이 라카 주 및 알레포 주의 일부나 하사카 주의 이슬람 점령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공격을 개시했다. 쿠르드 집단과 이들의 동맹의 목표는 아랍 이슬람 과격파 반군의 지역을 점령하여 로자바의 자치 지역을 확장하는 것도 포함된다.[47]
간략 정보 로자바-이슬람주의자 분쟁, 날짜 ...
로자바-이슬람주의자 분쟁 |
---|
시리아 내전, 로자바 분쟁, 대 IS 군사 개입의 일부 |
 라스 알아인에서 인민수호부대 병력이 알누스라 전선 테러리스트들에 방어전을 수행하고 있다. 라스 알아인 전투는 2013년 7월 발생한 전투로, 이슬람 반군 세력과 쿠르드군 사이의 첫 충돌로 알려져 있다. |
날짜 | 2013년 7월 16일 - 현재 |
---|
장소 | 시리아 북부 |
---|
상태 |
진행 중
|
---|
|
교전국 |
---|
시리아 민주군
CJTF-OIR (2014-)
쿠르드 자치구[4]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5][6][7]
시리아[8][9][10](-2016)
이라크 (2018-) |
ISIL[11] |
알누스라 전선 (-2017.1)[11]
[[파일:|22x20px|border |alt=]] HTS (2017.1-)[12]
레반트 자유이슬람운동[13]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TFSA
- 마레 작전실 (2014-2016)
- 하와 킬리스 작전실
시리아 투르크멘 여단[14]
알레포 정복군
튀르키예 (2016.8-)
지원국
사우디아라비아[15][16]
카타르[17][18][19] |
지휘관 |
---|
살리흐 무람마드
시판 헤모
케미드 오스만
누진 데리크
로쉬나 아키드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하지 A. 쿠르디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아부 라일라
도널드 트럼프
스티븐 J. 타운센드
테레사 메이
루퍼트 존스
프랑수아 올랑드
피에르 드 빌리에
앙겔라 메르켈
폴커 비커
마르크 뤼터
알렉산더르 스닛허르
블라디미르 푸틴
빅토르 본다레프
세르게이 쇼이구
바샤르 알아사드
수헤일 알하산
|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 |
불명 |
군대 |
---|
시리아 민주군
외국 자원군
보안군
|
ISIL의 군사 |
불명 |
병력 |
---|
YPG:65,000[34]
쿠르드 전선군:7,000[35]
PKK:600[36] |
15,140[37][38] |
알누스라 전선: 5,000–6,000[39] |
피해 규모 |
---|
2,209[40][41][42] |
13,687명 사망, 598명 부상[40][41][43] |
불명 |
시리아: 주민 수십 명 사상[44]
튀르키예: 민간인 4명 사망[44][45]
피난민 100,000명[46]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