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루이스 (가수)
대한민국의 가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루이스(Louis, 본명: 임상훈[1], 1978년 12월 17일 ~ )는 1998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98년 정규 음반 《Possibility》로 데뷔하였으며, 2000년 두 번째 정규 음반 《天才少年》을 발매하였다. 이후 앨컴(Alchem)과 함께 프로젝트 그룹 싸이코포닉(Psychophonic)을 결성하여 2001년 《Psychophonic》을 발매하였고[2], 이듬해에는 2인조 그룹 춘부라더쓰를 프로듀싱하였다.
Remove ads
생애
요약
관점
데뷔 이전
루이스는 1978년 12월 17일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새스커툰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보내다가, 대한민국으로 와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서울압구정초등학교를 졸업하였다.[3] 아홉 살의 나이에 피아노를 독학으로 익혔고, 중학교 1학년이던 해에는 작곡을 시작하였다.[3] 그는 압구정중학교를 다니던 도중 3학년을 다 마치지 않고 캐나다로 유학을 가, 고향인 새스커툰에 있는 월터 머레이 컬리지엣(Walter Murray Collegiate)으로 편입하여 음악을 공부하였다.[3][4]
이후 미국 뉴저지주 버건 군 테너플라이에 있는 테너플라이 고등학교(Tenafly High School)에 진학하였고, ‘Dead End’라는 록 그룹을 결성하여 1994년과 1995년 두 번 지역 음악 경연 대회에 나가기도 하였다.[3][4] 그러나 졸업하지 못하고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였으며[5],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2가에 있는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외국인학교에 진학한 뒤 수료할 때까지 미발표 자작곡을 만들었다.[3][4] 검정고시로 고등학교 졸업학력을 땄으며[5],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 텍사스주에 있는 텍사스 컬리지(Texas College)에 재학하였다.[3]
1998-99: 데뷔와 중국 활동
1998년 초 루이스는 서영은의 데뷔 음반 수록곡 〈여운〉의 작곡을 맡아 작곡가로 데뷔하였다.[6] 1998년 3월 31일[7] 첫 번째 정규 음반 《Possibility》가 발매되었다. 이 음반에는 김준선이 작곡자로 참여하였다.[8] 2번 트랙 〈20〉은 루이스가 작사 및 작곡을 맡고 우상문이 편곡한 자전적인 가사의 록 발라드 곡으로, 피아노와 기타에 서재형과 김재만이 참여하였다.[9] 8번 트랙 〈루이스의 사랑〉은 김준선이 작사와 작곡을 맡고 우상문과 김준선이 편곡한 록 댄스 곡으로, N.EX.T의 김세황이 기타를 담당하였다.[9]
이후 루이스는 대한민국과 중국을 오가며 활동하였다.[6] 1998년 6월 25일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로 출국하여[10] 6월 말 콘서트를 진행하였다.[11] 11월에는 중국에서 신곡 〈啦啦啦(等着你)→랄랄라(널 기다리며)〉를 타이틀 곡으로 하는 음반을 발매하였는데, 루이스가 작사와 작곡을 한 이 노래는 남녀 사이의 슬픈 사랑을 표현한 곡이다.[9]
1999년에는 중국에서 〈Yao, yao !! (搖搖)〉라는 댄스 음악 곡을 공개하였다.[12] 이 곡은 스티비 원더의 〈Sir Duke〉 일부분을 전주에 응용하였다.[13] 같은 해 여름에는 대한민국에서 신곡 〈중화반점〉을 공개하였다.[14][15][16] 이 곡은 중국풍 멜로디와 한국풍 트로트 리듬이 재치 있는 가사와 함께 섞인 것이 특징이다.[16] 인트로는 노브레인과 위퍼(Weeper)의 합작 음반 《OUR NATION 2》의 9번 트랙 〈무제〉로부터 모티브를 얻었다.[17]
2000-05: 天才少年, 프로듀서와 그룹 활동
2000년 5월 18일[18] 두 번째 정규 음반 《天才少年》이 발매되었다.[16] 루이스 자신이 프로듀싱한 이 음반은 원래 1999년 8월 중순에 발매될 계획이었다.[19] 타이틀 곡 〈Angelina〉(엔젤리나)는 루이스가 작곡한 칸소네 풍의 록 발라드 곡이다.[19][16] 6번 트랙 〈중화반점〉은 1999년 여름에 공개되었던 곡을 실은 것이다.
2000년 6월 루이스는 공동 프로듀서 앨컴(Alchem), 매니저 이지노와 함께 실험적인 인디 음악을 추구하는 실험독립만세(實驗獨立萬歲)라는 단체를 창단하고, 그와 동시에 앨컴과 함께 싸이코포닉(Psychophonic)이라는 2인조 그룹을 결성하였다.[20] 싸이코포닉은 2001년 4월 17일 첫 번째 정규 음반 《Psychophonic》을 발매하였다.[21] 타이틀 곡 〈사(死)〉는 죽음을 기다리는 사람의 감정을 나타낸 곡으로[2], 우순실의 창과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방영된 자살 육성이 샘플링되어 있다.[22] 3번 트랙 〈헤어지는 친구에게〉는 원래 입대를 앞둔 친구를 위하여 썼던 곡으로, 국악 타악기 소리를 샘플링하여 굿거리 장단을 구현하였고, 직접 분 대금 소리를 샘플링하여 대금을 연주하는 것처럼 만들었다.[22] 4번 트랙 〈성난 개구리가 길에서 만난 수레를 받다〉와 6번 트랙 〈고스톱 랩소디〉는 2001년 영화 《7인의 추억》에 삽입되었다.[2] 5번 트랙 〈중화반점 - 완존 사기 라이부 버전〉은 루이스의 두 번째 정규 음반에 실린 〈중화반점〉에 박수와 함성 소리, 호니 플레이(Horny Play)의 관악기 소리 등을 더하여 재편곡한 곡이다.[22] 7번 트랙 〈추억 속에서〉는 자신의 추억에 남아 있는 상대의 모습을 기억하겠다는 내용으로[22], 뉴에이지 테크노 장르의 웅장한 곡이다.[2] 9번 트랙 〈이동(移東)〉은 시베리아의 기마민족이 남동쪽으로 이동하여 한반도에 정착하였다는 학설을 형상화한 연주곡으로, 말발굽 소리, 눈 밟는 소리 등이 샘플링되었다.[22] 12번 트랙 〈이상무〉는 음반의 의도에 관한 곡으로, 전동식 연필깎이와 라디오의 소리가 샘플링되었다.[22]
2001년 여름 루이스는 실험독립만세의 이름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헌정 음반인 《Tribute to 위안부 할머니》를 발매하고[6], 나아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기 위하여 8월 13일에 헌정 공연 “할머니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를 개최하였다.[23] 루이스는 1999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강덕경(姜德景)이 그린 《빼앗긴 순정》을 보고 충격을 받아, 한국 문화와 역사를 공부하고, 일본군 ‘위안부’에 관하여 다양한 자료를 찾기 시작하였다.[5][24]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서는 음반의 기획 취지에 맞게 문필기(文必琪)를 추천하여, 문필기는 타이틀 곡 〈빼앗긴 순정〉의 가창에 참여하였다.[6][25] 이 곡은 ‘난 아파요. 난 울었죠. 난 버렸죠. 날 가뒀죠.’ 등의 가사가 반복되는 곡으로, 《빼앗긴 순정》을 주제로 한다.[1][26] 2번 트랙 〈증언〉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경험을 권희덕의 나레이션으로 옮긴 곡이다.[24][26] 3번 트랙 〈조용한 아침의 나라〉는 동명의 시를 주제로 한 곡으로, 우순실이 가창하였으며, 〈눈물젖은 두만강〉의 전주를 샘플링하였다.[26] 4번 트랙 〈끌려감〉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순덕의 동명의 그림을 주제로 한 곡이며, 5번 트랙 〈엄마의 일기를 펴고...〉는 루이스의 기존 음반에 실린 것을 그대로 가져왔다.[26] 그 밖에 7번 트랙으로 〈아리랑〉이, 10번 트랙으로 편곡된 〈애국가〉가 실려 있다.[26]
2001년 10월, 루이스는 두 명의 청년 맹춘식(본명: 최창국)과 맹춘삼(본명: 김준호)이 ‘춘부라더쓰’라는 이름으로 〈중화반점〉을 립싱크하여 올린 엽기 흑백 동영상을 우연히 보았다.[27][28] 둘은 서울신명초등학교와 신명중학교 동창으로[29], 2001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로 다른 식당에서 일하다가 만나 친해진 뒤, 맹춘삼의 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팬티만 입은 차림으로 ‘뽀뽀뽀’, ‘짤랑짤랑’, ‘곰 세 마리’, ‘국민체조’ 등의 영상을 찍어 올렸었다.[27][30] 루이스는 이들을 만난 뒤 자신이 기획하던 한일월드컵 음반을 함께 작업하기로 하였으며[27], 곧이어 춘부라더쓰는 루이스가 세운 LIM 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되었다.[30] 루이스는 총 13곡이 수록된 《춘부라더쓰 월드컵쏭》이라는 음반을 프로듀싱하였으며[31], 춘부라더쓰는 2002년 2월부터 트럭을 타고 월드컵 응원가를 부르며 거리 공연을 진행하면서 성금을 모아 고아원에 축구공을 보내는 캠페인을 하였다.[27][32] 이들은 ‘명랑’ 엽기가수로 인기를 끌었으나[30], 군 복무로 활동을 중단하였다.[28]
2006-현재: 일반인으로의 삶
2006년경 서울 홍대에서 ‘FF’라는 클럽을 경영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2013년 8월 30일 첫 번째 디지털 싱글 〈건배〉를 시작으로 몇 차례 디지털 싱글을 발표하였으며, 신인 가수 김도형, 호구, 임상헌 등의 프로듀싱[33][34][35]을 맡았다. 한편 루이스의 음반에 자주 참여한 작곡가 전영진은 우송정보대학 글로벌실용예술학부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36]
Remove ads
음반 목록
정규 음반
디지털 싱글
Remove ads
음반 외 활동
공연
- 1998년 6월 - 콘서트 (중국 선양)
- 2001년 8월 13일 - “할머니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 (서울 연강홀)
방송
가족 관계
가족으로 아버지, 어머니, 누나, 남동생이 있다. 누나는 대학교에서 첼로를 전공하였고, 남동생은 중국에서 유학한 경력이 있다.[5]
루이스의 아버지 임춘수[5][38]는 1·4 후퇴 때 함경남도 함흥시에서 서울로 피난하였다.[39] 1966년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3년 동국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76년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립대학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뒤 삼 년 간 프라이스워터하우스 캐나다에 재직하였다.[40] 1980년에 춘수물산과 한양잉크(당시 한양화학공업[41])를 설립하였다.[42] 2019년 1월 21일에 루이스와 함께 부른 발라드 〈오대산 연가〉를 발매하였다.[43]
루이스의 어머니 임인옥[5]은 연세대학교 생화학과를 졸업한 뒤 1983년부터 약 삼 년 동안 여성의전화에서 상담원과 교육부장으로 근무하였고, 1989년에는 여성신문 교육문화원의 초대 원장을 맡았으며, 이후 여성신문의 이사직을 맡고 있다.[38] 2010년에는 연세대학교 여자총동창회장에 취임하였다.[44]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