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루비콘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루비콘강(라틴어: Rubico/Rubicon)은 이탈리아 북부의 작은 강을 일컫는 라틴어 이름이다. 아리미눔과 카이세나 사이에서 아드리아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로마 제국 시대에 이 강은 충성의 서약으로 무장을 해제하는 장소였다. 당시 파견된 장군 및 군사들이 전쟁이나 훈련 등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루비콘강으로 오면 로마에 충성 서약으로 항상 무장을 해제한 다음에야 루비콘강을 건너는 일종의 전통과 법규가 있었다. 무장을 하고 이 루비콘강을 건너는 것은 곧 로마 제국에 대한 반역을 나타내는 행동이었다. 하지만 이 전통을 먼저 깬 사람이 바로 율리우스 카이사르다.
기원전 49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주사위는 던져졌다는 말을 하고 무장을 해제하지 않고 갈리아 원정을 함께 했던 군사들과 루비콘강을 건너 로마 시로 진군한다. 물론 당시 카이사르가 군대를 이끌고 루비콘강을 건너는 것은 로마 제국에 대한 반역을 의미했다. 하지만 당시 로마 시에는 카이사르의 정치적 라이벌이자 정치적 적이었던 폼페이우스 및 로마 원로원 원로들은 무장한 군인들과 카이사르를 기다렸다. 카이사르에게 무장을 해제하고 루비콘강을 건너는 행위는 곧 이러한 정적들에게 자신의 목숨을 내놓는 일이었다.
결정적으로 갈리아 원정 당시 카이사르의 집정관 재임 기간 연장과 관련된 분쟁도 한몫을 했다. 갈리아 전쟁이 생각보다 오래 지속되어, 카이사르의 집정관 재임 연임기간이 다 되어 원로원에게 연임을 요청하나 원로들은 집정관 연임을 막으면서 문제가 되었다.
원로들은 로마군이 절대적으로 지지하는 카이사르가 로마에 돌아오면 자신들의 정치적/군사적 입지를 흔들 것이라고 여겼다. 카이사르가 무장을 하고 루비콘강을 건너거나, 무장을 해제하고 루비콘강을 건너거나 상관없이 원로들이 집정관의 의무와 자격을 물어 적당한 죄명을 넣어서 죽일 궁리를 했었기에 카이사르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이때부터 "루비콘강을 건너다."라는 표현은 더 이상 되돌리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을 때 쓴다.
Remove ads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루비콘강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Chisholm, Hugh 편집 (1911). 〈Rubicon〉 11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Livius.org: Rubico 보관됨 2012-12-22 - 웨이백 머신
- Rubicon in dictionary
- Pearce, M., R. Peretto, P. Tozzi, R. Talbert, T. Elliott, S. Gillies (2020년 11월 15일). “Places: 393484 (Rubico fl.)”. Pleiades. 2012년 3월 8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고대 로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