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롯데마트

대한민국의 대형 할인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롯데마트(Lotte Mart)는 롯데쇼핑(주) 롯데마트사업본부가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대형 할인점 브랜드이다. 대한민국 이외에도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해외 3개국에 177개의 점포를 두고 있다.

간략 정보 형태, 창립 ...
Remove ads

역사

1998년 4월 1일 롯데쇼핑 할인점 사업부문이 롯데마그넷이라는 이름으로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테크노마트 지하 2층에 1호점인 강변점을 개점하였다. 2002년 6월부터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는데 1993년 12월 롯데쇼핑이 해당 이름을 통해 편의점 체인을 다시 시작했으나[2] 다음해 코리아세븐을 인수하면서 점포가 역으로 흡수됐다.

2000년 12월, 출점 최단 기간 1조원 매출을 돌파했으며, 2006년 12월 부평점 개점으로 대형 할인점 업계 사상 최단 기간인 8년 8개월 만에 50호점을 출점하였다. 2015년 10월 기준, 279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2006년부터는 본격적으로 해외 사업을 시작하였다. 2010년 6월 1일에는 GS마트의 14개점과 GS스퀘어의 3개점을 인수하였고, 2012년 12월 15일 기준 대한민국 104개, 중국 83개, 인도네시아 23개, 베트남 2개 등 국내외에서 210개 점포를 운영하며 한국 유통업체 중 운영 점포수 1위에 올라섰다.

세계적인 완구 유통 전문업체인 토이저러스와 라이센스 계약을 맺고 2007년 12월, 한국에서 토이저러스 매장을 처음으로 선보였으며, 이후 계속해서 매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2008년 말, S-OIL과 주유소 사업 제휴 계약을 체결하고, 수지·구미·충주·여수·서대전·서청주에 '행복드림 주유소'를 운영하고 있다.

2012년 6월 28일 롯데마트 빅마켓이 창고형 할인마트로 금천점에 첫 개점하였다.[3] 2013년 4월 25일 현금카드 결제가 도입되었다.

모든지점에는 NICE ATM이 있으며 경남은행,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유안타증권의 카드로 입금 및 출금 그리고 이체가 가능하며 캐시비한페이는 충전과 사용이 가능하다.

Remove ads

연혁

  • 1998년 4월 - 롯데마트 1호점 강변점 개점
  • 1999년 2월 - 조직확대 및 명칭개편 (롯데마트사업부문)
  • 1999년 10월 - 한국능률협회 선정 '99 한국 산업 고객 만족도 1위 기업 수상 (할인점부문)
  • 1999년 11월 - 조직확대 및 명칭개편 (롯데마트사업본부)
  • 1999년 12월 - '99년 소비자 추천대상 대형할인점 부문 대상수상, 제4회 한국유통대상 가격혁신 대상 수상
  • 2000년 1월 - 한국SCM민/관합동추진SCM시범사업추진업체 선정
  • 2000년 6월 - 롯데마트 정보시스템 컨설팅
  • 2000년 11월 - 롯데쇼핑(주) 윤리행동준칙 제정 실시
  • 2000년 12월 - 출점 최단기 내 매출 1조 달성
  • 2001년 12월 - 제6회 한국유통대상 할인점부문 금상 수상, SCM 시범사업 공로패
  • 2002년 6월 - 롯데마트로 CI 변경
  • 2002년 12월 - 제7회 한국유통대상 할인점부문 금상 수상
  • 2003년 6월 -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공로상 수상
  • 2003년 9월 - 환경운동연합 공로상
  • 2004년 12월 - 제9회 한국유통대상 가격혁신 부문 대상
  • 2006년 2월 - 퍼스트브랜드대상 할인점부문 대상 수상
  • 2007년 2월 - 롯데마트 인터넷쇼핑몰 오픈
  • 2007년 10월 - 매일경제 연세대학교 주관 유통상생지수 1위
  • 2008년 4월 - 농협과 MOU 체결
  • 2009년 5월 - 롯데마트 행복드림주유소 1호점 오픈
  • 2009년 11월 - 2009년 한국물류대상 석탑산업훈장 수상
  • 2009년 12월 - 제14회 한국유통대산 대통령 표창 (종합대상) 수상
  • 2010년 4월 - 제6회 녹색안전경영대상 녹색성장-녹색서비스부문 대상 수상
  • 2010년 6월 - 2010 한국서비스대상 '고객만족대상' 수상 (할인점 부문)
  • 2011년 1월 - 2011 소비자가 뽑은 가장 신뢰하는 브랜드 수상 (대형할인점부문 대상, 디지털조선일보 선정)
  • 2011년 4월 - 2011 고객사랑브랜드대상 수상 (대형할인점부문, 중앙일보/이코노미스트 주최)
  • 2011년 12월 - NCSI(국가고객만족도) 1위 수상 (대형마트 부문 1위) 및 한국아이디어경영대상 수상 (유통서비스부문 대상)
  • 2012년 1월 - 고객감동경영대상 수상 (2년 연속)
  • 2012년 2월 - 그린랭킹 수상 (소비자 및 상업 서비스 부문 1위)
  • 2012년 6월 - 조선일보 환경대상 수상 (환경경영대상 부문) 및 한국서비스대상 수상 (2년 연속 종합대상)
  • 2012년 7월 - 소비자가 선정한 품질만족대상 수상 (2년 연속 대상)
  • 2012년 10월 - 대한민국 나눔국민대상 수상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 2012년 11월 - 대한민국 하이스트 브랜드 선정 등
  • 2012년 12월 - 국가고객만족도(NCSI) 2년 연속 1위, 첫 단독 1위 수상
  • 2013년 4월 - 2013 국가브랜드대상 (대형할인점 부문 1위)
  • 2013년 9월 - 2013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조사 대형마트 부문 1위
  • 2013년 10월 - 2013 한국의 경영대상 '고객만족경영대상' 2년 연속 수상
  • 2013년 12월 - 국가고객만족도(NCSI) 3년 연속 1위, 2년 연속 단독 1위
  • 2014년 3월 - 2014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대형 할인점 부문 대상
  • 2014년 4월 - 2014 국가브랜드대상 수상 대형할인점 부문 2년 연속 1위
  • 2014년 7월 - 2014 KSQI(한국산업의 서비스품질지수) 대형마트 부문 5년 연속 1위
  • 2014년 12월 - 국가고객만족도(NCSI) 4년 연속 1위
  • 2015년 10월 - 2015년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조사 3년 연속 1위
  • 2015년 12월 - 국가고객만족도(NCSI) 5년 연속 1위
  • 2016년 10월 - 2016년 대한민국 하이스트 브랜드 선정
  • 2020년 - 대형마트 부문 국가고객만족도(NCSI) 10년 연속 1위

해외 개점

  • 2008년 - 베트남 1호점 '롯데마트 남사이공점' 개점
  • 2014년 9월 12일 - 인니 1호점 '롯데마트 끄망점' 개점
  • 2014년 12월 19일 - 베트남 10호점 호치민 '롯데마트 떤빈점' 개점
  • 2025년 5월 13일 - 롯데마트 익스프레스 싱가포르 1호점 개점

기타

  • 2025년 1분기 - 해외 시장 영업이익, 분기 최대 실적 200억 원 돌파
Remove ads

영업시간

  • 행당역점, 경기양평점, 동두천점, 제천점, 진장점, 맥스 창원중앙점, 맥스 상무점, 맥스 목포점, 맥스 송천점 - 10:00 ~ 22:00 (12시간)
  • 영종도점, 수원점 - 10:00 ~ 22:30 (12시간 반)
  • 천호점, 김포공항점, 은평점, 서초점, 금천점, 월드타워점, 양평점, 송파점, 삼양점, 청량리점, 중계점, 제타플렉스 잠실점, 강변점, 계양점, 송도점, 청라점, 검단점, 부평점, 삼산점, 연수점, 부평역점, 김포한강점, 시흥배곧점, 선부점, 판교점, 신갈점, 상록점, 광교점, 시흥점, 권선점, 덕소점, 시화점, 고양점, 마석점, 롯데몰수지점, 평택점, 장암점, 이천점, 안성점, 안산점, 천천점, 오산점, 의왕점, 화정점, 주엽점, 석사점, 춘천점, 원주점, 노은점, 대덕점, 서대전점, 성정점, 홍성점, 당진점, 아산터미널점, 서산점, 상당점, 서청주점, 청주점, 충주점, 광복점, 부산점, 동래점, 사상점, 화명점, 사하점, 울산점, 양덕점, 삼계점, 시티세븐점, 진해점, 마산점, 김해점, 장유점, 웅상점, 진주점, 거제점, 통영점, 대구율하점, 포항점, 김천점, 구미점, 수완점, 월드컵점, 첨단점, 남악점, 나주점, 여천점, 여수점, 전주점, 남원점, 정읍점, 군산점, 익산점, 제주점, 맥스 영등포점, 맥스 금천점 - 10:00 ~ 23:00 (13시간)
  • 제타플렉스 서울역점 - 10:00 ~ 24:00 (14시간)
  • 동부산점 - 10:30 ~ 22:00 (11시간 반)

휴무일 안내

  • 둘째주, 넷째주 월요일 - 동부산점, 광복점, 부산점, 동래점, 사상점, 화명점, 사하점, 대구율하점
  • 둘째주, 넷째주 수요일 - 서초점, 행당역점, 청량리점, 제타플렉스 서울역점, 김포한강점, 덕소점, 고양점, 마석점, 동두천점, 장암점, 안성점, 오산점, 의왕점, 화정점, 주엽점, 원주점, 홍성점, 당진점, 상당점, 서청주점, 청주점, 김천점, 구미점
  • 둘째주, 넷째주 일요일 - 천호점, 김포공항점, 은평점, 금천점, 월드타워점, 양평점, 송파점, 삼양점, 중계점, 제타플렉스 잠실점, 강변점, 계양점, 송도점, 청라점, 검단점, 부평점, 영종도점, 삼산점, 연수점, 부평역점, 시흥배곧점, 경기양평점, 판교점, 신갈점, 광교점, 수원점, 시흥점, 권선점, 시화점, 롯데몰수지점, 평택점, 이천점, 천천점, 석사점, 춘천점, 노은점, 대덕점, 서대전점, 아산터미널점, 성정점, 서산점, 제천점, 진주점, 거제점, 양덕점, 김해점, 삼계점, 시티세븐점, 진해점, 웅상점, 장유점, 통영점, 마산점, 포항점, 수완점, 월드컵점, 첨단점, 남악점, 나주점, 여천점, 여수점, 남원점, 정읍점, 전주점, 군산점, 익산점, 롯데마트 맥스 전체
  • 둘째주 수요일, 넷째주 일요일 - 진장점, 울산점
  • 둘째주 금요일, 넷째주 토요일 - 제주점
  • 매월 10일, 25일 - 충주점
  • 매월 10일, 넷째주 일요일 - 선부점, 상록점, 안산점
Remove ads

점포

요약
관점

점포 수는 총 286개점이다.

대한민국

롯데마트 (대형마트)

자세한 정보 지역, 점포 수 (117개점) ...
  • 대표 전화번호 뒷자리가 7000, 7500, 7700인 곳은 옛 GS마트 매장이었던 곳이다.

롯데마트 스마트스토어

디지털 스마트 매장

자세한 정보 지역, 점포 수 (3개점) ...

롯데마트 맥스

코스트코처럼 회원만 출입할 수 있었으나 2020년 6월부터는 일반인들도 출입이 가능하다. 코스트코와 달리 모든 카드결제가 가능하며 소포장 상품도 존재한다.2022년 1월부터 빅마켓에서 맥스로 전환하였다.

자세한 정보 지역, 점포 수 (6개점) ...

해외

국가 점포수 (3개국 177개점)
중국 116개
인도네시아 50개점
베트남 15개점
Remove ads

통큰

요약
관점

통큰은 2010년 통큰치킨으로 시작된 롯데마트의 브랜드이다. 롯데마트는 12월 17일 ‘통큰’에 대한 상표 출원을 신청하였다.[23]

통큰치킨

2010년 12월 9일에 롯데마트는 전국 82개 점포에서 900g 내외의 프라이드치킨을 마리당 5,000원에 판매하는 '통큰치킨'의 판매를 개시했다. 이 치킨의 가격은 일반적인 치킨 전문점 판매가의 3분의 1 수준이며, 기존 대형마트 판매가보다도 30 ~ 40% 저렴하여 기존의 영세상인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24] 그러나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기존 치킨의 가격이 너무 비쌌다는 지적이 있어 환영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가운데 출시 직후부터 높은 판매량을 보였다.[25] 인터넷 상에는 '통큰치킨'을 반기는 패러디물들이 계속적으로 만들어져 확대재생산되기도 하였다.[26] 지난 10월에도 이마트에서 피자를 저렴한 가격에 판매를 시작한 바 있으며, 이로 인해 대형마트와 기존 상인들간의 갈등은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27] 이 외에도 통큰치킨은 소비자들을 롯데마트로 끌어들이기 위한 미끼상품일 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며,[28] 원가가 저렴해서 역마진 상품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공정위가 조사에 들어가려고 하기도 했다.[29] 또한 출시가 되지도 않은 시점에서 '맛이 없다'는 내용의 후기가 올라와 기존 치킨과 관련된 사람이 올린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며 온라인에서의 갈등의 불씨가 되기도 했다.[30]

부당 염매 여부에 관하여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지금까지로서는 원가 이하로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데다 이로 인해 소비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롯데마트의 가격인하로 인해 오히려 업계내 경쟁이 촉진된다고 보여진다"며 "지금까지는 부당 염매로 볼 정황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31] 그러나 영세 상인들에 피해를 끼친다는 지적에 계속 제기되던 가운데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도 트위터를 통해 통큰치킨을 비판하였다.[32] 또한 일부 치킨 업자들에 의해 롯데마트가 '적자 영업'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33] 결국 통큰치킨에 대한 논란은 롯데마트가 스스로 12월 16일부터 판매를 중단한다고 공지하면서 일단락되었다.[34] 롯데마트는 공지문을 통해 주변 치킨가게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고민한 결과로 판매 중단을 결정했으며 닭의 재고분은 불우 이웃에게 기부하겠다고 밝혔다.[35] 그러나 판매가 중단된 이후로도 BBQ를 비롯한 기존 치킨 가격들에 거품이 끼어있다는 논란이 지속되면서 후폭풍이 일었다.[36] 판매 중단 이후로도 기존 치킨 체인점들의 판매량이 크게 떨어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소비자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거대 이익집단(프랜차이즈협회)에 의해 '선택권이 제한받았다'는 상실감이 표출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37]

롯데마트에서는 이후 큰치킨이라는 이름으로 가격을 올려 계속 치킨을 팔고 있다.

통큰넷북

롯데마트에서는 통큰치킨의 판매를 중단한 직후, 이어서 절반 가격의 통큰넷북을 판매하였다.[38] 엄밀히 말하면 '통큰넷북'이라는 용어는 언론과 인터넷 상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롯데마트는 '통큰치킨' 이후 '통큰'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가 2011년 4월 6일 '통큰', '손큰' 브랜드 전략을 수립을 발표하고 본격적으로 통큰 마케팅을 도입했다. 그 이후에는 통큰과 손큰이라는 말이 널리 쓰여 현재 초밥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기타

  • 2011년 1월 6일 LA식 갈비를 판매한 이후 언론과 인터넷 상에 '통큰갈비'라는 이름으로 화제가 되기 시작했으며, 1월 9일 준비한 물량을 모두 완판하였다.
Remove ads

지점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