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의 작품은 여러 판으로 출판되었다. 그것들 중 첫 번째 판은 1862년에서 1865년 사이에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사에 의해 출판된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작품: 완전하고 비판적으로 검토되고 보편적으로 승인된 판》, 일명 《베토벤 전집판Beethoven Gesamtausgabe》(줄여서 GA)으로 불리는 것으로, 1888년에 이 판본에 대한 보충본이 출판되었다. 보충본은 그 당시 획기적인 성과였지만, 곧 그 한계가 분명해졌다. 1959년과 1971년 사이에 윌리 헤스는 전집판에 없는 작품을 담은 《베토벤: 모든 작품: 전집판에 대한 보충판Beethoven: Sämtliche Werke: Supplemente zur Gesamtausgabe》(줄여서 HS)을 준비했다.
1961년 이래로 베토벤 아카이브는 베토벤 작품의 학술적으로 비판적인 새로운 완전판인 《베토벤: 작품: 모든 작품의 신판Beethoven: Werke: neue Ausgabe sämtlicher Werke》[6](줄여서 NA)을 출판해 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예상된 56권 중 42권만 출판되었다.[7] 이 판은 완전히 출판되지 않았기 때문에 NA 지정이 없는 작품이 있다.
출판물의 범례 – p : 파트별 s : 총보 vs : 성악 파트 악보
다음 베토벤의 작품 목록은 장르에 의해 나누고, 그 안에서 한층, 혹은 두층 더 세분화 된 종류로 그룹화했다. 그리고 그 그룹내에서는 작곡 연대순으로 배치했다.
베토벤은 9개의 교향곡을 남겼다.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8]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Op. 21 |
교향곡 1번 C 장조 |
1799–1800년; 1800년 4월 2일 |
p: 1801년 라이프치히 |
고트프리트 판 슈비텐 남작 |
i/1 |
i/1[9] |
Op. 36 |
교향곡 2번 D 장조 |
1801–2년; 1803년 4월 5일 |
p: 1804년 빈; 1805년 빈, 피아노,바이올린,첼로를 위한 |
카를 폰 리히놉스키 공작 |
i/2 |
i/1[9] |
Op. 55 |
교향곡 3번 E♭ 장조 (“영웅”) |
1803년; 1805년 4월 7일[10] |
p: 1806년 빈 |
요제프 프란츠 폰 롭코비츠 공작 |
i/3 |
i/2[9] |
Op. 60 |
교향곡 4번 B♭ 장조 |
1806년; 1807년 3월 |
p: 1808년 빈 |
프란츠 폰 오퍼스도르프 백작 |
i/4 |
i/2[9] |
Op. 67 |
교향곡 5번 c 단조 ("운명") |
1807–8년;[11] 1808년 12월 22일 |
p: 1809년 라이프치히 |
롭코비츠 공작과 라주몹스키 백작 |
i/5 |
i/3[9] |
Op. 68 |
교향곡 6번 F 장조 (“전원”) |
1808년; 1808년 12월 22일 |
p: 1809년 라이프치히 |
롭코비츠 공작과 라주몹스키 백작 |
i/6 |
i/3[9] |
Op. 92 |
교향곡 7번 A 장조 |
1811–12년; 1813년 12월 8일 |
s, p: 1816년 빈 |
모리츠 폰 프리스 백작 |
i/7 |
|
Op. 93 |
교향곡 8번 F 장조 |
1812년; 1814년 2월 27일 |
s, p: 1817년 빈 |
|
i/8 |
|
Op. 125 |
교향곡 9번 d 단조 (“합창”) |
1822–24년; 1824년 5월 7일 |
s, p: 1826년 마인츠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
i/9 |
i/5[9] |
닫기
베토벤은 생애 마지막 해에 교향곡 10번의 작곡을 의도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가능한 스케치의 공연 버전은 배리 쿠퍼에 의해 단악장으로 재구성 됐고, 1988년 런던 로얄 리버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의해 런던에서 초연됐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 탄생 250주년 행사 때에는 AI에 의해 나머지 부분이 완성되어 공개될 예정이다.[12]
한때 베토벤의 초기 교향곡으로 알려졌던 “예나” 교향곡(C 장조)은 프리드리히 비트의 작품으로 밝혀졌다.
베토벤의 협주곡은 7개가 널리 알려져 있다. "피아노 협주곡" 5개, "바이올린 협주곡" 1개, "삼중 협주곡" 1개가 그것들이며, 로망스(1번, 2번)나 합창이 가미된 합창 환상곡 등 협주적 작품들도 잘 알려져 있다.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4 |
피아노 협주곡 0번 E♭ 장조, WoO 4 |
1784년 |
s: GA |
피아노 악보로만 생존 (독주 파트에 관현악 단서가 포함됨) |
xxv/310 |
iii/5[13] |
Op. 15 |
피아노 협주곡 1번 C 장조 |
1795년, 개정. 1800년; 1795년 12월 18일 |
p: 1801년 빈 |
안나 루이즈 바바라 오데스칼치 공주 (네 폰 케글레비치 백작 부인) |
ix/65 |
iii/2[13] |
|
1악장용 카텐차 3작품 |
1809년 |
GA |
|
ix/70a |
vii/7[13] |
Op. 19 |
피아노 협주곡 2번 B♭ 장조 |
1788년경 시작, 1794–5년 개정, 1798년; 1795년 3월 29일 |
p: 1801년 라이프치히 |
카를 니콜라스 폰 니켈스베르크 |
ix/66 |
iii/2[13] |
Op. 37 |
피아노 협주곡 3번 c 단조 |
?1800–03년; 1803년 4월 5일 |
p: 1804년 빈 |
루이 페르디난트 폰 프로이센 왕자 |
ix/67 |
iii/2[13] |
|
1악장용 카텐차 1작품 |
1809년 |
GA |
|
ix/70a |
vii/7[13] |
Op. 58 |
피아노 협주곡 4번 G 장조, Op. 58 |
1804–6/7년; 1808년 12월 22일 |
p: 1808년 빈 |
오스트리아의 루돌프 대공 |
ix/68 |
iii/3[13] |
|
1악장용 카텐차 2작품, 피날레용 카텐차 1작품 |
?1809년 |
GA |
|
ix/70a |
vii/7[13] |
|
1악장용 카텐차 1작품, 피날레용 카텐차 2작품 (Hess 81, 82, 83) |
?1809년 |
NA |
|
HSx |
vii/7[13] |
Op. 61a |
피아노 협주곡 D 장조 (Op. 61의 피아노 편곡판) |
1807년 |
p: 1808년 빈; 1810년 런던 |
율리에 폰 브로이닝 |
ix/73 (독주부) |
iii/5[13][13] |
|
1악장용 카텐차 1작품, 피날레용 1작품 |
?1809년 |
GA |
|
ix/70a |
vii/7[13] |
|
피날레용 카텐차 2작품 (Hess 84–5) |
?1809년 |
NA |
|
HSx |
vii/7[13] |
Op. 73 |
피아노 협주곡 5번 E♭ 장조 (“황제”) |
1809년; 1811년 11월 28일 |
p: 1810년 런던; 1811년 라이프치히 |
루돌프 대공 |
ix/69 |
iii/3[13] |
Hess 15 |
피아노 협주곡 6번 D 장조, 미완성 작품 |
1814–5년; 1803년 4월 5일 |
|
70장 분량의 남겨진 1악장 스케치가 1987년에 니콜라스 쿡에 의해 완성됨 |
|
|
닫기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5 |
바이올린 협주곡 C 장조, 미완성 작품 |
1790–92년 |
1879년 빈 |
오직 1악장 파트만 존재; 1악장 판은 게르하르트 폰 브로이닝에게 헌정됨 |
HS iii |
|
Op. 61 |
바이올린 협주곡 D 장조 |
1806년; 1806년 12월 23일 |
p: 1808년 빈; 1810년 런던 |
슈테판 폰 브로이닝 |
iv/29; HSx |
iii/4[13] |
닫기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Op. 56 |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 협주곡 C 장조 |
1804–7년; 1808년 5월 |
p: 1807년 빈 |
요제프 프란츠 폰 로브코비츠 공작 |
ix/70 |
iii/1[13] |
닫기
오보에 협주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Hess 12 |
오보에 협주곡 F 장조, 분실된 작품 |
?1792–3 |
|
1793년 이후에 빈으로부터 본에 보내짐; 일부 스케치가 살아남음 |
|
|
닫기
독주 악기와 관현악을 위한 다른 작품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Hess 13 |
플루트, 바순,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로망스 칸타빌레 e 단조 |
?1786년 |
1952년 비스바덴 |
더 큰 작품의 느린 악장으로 의도됨 |
HS iii |
|
WoO 6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론도 B♭ 장조 |
1793년 |
p: 1829년 빈 |
피아노 협주곡 2번의 피날레로 의도됨; 초판을 위한 독주 파트는 카를 체르니에 의해 완성됨 |
ix/72; HS ii |
iii/5[14] |
Op. 50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로망스 2번 F 장조 |
1798년 경; ?1798년 11월 |
p: 1805년 빈 |
|
iv/31 |
iii/4[14] |
Op. 40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로망스 1번 G 장조 |
1801–2년 |
p: 1803년 라이프치히 |
|
iv/30 |
iii/4[14] |
Op. 80 |
피아노,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환상곡 c 단조 ("합창 환상곡") |
1808년, 1809년 개정; 1808년 12월 22일 |
p: 1810년 런던; 1811년 라이프치히 |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
HS xix/71 |
x/2[14] |
닫기
베토벤은 교향곡, 협주곡 이외에도 연극 등에 수반되는 부수 음악부터 오페라나 극과는 관련이 없는 독립적인 형태의 연주회용 서곡, 그리고 특정 행사를 위해 작곡한 기타 "비정기적"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현악곡을 썼다.
연주회용 서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Op. 62 |
코리올란 c 단조 |
1807년; 1807년 3월 |
p: 1808년 빈 |
하인리히 요제프 폰 콜린 |
iii/18 |
ii/1[15] |
Op. 138 |
레오노레 서곡 1번 C 장조 |
1807년; 1828년 2월 7일 |
s, p: 1838년 빈 |
오페라 "피델리오"의 제3원고 서곡 |
iii/19 |
ix/1[15] |
Op. 72a |
레오노레 서곡 2번 C 장조 |
1804–5년; 1805년 11월 20일, 안 데르 빈 극장 |
s: HS |
오페라 "피델리오"의 제1원고 서곡 |
HS ii. xi-xiii |
ix/1[15] |
Op. 72b |
레오노레 서곡 3번 C 장조 |
1805–6년; 1806년 3월 29일, 안 데르 빈 극장 |
s: HS |
오페라 "피델리오"의 제2원고 서곡 |
HS xi–xiii |
ix/1[15] |
Op. 115 |
명명축일 C 장조 |
1814–15년; 1815년 12월 25일 |
s, p: 1825년 빈 |
안토니 라드치빌 공작 |
iii/22 |
ii/1[15] |
Op. 124 |
헌당식 C 장조 |
1822년; 1822년 10월 3일, 요셉슈타트극장 |
s: 1825년 마인츠 |
니콜라이 갈리친 공작; 전 곡은 서곡 외, 아테네의 폐허 Op. 113으로부터 4곡을 전용, WoO 98과 함께 초연 |
iii/24 |
ii/1[15] |
닫기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Op. 84 |
에그몬트 |
1809–10년; 1810년 6월 15일 |
p: 1810년 라이프치히 [서곡], 1812년 라이프치히 [나머지]; vs: 1812년 라이프치히 [서곡 없이]; s: 1831년 라이프치히 |
괴테의 동명 희곡을 위한 극음악 (서곡과 9곡) |
ii/12, iii/27; HS v (no.4) |
ix/7[16] |
Op. 113 |
아테네의 폐허 |
1811년: 1812년 2월 10일 |
s: 1823년 빈 [서곡만], 1846년 빈 [전체],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
xx/207, iii/28 |
x/8[16] |
Op. 117 |
슈테판왕 |
1811년; 1812년 2월 10일 |
s: 1826년 빈 [서곡만], GA [전체] |
코체부의 동명 희곡을 위한 극음악 (서곡과 9곡) |
xx/207b, iii/23 |
ix/8[16] |
WoO 2a |
쿠프너의 비극, 타르페이아를 위한 개선행진곡 C 장조 |
1813년; 1813년 3월 26일 |
p: 1840년 빈; s: GA |
|
ii/14 |
ix/7[16] |
WoO 2b |
쿠프너의 비극, 타르페이아를 위한 2막 전주곡 D 장조 |
1813년; 1813년 3월 26일 |
s: 1938년 마인츠 |
|
HS iv |
|
WoO 96 |
레오노레 프로하스카 |
1815년 |
s: GA |
던커의 동명 희곡을 위한 극음악 (4곡) |
xxv/272 |
ix/7[16] |
WoO 98 |
헌당식을 위한 합창 (소프라노 독창이 있는 합창, "생기있게 뛰는 맥박") |
|
s: GA |
|
xxv/266 |
ix/8[16] |
닫기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1 |
기사의 발레를 위한 음악 |
1790–91년; 1791년 3월 6일 본 |
pf: 1872년 라이프치히와 핀터투어; s: GA |
8곡 |
xxv/286; HS viii |
ii/2[17] |
Op. 43 |
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 |
1800–01년; 1801년 3월 28일 빈 부르크 극장 |
for pf: 1801년 빈; p: 1804년 라이프치히 [서곡만]; s: GA |
크리스티아네 폰 리히놉스키 공작부인; 서곡, 서주와 16곡 |
ii/11; HX viii |
ii/2[17] |
닫기
기타 관현악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Op. 91 |
웰링턴의 승전 ("전쟁 교향곡) |
1813년; 1813년 12월 8일 |
s, p: 1816년 빈; for pf: 1816년 런던과 빈 |
잉글랜드의 섭정 황태자 (나중에는 조지 4세); 2파트로 되어있어 구성상으로는 최초의 교향시임 |
ii/10; HS viii (for pf) |
ii/1[18] |
WoO 3 |
축하 미뉴에트, E♭ 장조 |
1822년; 1822년 10월 3일 빈 요제프슈타트 극장 |
1832년 |
카를 프리드리히 헨슬러 |
|
|
닫기
베토벤은 16개(대푸가 포함 17개)의 현악 사중주와 기타 다양한 형태의 실내악곡을 남겼다. 베토벤이 남긴 현악기를 위한 실내악곡에는 현악 삼중주, 현악 사중주, 현악 오중주 등이 있고, 피아노를 포함한 실내악곡에는 바이올린 소나타, 첼로 소나타, 피아노 삼중주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베토벤은 관악기를 위한 실내악곡도 남겼다.
현악기를 위한 실내악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Op. 3 |
현악 삼중주 1번 E♭ 장조 |
1794년 이전 |
1796년 빈 |
|
vii/54 |
vi/6[19] |
Op. 8 |
현악 삼중주를 위한 세레나데 D 장조 ("현악 삼중주 2번") |
1796-7년 |
1797년 빈 |
|
vii/58 |
vi/6[20] |
Op. 9/1 |
현악 삼중주 3번 G 장조 |
1797–8년 |
1798년 빈 |
요한 게오르그 폰 브라운 백작 |
vii/55 |
vi/6[21] |
Op. 9/2 |
현악 삼중주 4번 D 장조 |
1797–8년 |
1798년 빈 |
요한 게오르그 폰 브라운 백작 |
vii/56 |
vi/6[21] |
Op. 9/3 |
현악 삼중주 5번 c 단조 |
1797–8년 |
1798년 빈 |
요한 게오르그 폰 브라운 백작 |
vii/57 |
vi/6[21] |
닫기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Op. 18/3 |
현악 사중주 3번 D 장조 |
1798–9년 |
1801년 빈 |
요제프 프란츠 폰 롭코비츠 공작 |
vi/39 |
vi/3[22] |
Op. 18/1 |
현악 사중주 1번 F 장조 |
1799년 |
1801년 빈 |
요제프 프란츠 폰 롭코비츠 공작 |
vi/37 |
vi/3[22] |
Op. 18/2 |
현악 사중주 2번 G 장조 |
1799년 |
1801년 빈 |
요제프 프란츠 폰 롭코비츠 공작 |
vi/38 |
vi/3[22] |
Op. 18/5 |
현악 사중주 5번 A 장조 |
1799년 |
1801년 빈 |
요제프 프란츠 폰 롭코비츠 공작 |
vi/41 |
vi/3[22] |
Op. 18/4 |
현악 사중주 4번 c 단조 |
1799년 |
1801년 빈 |
요제프 프란츠 폰 롭코비츠 공작 |
vi/40 |
vi/3[22] |
Op. 18/6 |
현악 사중주 6번 B♭ 장조 |
1800년 |
1801년 빈 |
요제프 프란츠 폰 롭코비츠 공작 |
vi/42 |
vi/3[22] |
Hess 34 |
현악 사중주 F 장조 |
1801–2년 |
1802년 빈 |
요제피네 폰 브라운 남작부인; 피아노 소나타 9번의 편곡판 |
|
|
Op. 59/1 |
현악 사중주 7번 F 장조 ("라주몹스키 1번") |
1806년 |
1808년 빈 |
안드레이 라주몹스키 백작 |
vi/43 |
vi/4[22] |
Op. 59/2 |
현악 사중주 8번 e 단조 ("라주몹스키 2번") |
1806년 |
1808년 빈 |
안드레이 라주몹스키 백작 |
vi/44 |
vi/4[22] |
Op. 59/3 |
현악 사중주 9번 C 장조 ("라주몹스키 3번") |
1806년 |
1808년 빈 |
안드레이 라주몹스키 백작 |
vi/45 |
vi/4[22] |
Op. 74 |
현악 사중주 10번 E♭ 장조 (“하프”) |
1809년 |
1810년 런던과 라이프치히 |
프란츠 요제프 폰 롭코비츠 공작 |
vi/46 |
vi/4[22] |
Op. 95 |
현악 사중주 11번 f 단조 (“세리오소”) |
1810–1년; 1814년 5월 |
1816년 빈 |
니콜라우스 츠메스칼폰 도마노베츠 남작 |
vi/47 |
vi/4[22] |
Op. 127 |
현악 사중주 12번 F♭ 장조 |
1824–5년; 1825년 3월 6일 |
1826년 마인츠 |
니콜라이 갈리친 공작 |
vi/48 |
vi/5[22] |
Op. 132 |
현악 사중주 15번 a 단조 ("성스러운 감사의 노래") |
1825년; 1825년 11월 6일 |
1826년 파리와 베를린 |
니콜라이 갈리친 공작 |
vi/51 |
vi/5[22] |
Op. 130 |
현악 사중주 13번 B♭ 장조 |
1825–6년; 1826년 3월 21일, 1827년 4월 22일(새 피날레와 함께) |
1827년 빈 |
니콜라이 갈리친 공작[23] |
vi/49 |
vi/5[22] |
Op. 133 |
현악 사중주를 위한 대푸가 B♭ 장조 |
1825–6년; 1826년 3월 21일 |
1827년 빈 |
루돌프 대공; Op. 130의 오리지날 엔딩 |
vi/53 |
vi/5[22] |
Op. 131 |
현악 사중주 14번 c# 단조 |
1825–6년 |
1827년 마인츠 |
요제프 폰 스투터하임 남작 |
vi/50 |
vi/5[22] |
Op. 135 |
현악 사중주 16번 F 장조 |
1826년; 1828년 3월 23일 |
1827년 베를린과 파리 |
요한 네포무크 볼프마이어 |
vi/52 |
vi/5[22] |
닫기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Op. 4 |
현악 오중주 E♭ 장조 |
1795년 |
1796년 빈 |
팔중주, Op. 103를 완전히 재구성한 버전 |
v/36 |
vi/2[24] |
Op. 29 |
현악 오중주 C 장조 ("폭풍") |
1801년 |
1802년 라이프치히 |
모리츠 폰 프라이스 백작 |
v/34 |
vi/2[24] |
Op. 104 |
현악 오중주 c 단조 |
1817년; 1818년 12월 10일 |
1819년 빈과 런던 |
피아노 삼중주, Op. 1/3의 편곡판; 베토벤에 의해 수정된 편곡판이지만, 최초에 카우프만에 의해 각색된 것으로 추정 |
v/36a |
vi/2[24] |
Hess 40 |
현악 오중주를 위한 전주곡 d 단조 |
1817년 |
1955년 SMz, xcv |
|
HS vi |
vi/2[24] |
Op. 137 |
현악 오중주를 위한 푸가 D 장조 |
1817년 11월 |
1827년 빈 |
|
v/35 |
vi/2[24] |
Hess 41 |
현악 오중주 C 장조 |
1826–7년 |
1838년 빈 |
피아노 필사에서만 살아남음, WoO 62 |
HS viii |
|
닫기
현악기를 위한 기타 실내악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32 |
비올라와 첼로를 위한 이중주 "두 개의 오블리가토 안경과 함께" ("안경 이중주") |
1796–7년 |
1악장ː 1912년 라이프치히; 미뉴에트ː 1952년 프랑크푸르트, 런던과 뉴욕 |
니콜라우스 츠메스칼 폰 도마노베츠 남작을 위해 쓴 것으로 여겨짐 |
HS vi |
vi/6[25] |
WoO 34 |
두 개의 바이올린을 위한 이중주 A 장조 |
1822년 4월 |
테오도르 폰 프리멜: 루트비히 판 베토벤 (1901년 베를린) |
알렉상드르 보처 |
HS vi |
|
닫기
피아노를 포함한 실내악곡
독주 악기와 피아노
호른 소나타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Op. 17 |
호른 소나타 F 장조 |
1800년; 1800년 4월 18일 |
1801년 빈 |
요제피네 폰 브라운 남작부인 |
xiv/112 |
v/4[28] |
닫기
플루트 소나타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Anh 4 |
플루트 소나타 B♭ 장조 |
?1790–2년경 |
1906년 라이프치히 |
베토벤이 사망한 후 서류에서 발견된 원고 사본, 확실하지 않음 |
HS ix |
|
닫기
만돌린 음악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43a |
만돌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나 c 단조 |
1796년 |
Grove1 ("만돌린") |
조제핀 드 클라리 백작부인을 위해 쓴 것으로 추정 |
xxv/295 |
v/4[28] |
WoO 43b |
만돌린과 피아노를 위한 아다지오 E♭ 장조 |
1796년 |
GA |
조제핀 드 클라리 백작부인을 위해 쓴 것으로 추정 |
xxv/296 |
v/4[28] |
WoO 44a |
만돌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나 C 장조 |
1796년 |
메르케어, iii (1912년) |
조제핀 드 클라리 백작부인을 위해 쓴 것으로 추정 |
HS ix |
v/4[28] |
WoO 44b |
만돌린과 피아노를 위한 안단테와 변주곡 D 장조 |
1796년 |
주데텐독일 음악보관소 (1940년), 1번 |
조제핀 드 클라리 백작부인을 위해 쓴 것으로 추정 |
HS ix |
v/4[28] |
닫기
기타 독주 악기와 피아노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40 |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중 "춤을 추신다면" 주제에 의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 E♭ 장조 |
1792-3년 |
1793년 빈 |
엘레오노레 폰 브로우닝 |
xii/103 |
v/2[26] |
WoO 41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론도 G 장조 |
1793–4년 |
1808년 본 |
|
xii/102 |
v/2[26] |
WoO 45 |
헨델의 오라토리오 유다스 마카베우스 중 "보라, 정복의 영웅이 온다" 주제에 의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 G 장조 |
1796년 |
1797년 빈 |
크리스티아네 폰 리히놉스키 후작부인 |
xiii/110 |
v/3[27] |
Op. 66 |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 중 "처녀인가 부인인가" 주제에 의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 F 장조 |
?1796년 |
1798년 빈 |
|
xiii/111 |
v/3[27] |
WoO 46 |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 중 "사랑을 느끼는 남자들은" 주제에 의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 E♭ 장조 |
1801년 |
1802년 빈 |
요한 게오르그 폰 브라운 백작 |
xiii/111a |
v/3[27] |
Op. 41 |
플루트(또는 바이올린)와 피아노를 위한 세레나데 D 장조 |
1803년 |
1803년 라이프치히 |
세레나데 Op. 25의 편곡판; 베토벤에 의해 승인 및 수정되었지만 대체로 다른 사람의 작업 |
HS ix |
|
Op. 42 |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노투르노 D 장조 |
1803년 |
1804년 라이프치히 |
세레나데 Op. 8의 편곡판; 베토벤에 의해 승인 및 수정되었지만 대체로 다른 사람의 작업 |
HS ix |
|
Op. 105 |
플루트(또는 바이올린)와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이 있는 여섯 개의 민요 |
1818–9년 |
1819년 런던, 에든버러와 빈 |
|
xiv/113–4 |
v/4[28] |
Op. 107 |
플루트(또는 바이올린)와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이 있는 열 개의 민요 |
1818–9년 |
1819년 런던과 에든버러, [2, 6, 7번]; 1820년 본과 퀼른 [완성] |
|
xiv/115–9 |
v/4[28] |
닫기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Op. 16b |
피아노 사중주 E♭ 장조 |
|
1801년 빈 |
Op. 16의 편곡판; 베겔러와 리스에서 진위 확인 (D1838) |
x/78 |
iv/1 |
WoO 36/1 |
피아노 사중주 1번 E♭ 장조 |
1785년 |
1828년 빈 |
|
x/75 |
iv/1 |
WoO 36/2 |
피아노 사중주 2번 D 장조 |
1785년 |
1828년 빈 |
|
x/76 |
iv/1 |
WoO 36/3 |
피아노 사중주 3번 C 장조 |
1785년 |
1828년 빈 |
|
x/77 |
iv/1 |
닫기
피아노를 포함한 기타 실내악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37 |
피아노, 플루트, 바순을 위한 삼중주 G 장조 |
1786년 |
GA |
|
xxv/294 |
iv/3 |
Op. 16 |
피아노와 관악기를 위한 오중주 E♭ 장조 |
1796년; 1797년 4월 6일 |
1801년 빈 |
요제프 요한 슈바르첸베르크 공작 |
x/74 |
iv/1 |
Op. 11 |
클라리넷(또는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 B♭ 장조 ("거리의 노래") |
1797년 |
1798년 빈 |
마리아 빌헬미네 폰 툰 백작부인 |
xi/89 |
|
Op. 38 |
클라리넷(또는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 E♭ 장조 |
1802–3년 |
1805년 빈 |
교수 요한 아담 슈미트, 칠중주 Op. 20의 편곡판 |
xi/91 |
iv/3 |
닫기
관악기를 위한 실내악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26 |
두 개의 플루트를 위한 이중주 G 장조 ("알레그로와 미뉴에트") |
1792년 8월 |
알렉산더 윌록 세이어: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삶, 출판. H. 디터스, ii (1901년 베를린) |
J.M. 데겐하르트 |
HS vii |
vi/1[30] |
Op. 103 |
팔중주 E♭ 장조 |
1792년 11월 이전 |
1830년 빈 |
|
viii/59 |
vi/1[30] |
WoO 25 |
론디노 E♭ 장조 |
1793년 |
1830년 빈 |
Op. 103의 피날레로 의도됨 |
viii/60 |
vi/1[30] |
Hess 19 |
오중주 E♭ 장조 |
?1793년 빈 |
1954년 마인츠 |
|
HS vii |
vi/1[30] |
Op. 87 |
삼중주 C 장조 |
?1795년 빈 |
1806년 빈 |
|
viii/63 |
vi/1[30] |
WoO 28 |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 중 "저기서 우리 손을 잡아요" 주제에 의한 삼중주를 위한 변주곡 C 장조 |
?1795년; 1797년 12월 23일 |
1914년 라이프치히 |
|
HS vii |
vi/1[30] |
Op. 81b |
두 개의 호른과 현악 사중주를 위한 육중주 E♭ 장조 |
?1795년 |
1810년 본 |
|
v/33 |
vi/1[30] |
Op. 71 |
육중주 E♭ 장조 |
?1796년; 1805년 4월 |
1810년 라이프치히 |
|
viii/61 |
vi/1[30] |
WoO 29 |
육중주를 위한 행진곡 B♭ 장조 |
1797–8년 |
GA |
|
xxv/292 |
vi/1[30] |
Op. 20 |
칠중주 E♭ |
1799년; 1800년 4월 2일 |
1802년 라이프치히 |
마리아 테레사 디 나폴리에시칠리아 왕녀 |
v/32 |
vi/1[30] |
Op. 25 |
플루트, 바이올린, 비올라를 위한 세레나데 D 장조 |
1801년 |
1802년 빈 |
|
viii/62 |
vi/1[30] |
WoO 30 |
네 개의 트롬본을 위한 세 개의 에클레아 d 단조 |
1812년 11월 |
GA |
자이프리트에 의한 네 명의 남자 목소리를 위한 필사는 베토벤의 장례식에서 공연되었고, 1827년 빈에서 출판됨 |
xxv/293 |
vi/1[30] |
닫기
피아노 독주곡
유명한 32곡의 소나타 외에도, 베토벤의 독주 피아노 작품에는 많은 단악장의 곡들, 20곡 이상의 변주곡들, 일생 동안 발표되지 않았거나 작품번호 없이 출판된 작품들, 그리고 잘 알려진 "엘리제를 위하여"를 포함한 30곡 이상의 바가텔들이 포함되어 있다.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47/1 |
세 개의 초기 선제후 소나타 1번 E♭ 장조 |
?1783년 |
슈파이어, 1783년 |
대주교 막시밀리안 프리드리히, 쾰른 대주교 |
xvi/156 |
|
WoO 47/2 |
세 개의 초기 선제후 소나타 2번 f 단조 |
?1783년 |
슈파이어, 1783년 |
대주교 막시밀리안 프리드리히, 쾰른 대주교 |
xvi/157 |
|
WoO 47/3 |
세 개의 초기 선제후 소나타 3번 D 장조 |
?1783년 |
슈파이어, 1783년 |
대주교 막시밀리안 프리드리히, 쾰른 대주교 |
xvi/158 |
|
Op. 2/1 |
피아노 소나타 1번 f 단조 |
1793–5년 |
빈, 1796년 |
요제프 하이든 |
xvi/124 |
vii/2 |
Op. 2/2 |
피아노 소나타 2번 A 장조 |
1794–5년 |
빈, 1796년 |
요제프 하이든 |
xvi/125 |
vii/2 |
Op. 2/3 |
피아노 소나타 3번 C 장조 |
1794–5년 |
빈, 1796년 |
요제프 하이든 |
xvi/126 |
vii/2 |
Op. 49/2 |
피아노 소나타 20번 G 장조 |
1795–6년 |
빈, 1805년 |
|
xvi/143 |
vii/3 |
Op. 49/1 |
피아노 소나타 19번 g 단조 |
?1797년 |
빈, 1805년 |
|
xvi/142 |
vii/3 |
Op. 7 |
피아노 소나타 4번 E♭ 장조 ("그랜드 소나타") |
1797–8년 |
빈, 1798년 |
안나 루이제 바르바라 폰 케글레치비슈 백작부인 |
xvi/127 |
vii/2 |
Op. 10/1 |
피아노 소나타 5번 c 단조 |
?1795–7년 |
빈, 1798년 |
안나 마가렛 폰 브로우네 백작부인 |
xvi/128 |
vii/2 |
Op. 10/2 |
피아노 소나타 6번 F 장조 |
1796–7년 |
빈, 1798년 |
안나 마가렛 폰 브로우네 백작부인 |
xvi/129 |
vii/2 |
Op. 10/3 |
피아노 소나타 7번 D 장조 |
1797–8년 |
빈, 1798년 |
안나 마가렛 폰 브로우네 백작부인 |
xvi/130 |
vii/2 |
WoO 51 |
피아노 소나타 C 장조, 미완성 작품 |
1797–8년 |
프랑크푸르트, 1830년 |
엘레오노레 폰 브로우닝; 페르디난트 리스에 의해 완성됨 |
xvi/159 |
|
Op. 13 |
피아노 소나타 8번 c 단조 (“비창”) |
1797–8년 |
빈, 1799년 |
카를 폰 리히놉스키 공작 |
xvi/131 |
vii/2 |
Op. 14/1 |
피아노 소나타 9번 E 장조 |
1798년 |
빈, 1799년 |
요제피네 폰 브라운 남작부인 |
xvi/132 |
vii/2 |
Op. 14/2 |
피아노 소나타 10번 G 장조 |
?1799년 |
빈, 1799년 |
요제피네 폰 브라운 남작부인 |
xvi/133 |
vii/2 |
Op. 22 |
피아노 소나타 11번 B♭ 장조 |
1800년 |
라이프치히, 1802년 |
요한 게오르그 폰 브로우네 백작 |
xvi/134 |
vii/2 |
Op. 26 |
피아노 소나타 12번 A♭ 장조 (“장송행진곡”) |
1800–1년 |
빈, 1802년 |
카를 폰 리히놉스키 공작 |
xvi/135 |
vii/2 |
Op. 27/1 |
피아노 소나타 13번 E♭ 장조 (“환상곡풍”) |
1801년 |
빈, 1802년 |
요제피네 폰 리히텐슈타인 후작부인 |
xvi/136 |
vii/3 |
Op. 27/2 |
피아노 소나타 14번 c# 단조 (“월광”) |
1801년 |
빈, 1802년 |
줄리에타 귀차르디 백작부인 |
xvi/137 |
vii/3 |
Op. 28 |
피아노 소나타 15번 D 장조 (“전원”) |
1801년 |
빈, 1802년 |
요제프 폰 존넨펠츠 남작 |
xvi/138 |
vii/3 |
Op. 31/1 |
피아노 소나타 16번 G 장조 |
1802년 |
취리히, 1803년 |
|
xvi/139 |
vii/3 |
Op. 31/2 |
피아노 소나타 17번 d 단조 (“템페스트”) |
1802년 |
취리히, 1803년 |
|
xvi/140 |
vii/3 |
Op. 31/3 |
피아노 소나타 18번 E♭ 장조 (“사냥”) |
1802년 |
취리히와 런던, 1804년 |
|
xvi/141 |
vii/3 |
Op. 53 |
피아노 소나타 21번 C 장조 (“발트슈타인”) |
1803–4년 |
빈, 1805년 |
페르디난트 폰 발트슈타인 백작 |
xvi/144 |
vii/3 |
Op. 54 |
피아노 소나타 22번 F 장조 |
1804년 |
빈, 1806년 |
|
xvi/145 |
vii/3 |
Op. 57 |
피아노 소나타 23번 f 단조 (“열정”) |
1804–5년 |
빈, 1807년 |
프란츠 폰 브룬스비크 백작 |
xvi/146 |
vii/3 |
Op. 78 |
피아노 소나타 24번 F# 장조 (“테레제를 위하여”) |
1809년 |
라이프치히와 런던, 1810년 |
테레제 폰 브룬스비크 여백작 |
xvi/147 |
|
Op. 79 |
피아노 소나타 25번 G 장조 (“뻐꾸기”) |
1809년 |
라이프치히와 런던, 1810년 |
|
xvi/148 |
|
Op. 81a |
피아노 소나타 26번 E♭ 장조 (“고별”) |
1809–10년 |
라이프치히와 런던, 1811년 |
루돌프 대공 |
xvi/149 |
|
Op. 90 |
피아노 소나타 27번 e 단조 |
1814년 |
빈, 1815년 |
모리츠 리히놉스키 백작 |
xvi/150 |
|
Op. 101 |
피아노 소나타 28번 A 장조 |
1816년 |
빈, 1817년 |
도로테아 에르트만 남작부인 |
xvi/151 |
|
Op. 106 |
피아노 소나타 29번 B♭ 장조 (“하머클라비어”) |
1817–8년 |
빈과 런던, 1819년 |
루돌프 대공 |
xvi/152 |
|
Op. 109 |
피아노 소나타 30번 E 장조 |
1820년 |
베를린, 1821년 |
막시밀리아네 브렌타노 (안토니 브렌타노의 딸) |
xvi/153 |
|
Op. 110 |
피아노 소나타 31번 A♭ 장조 |
1821–2년 |
파리, 베를린, 빈, 1822년; 런던, 1823년 |
|
xvi/154 |
|
Op. 111 |
피아노 소나타 32번 c 단조 |
1821–2년 |
파리, 베를린, 빈과 런던, 1823년 |
루돌프 대공; 런던판은 안토니 브렌타노에게 헌정됨 |
xvi/155 |
|
닫기
피아노 변주곡
창작 주제에 의한 피아노 변주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77 |
창작 주제에 의한 여섯 개의 쉬운 변주곡 G 장조 |
1800년 |
1800년 빈 |
|
xvii/176 |
vii/5 |
Op. 34 |
창작 주제에 의한 여섯 개의 변주곡 F 장조 |
1802년 |
1803년 라이프치히 |
안나 루이즈 바바라 오데스칼치 공주 (네 폰 케글레비치 백작 부인) |
xvii/162 |
vii/5 |
Op. 35 |
창작 주제에 의한 열다섯 개의 변주곡과 푸가 E♭ 장조 ("에로이카 변주곡") |
1802년 |
1803년 라이프치히 |
모리츠 리히노프스키 백작 |
xvii/163 |
vii/5 |
WoO 80 |
창작 주제에 의한 서른두 개의 변주곡 c 단조 |
1806년 |
1807년 빈 |
|
xvii/181 |
vii/5 |
Op. 76 |
창작 주제에 의한 여섯 개의 변주곡 D 장조 |
1809년 |
1810년 라이프치히와 런던 |
프란츠 올리바 |
xvii/164 |
vii/5 |
Op. 120 |
디아벨리 주제에 의한 서른세 개의 왈츠 변주곡 C 장조 ("디아벨리 변주곡") |
1819-23년 |
1823년 빈 |
안토니 브렌타노; 바흐의 골드베르그 변주곡과 어깨를 견줄만한 대작으로 평가됨 |
xvii/165 |
vii/5 |
닫기
기타 피아노 변주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63 |
드레슬러의 행진곡 주제에 의한 아홉 개의 변주곡 c 단조 (1782년) |
1782년 |
1782–3년 만하임 |
펠리체 폰 울프-메테르니히 백작부인; 처음 출판된 작품 |
xvii/166 |
vii/5 |
WoO 65 |
리기니의 아리아 "사랑아 내가 왔다" 주제에 의한 스물네 개의 변주곡 D 장조[31] |
1790–1년경 |
1791년 마인츠; 1802년 빈 |
마리아 안나 호르텐시아 폰 하츠펠트 백작부인 |
xvii/178 |
vii/5 |
WoO 66 |
디터스도르프의 오페라 빨간 모자 중 아리아 "옛날 한 노인이" 주제에 의한 열세 개의 변주곡 A 장조 |
1792년 |
1793년 본 |
|
xvii/175 |
vii/5 |
WoO 64 |
피아노 또는 하프를 위한 스위스 노래 주제에 의한 여섯개의 변주곡 F 장조 |
1790–2년경 |
?1798년 본 |
|
xvii/177 |
vii/5 |
WoO 68 |
하이벨의 발레 방해받은 결혼 중 "비가노의 미뉴엣" 주제에 의한 열두 개의 변주곡 C 장조 |
1795년 |
1796년 빈 |
|
xvii/169 |
vii/5 |
WoO 69 |
파이시엘로의 오페라 물레방앗간의 처녀 중 "얼마나 아름다운가" 주제에 의한 아홉 개의 변주곡 A 장조 |
1795년 |
1795년 빈 |
카를 폰 리히노프스키 공작 |
xvii/167 |
vii/5 |
WoO 70 |
파이시엘로의 오페라 물레방앗간의 처녀 중 "더 이상 내 마음은 느끼지 못하네" 주제에 의한 여섯 개의 변주곡 G 장조 |
1795년 |
1796년 빈 |
|
xvii/168 |
vii/5 |
WoO 72 |
그레트리의 오페라 사자왕 리처드 중 "불타오르는 마음" 주제에 의한 여섯 개의 변주곡 C 장조 |
?1795년 |
1798년 빈 |
|
xvii/171 |
vii/5 |
WoO 71 |
브라니츠키의 발레 음악 숲속의 아가씨 중 러시아 무곡 주제에 의한 열두 개의 변주곡 A 장조 |
1796–7년 |
1797년 빈 |
안나 마가렛 폰 브로우네 백작부인 |
xvii/170 |
vii/5 |
WoO 78 |
"영국의 국가" 주제에 의한 일곱 개의 변주곡 C 장조 |
1802–3년 |
1804년 빈 |
|
xvii/179 |
vii/5 |
닫기
피아노 소품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52 |
바가텔 c 단조[32] |
1795년경, 개정. 1798년과 1822년 |
GA |
원래 피아노 소나타 5번을 위해 쓰여짐 |
xxv/297/1 |
|
WoO 53 |
바가텔 c 단조[32] |
1796–7년 |
GA |
원래 피아노 소나타 5번을 위해 쓰여짐 |
xxv/299 |
|
Op. 33 |
일곱 개의 바가텔 (바가텔 1-7번) |
1801–2년; |
1803년 빈과 런던 |
|
xviii/183 |
|
WoO 54 |
바가텔 C 장조[32] |
?1802년 |
GA |
|
xxv/300 |
|
WoO 56 |
바가텔 C 장조[32] |
1803년, 개정. 1822년 |
GA |
원래 피아노 소나타 21번 "발트슈타인"을 위해 쓰여짐 |
xxv/297/2 |
|
WoO 59 |
엘리제를 위하여 a 단조 (바가텔 25번)[32] |
1808–10년 |
루트비히 놀ː 베토벤의 새편지 (슈투트가르트, 1867년) |
|
xxv/298 |
|
WoO 60 |
바가텔 B♭ 장조[32] |
1818년 |
|
|
xxv/301 |
|
Op. 119 |
열한 개의 새로운 바가텔 (바가텔 8-18번) |
1820–2년[33] |
|
|
xviii/189 |
|
Op. 126 |
여섯 개의 바가텔 (바가텔 19-24번) |
1824년 |
1825년 마인츠 |
|
xviii/190 |
|
닫기
기타 피아노 소품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48 |
론도 C 장조 |
1783년 |
|
|
HS ix |
|
WoO 49 |
론도 A 장조 |
?1783년 |
|
|
xviii/196 |
|
Op. 39 |
피아노 또는 오르간의 모든 장조를 위한 두 개의 전주곡 C 장조 |
?1789년 |
1803년 라이프치히 |
|
xviii/184 |
|
WoO 81 |
알르망드 A 장조 |
1793년경, 1822년 개정 |
GA |
|
xxv/307 |
|
Op. 129 |
론도 아 카프리치오 G 장조 ("잃어버린 동전에 대한 분노") |
1795년 |
1828년 빈 |
육필원고는 알려지지 않은 판에 의해 완성됨 (디아벨리로 추정), 1828년 |
xviii/191 |
|
Hess 64 |
푸가 C 장조 |
1795년 |
1955년 MT, xcvi |
|
HS ix |
|
Hess 69 |
알레그레토 c 단조 |
1795–6년경, 1822년 개정 |
HS |
추정. 원래 피아노 소나타 5번을 위해 쓰여짐 |
HS ix |
|
Op. 51/1 |
두 개의 론도 1번 C 장조 |
1796–7년경 |
1810년 런던과 라이프치히 |
요제프 프란츠 폰 로브코비츠 공작 |
vi/46 |
|
Op. 51/2 |
두 개의 론도 2번 G 장조 |
1798년경 |
1802년 빈 |
헨리에테 리히노프스키 백작부인 |
xviii/186 |
|
WoO 55 |
전주곡 f 단조 |
1803년경 |
1805년 빈 |
|
xviii/195 |
|
WoO 57 |
안단테 F 장조 ("안단테 파보리") |
1803년경 |
1805년 빈 |
원래 피아노 소나타 21번 "발트슈타인"을 위해 쓰여짐 |
xviii/192 |
|
WoO 82 |
미뉴에트 E♭ 장조 |
1803년경 |
1805년 빈 |
|
xviii/193 |
|
Op. 77 |
환상곡 g 단조 |
1809년 |
1810년 라이프치히와 런던 |
프란츠 폰 브룬스비크 백작 |
xviii/187 |
|
Op. 89 |
폴로네이즈 C 장조 |
1814년 |
1815년 빈 |
루이제 폰 바덴 대공녀 |
xviii/188 |
|
Hess 65 |
"협주곡 피날레" C 장조 |
1820–1년경 |
|
피아노 협주곡 3번 피날레의 코다로부터 편곡 |
HS ix |
|
WoO 61 |
알레그레토 b 단조 |
1821년 |
|
페르디난드 피링어 |
HS ix |
|
WoO 84 |
왈츠 E♭ 장조 |
1824년 |
1824년 빈 |
프리드리히 뎀머 (발행자의 헌정) |
xxv/303 |
|
WoO 61a |
알레그레토 콰시 안단테 g 단조[34] |
1825년 |
1956년 NZM, cxvii |
사라 버니 패인 |
HS ix |
|
WoO 85 |
왈츠 D 장조 |
1825년 |
1825년 빈 |
조피 초테크 폰 호엔베르크 공작부인 (발행자의 헌정) |
xxv/304 |
|
WoO 86 |
에코세즈 E♭ 장조 |
1825년 |
1825년 빈 |
조피 초테크 폰 호엔베르크 공작부인 (발행자의 헌정) |
xxv/305 |
|
닫기
연탄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67 |
네 손을 위한 발트슈타인 백작 주제에 의한 여덟 개의 변주곡 C 장조 |
?1792년 |
1794년 본 |
|
xv/122 |
vii/1 |
Op. 6 |
네 손을 위한 소나타 D 장조 |
1796-7년 |
1797년 빈 |
|
xv/120 |
vii/1 |
WoO 74 |
네 손을 위한 그대를 생각하며 주제에 의한 여섯 개의 변주곡 D 장조 |
1799년, 1803년[35] |
1805년 빈 |
테레제 폰 브룬스비크 여백작과 요제피네 다임 (결혼 전 성은 브룬스비크) |
xv/123 |
vii/1 |
Op. 45 |
네 손을 위한 세 개의 행진곡 |
1803년 |
1804년 빈 |
마리아 에스테르하지 공주 |
xv/121 |
vii/1 |
Op. 134 |
네 손을 위한 대푸가 B♭ 장조 |
1826년 |
1827년 빈 |
루돌프 대공; 현악 사중주를 위한 대 푸가 B♭ 장조, Op. 133의 피아노 편곡판 |
HS viii |
vii/1 |
닫기
성악곡
베토벤은 단 한 개의 오페라를 완성하는 동안 두 개의 미사 설정,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다른 작품, 아리아, 듀엣곡, 예술가곡(가곡), 연가곡 등 평생 성악을 작곡했다.
오페라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91 |
움라우프의 징슈필, "아름다운 제화공의 아내"를 위한 두 개의 아리아
- 오 정말 멋진 인생
- 꽉 끼는 구두가 싫으시다면
|
?1795–6년 |
s: GA |
|
xxv/270 |
x/3 |
Hess 115 |
베스타의 불, 미완성 작품 |
1803년 |
s: 1953년 비스바덴 |
|
HS xiii |
|
Op. 72 |
피델리오 |
첫번째 버전 (레오노레 서곡 2번과 함께), 1804–5년; 1985년 11월 20일 빈, 안 데르 빈 극장 |
vs: 1905년 라이프치히; s: HS[36] |
|
HS ii. xi–xiii |
|
두번째 버전 (레오노레 서곡 3번과 함께), 1805–6년; 1806년 3월 29일 빈, 안 데르 빈 극장 |
vs: 1810년 라이프치히; s: HS |
|
HS xi–xiii |
|
최종의 버전 (피델리오 서곡과 함께), 1814년; 1814년 5월 23일 빈, 케른트너토르 극장 |
vs: 1814년 라이프치히; s: 1826년 파리, 1847년 본 |
|
xx/206 |
|
WoO 94 |
트라이치케의 징슈필, "좋은 소식"을 위한 피날레, 게르마니아 |
1814년; 1814년 4월 11일 빈, 케른트너토르 극장 |
vs: 1814년 빈; s: GA |
|
xx/207d |
ix/7 |
WoO 97 |
트라이치케의 징슈필, "개선문"을 위한 피날레, 모든 것은 끝났다 |
1815년; 1815년 7월 15일 빈, 케른트너토르 극장 |
vs: 1815년 빈; s: GA |
|
xx/207c |
ix/7 |
닫기
합창곡
관현악을 포함한 합창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87 |
황제 요제프 2세 승하 칸타타 |
1790년 3월 |
GA |
|
xxv/264 |
x/1 |
WoO 88 |
황제 레오폴드 2세 즉위 칸타타 |
1790년 7월-10월 |
GA |
|
xxv/265 |
x/1 |
Op. 85 |
올리브산 위의 그리스도 |
1803년, 1804년 개정; 1803년 4월 5일 |
1811년 라이프치히 |
|
xix/205 |
viii/1[37] |
Op. 86 |
미사곡 다장조 |
1807년; 1807년 7월 13일 |
1812년 라이프치히 |
페르디난트 킨스키 후작 |
xix/204 |
viii/2[37] |
Op. 80 |
합창 환상곡 c 단조 |
1808년, 1809년 개정; 1808년 12월 22일 |
p: 1810년 런던; 1811년 라이프치히 |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
HS xix/71 |
x/2[14] |
WoO 95 |
연합왕국을 위한 합창 "현명한 창시자이신 당신이여" |
1814년 10월 |
GA |
빈 회의를 위해 |
xxv/267 |
x/2 |
Op. 136 |
영광의 순간 |
1814년; 1814년 11월 29일 |
1837년 빈 |
빈 회의를 위해 |
xxi/208 |
x/1 |
Op. 112 |
고요한 바다와 즐거운 항해 |
1814–5년; 1815년 12월 25일 |
1822년 빈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xxi/209 |
x/2 |
Op. 123 |
장엄미사 D 장조 |
1819–23년; 1824년 4월 7일 |
1827년 마인츠 |
루돌프 대공[38] |
xxi/203 |
viii/3[37] |
|
봉헌가 "불타 오르는 불꽃" |
1822년; 1822년 12월 23일 |
GA |
|
xxv/268 |
|
Op. 121b |
봉헌가, 두번째 버전 |
1824년 |
1824년 마인츠 |
|
xxii/212 |
x/2 |
Op. 122 |
맹우의 노래 |
1823–4년 |
1825년 마인츠 |
|
xxii/213 |
x/2 |
닫기
기타 합창곡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102 |
남자의 목소리를 위한 작별의 노래 |
1814년 |
GA |
레오폴드 바이스; 마티아스 투서의 요청에 의해 |
xxv/273 |
|
WoO 103 |
네 개의 목소리와 피아노를 위한 전원 칸타타, "즐거운 건배의 노래" |
1814년; 1814년 6월 24일 |
1945년 빈터투어 문학 협회 Jb |
조반니 말파티 |
HS v |
xii/1 |
WoO 104 |
두 개의 테너, 베이스를 위한 빌헬름 텔(실러)로부터의 수도사들의 노래 |
1817년 |
NZM, vi (1839년) |
프란츠 세일즈 켄들러와 벤젤 크럼폴츠를 기억하며 |
xxiii/255 |
|
WoO 105 |
테너(또는 남성 솔로), 합창과 피아노를 위한 결혼의 노래, "결혼식 축가" |
1819년 |
테너를 위한 1927년 테르 베어; 남성 솔로를 위한 1858년 런던 |
마리아 안나 지안나타시오 델 리오 |
HS v |
xii/1 |
WoO 106 |
소프라노, 합창과 피아노를 위한 롭코비츠 공작의 생일 칸타타, "우리들의 귀중한 님 만세" |
1823년 4월 |
루트비히 놀: 베토벤의 새 편지 (1867년 슈투트가르트) |
프란츠 요제프 폰 롭코비츠 공작 |
xxv/274 |
xii/1 |
닫기
솔로 보이스와 관현악
독창과 관현악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90 |
베이스를 위한 아리아, "아가씨들과 사이좋게" |
1790–2년경 |
GA |
|
xxv/269/2 |
x/3 |
WoO 89 |
베이스를 위한 아리아, "키스의 시도" |
1790–2년경 |
GA |
|
xxv/269/1 |
x/3 |
WoO 92 |
소프라노를 위한 셰나와 아리아, "첫사랑" |
1790–2년경 |
GA |
|
xxv/271 |
x/3 |
Op. 65 |
소프라노를 위한 셰나와 아리아, "아! 못 믿을 이여" |
1796년 초 |
p, vs: 라이프치히, 1805년; s: GA; |
조제핀 드 클라리 백작부인 (첫번째 판이 아닌 원고에서 헌정됨) |
xxii/210 |
x/3 |
WoO 92a |
소프라노를 위한 셰나와 아리아, "아니요, 걱정하지 마세요" |
1802년 초 |
1949년 비스바덴 |
|
HS ii |
x/3 |
닫기
중창과 관현악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93 |
소프라노와 테너를 위한 듀엣, "당신의 행복한 날" |
1802년 후반 |
1939년 라이프치히 |
|
HS ii, xiv |
x/3 |
Op. 116 |
소프라노, 테너와 베이스를 위한 아리아, "사악한 자여 떨어라" |
1802년; 1814년 |
p, vs: 빈, 1826년; s: GA |
|
xxii:211 |
x/3 |
Op. 118 |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와 현악 사중주를 위한 "비가"("살아 있는 듯이 편안히"), |
1814년 7월 |
1814년 빈 |
요한 밥티스트 프라이헤르 폰 파스콸라티 |
xxii/214 |
x/2 |
닫기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107 |
젊은 여인의 묘사 |
?1783년 |
H.P. Bossler: 피아노 애호가를 위한 명시선 ii (Speyer, 1783) |
|
xxiii/228 |
xii/1 |
WoO 108 |
아기에게 |
?1784년 |
H.P. Bossler: 피아노 애호가를 위한 새로운 명시선 ii (Speyer, 1784) |
|
xxiii/229 |
xii/1 |
WoO 110 |
푸들의 죽음에 바치는 비가 |
?1790년경 |
?GA |
|
xxv/284 |
xii/1 |
WoO 113 |
탄식 |
1790년경 |
GA |
|
xxv/283 |
xii/1 |
Hess 151 |
친애하는 헨리에테 |
1790-2년경 |
ÖMz, iv (1949년) |
|
HS v |
xii/1 |
Op. 52 |
8개의 가곡
- 우리안의 세계여행
- 불꽃 빛깔
- 휴식의 노래
- 오월의 노래
- 몰리의 작별
- 사랑
- 봇짐장수
- 사랑의 꽃
|
1790–6년 |
1805년 빈 |
|
xxiii/218 |
xii/1 |
WoO 111 |
오색주의 노래 |
1791년경 |
L. Schiedermair: 젊은 베토벤 (Leipzig, 1925/R,3/1951) |
|
HS v |
xii/1 |
WoO 109 |
작별할 때 부르는 술의 노래 |
1792년경 |
GA |
|
xxv/282 |
xii/1 |
WoO 112 |
라우라에게 |
1792년경 |
G. Kinsky: 쾰른에 있는 빌헬름 하이어의 음악 역사 박물관: Katalog, iv (Cologne, 1916) |
|
HS v |
xii/1 |
WoO 114 |
혼잣말 |
1792년경 |
GA |
|
xxv/275 |
xii/1 |
WoO 115 |
미나에게 |
1792년경 |
GA |
|
xxv/280 |
xii/1 |
WoO 117 |
자유인 |
1792, 개정. 1794 |
1808년 본 |
|
xxiii/232; HS v |
xii/1 |
WoO 116 |
시간이 얼마나 느리게 흐르는지 |
1792–3년 |
|
|
|
xii/1 |
Hess 129 |
|
?이른 1794 |
음악, i (1901–2) |
WoO 116의 첫번째 버전 |
HS v |
|
Hess 130 |
|
?1794년 |
GA |
WoO 116의 두번째 버전 |
HS v |
|
WoO 119 |
오 사랑하는 숲이여 |
1794년경 |
GA |
|
xxv/279 |
xii/1 |
WoO 126 |
봉헌가 |
1794–5, 개정. 1801–2 |
1808년 본 |
|
xxiii/233; HS v |
xii/1 |
WoO 118 |
두 개의 노래 |
1794–5년 |
1837년 빈 |
|
xxiii/253 |
xii/1 |
Op. 46 |
아델라이데 |
1794–5년 |
1797년 빈 |
프리드리히 폰 마티손( |
xxiii/216 |
xii/1 |
WoO 123 |
그대를 사랑해 |
1795년 |
1803년 빈 |
|
xxiii/249 |
xii/1 |
WoO 124 |
이별 |
1795-6년경 |
1803년 빈 |
|
xxiii/251 |
xii/1 |
WoO 121 |
빈 시민들에게 보내는 이별의 노래 |
1796년 |
1796년 빈 |
오브리스트 바흐트마이스터 폰 쾨베스디 |
xxiii/230 |
xii/1 |
WoO 122 |
오스트리아인의 군가 |
1797년 |
1797년 빈 |
|
xxiii/231 |
xii/1 |
WoO 125 |
라 티라나 |
1798–9년 |
1799년 런던 |
(윌리엄 웨닝에 의한) 헌정. 초팬 부인 |
HS v |
xii/1 |
WoO 128 |
사랑의 기쁨 |
1798–9년 |
음악, i (1901–2년) |
|
HS v |
xii/1 |
WoO 127 |
새로운 사랑, 새로운 삶 |
1798–9년 |
1808년 본 |
|
HS v |
xii/1 |
WoO 74 |
그대를 생각하며 |
|
|
|
|
|
Op. 48 |
여섯 개의 가곡 (겔레트레의 시를 기반으로 함)
- 탄원
- 이웃에의 사랑
- 죽음에 대하여
- 자연에 깃든 신의 영광
- 신의 힘과 섭리
- 참회의 노래
|
1801년경 –1802년 초[39] |
1803년 빈 |
브로우네 백작부인 |
xxiii/217 |
xii/1 |
WoO 120 |
불끄려는 사람 |
1802년경 |
GA |
|
xxv/278 |
xii/1 |
WoO 129 |
메추라기의 노래 |
1803년 |
1804년 빈 |
|
xxiii/234 |
xii/1 |
Op. 88 |
행복한 우정 |
1803년 |
1803년 빈 |
|
xxiii/222 |
xii/1 |
Op. 32 |
희망에게 |
1805년 |
1805년 빈 |
요제피네 다임을 위해 |
xxiii/215 |
xii/1 |
WoO 130 |
나를 기억해주오 |
?1804–5년, 개정. 1819–20년 |
1844년 빈 |
|
xxv/281 |
xii/1 |
WoO 132 |
연인이 헤어지길 원할 때 |
1806년 |
AMZ, xii (1809–10) |
|
xxiii/235 |
xii/1 |
WoO 133 |
이 어두운 무덤 속에 |
1806–7년 |
1808년 빈 |
(발행자에 의해) 프란츠 요제프 폰 로브코비츠 공작에게 헌정됨 |
xxiii/252 |
xii/1 |
WoO 134 |
그리움 (4개의 버전) |
1807–8년 |
1810년, 빈 |
|
xxiii/250 |
xii/1 |
WoO 136 |
기억 |
1805년 |
1810년 라이프치히와 런던 |
요제피네 다임을 위해 |
xxiii/248 |
xii/1 |
WoO 137 |
멀리서부터 온 노래 |
1809년 |
1810년 라이프치히와 런던 |
|
xxiii/236 |
xii/1 |
WoO 138 |
타향의 젊은이 |
1809년 |
1810년 빈 |
(레이시그[40]에 의해) 루돌프 대공에게 헌정됨 |
xxiii/237 |
xii/1 |
WoO 139 |
사랑을 하는 남자 |
1809년 |
1810년 빈과 런던 |
(레이시그에 의해) 루돌프 대공에게 헌정됨 |
xxiii/238 |
xii/1 |
Op. 75 |
여섯 개의 노래- 귀여움
- 새로운 사랑, 새로운 삶
-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 그레텔의 경고
- 멀리 있는 연인에게
- 만족하는 사람
|
1809년[41] |
1810년 라이프치히와 런던 |
카롤리너 킨스키 공주 |
xxiii/219 |
xii/1 |
Op. 82 |
네 개의 소가곡과 한 개의 이중창
- 희망
- 사랑의 슬픔
- 참을성이 없는 연인 Ver. 1
- 참을성이 없는 연인 Ver. 2
- 인생의 향락 (이중창)
|
?1809년 |
1811년 라이프치히와 런던 |
|
xxiii/220 |
xii/1 |
Op. 83 |
괴테에 의한 세 개의 노래
- 비애의 기쁨
- 동경
- 물들인 리본으로
|
1810년 |
1811년 라이프치히 |
카롤리너 킨스키 공주 |
xxiii/221 |
xii/1 |
WoO 140 |
연인에게 (두 개의 버전) |
1811년 12월, 개정. 1814 |
첫번째 버전: 1826년경 아우스부르크; 두번째 버전: 1814년 7월 12일 평화의 잎사귀 |
첫 번째 버전 : Augsburg, 1826년 경; 두 번째 버전 : Friedensblätter (1814년 7월 12일) |
xxiii/243a |
xii/1 |
WoO 141 |
나이팅게일의 노래 |
1813년 5월 |
GA |
|
xxv/227 |
xii/1 |
WoO 142 |
시인의 정신 |
1813년 11월 |
Erichson: Musen-Almanach für das Jahr 1814 (Vienna, 1813–14) |
|
xxiii/241 |
xii/1 |
Op. 94 |
희망에게 |
1813-5년 |
1816년, 빈 |
카롤리너 킨스키 공주 |
xxiii/223 |
xii/1 |
WoO 143 |
전사의 이별 |
1814년 |
1815년, 빈 |
(레이시그에 의한) 헌정. Caroline von Bernath 캐롤라인 폰 베르나트 |
xxiii/240 |
xii/1 |
WoO 144 |
메르켄슈타인 |
1814년 |
젤람: 1816년 윤년에 다양한 친구들을 위한 연감 (빈, 1815-6년) |
|
xxv/276 |
xii/1 |
Op. 100 |
메르켄슈타인 |
1814년 |
1816년, 빈 |
요제프 카를 폰 디트리히슈타인 백작 |
xxiii/226 |
xii/1 |
WoO 135 |
큰 탄식 |
?1815년경 |
1837년 빈 |
|
xxiii/254 |
xii/1 |
WoO 145 |
비밀 |
1815년 |
예술, 문학, 연극 및 패션을 위한 비엔나 잡지, i (1816년) |
|
xxiii/245 |
xii/1 |
WoO 146 |
그리움 |
1816년 초 |
1816년, 빈 |
|
xxiii/239 |
xii/1 |
Op. 98 |
멀리 있는 연인에게 |
1816년 |
1816년 빈 |
요제프 프란츠 폰 로브코비츠 공작[42] |
xxiii/224 |
xii/1 |
Op. 99 |
약속을 지키는 사람 |
?1816년 5월 |
1816년 빈 |
|
xxiii/225 |
xii/1 |
WoO 147 |
산으로부터의 부름 |
1816년 12월 |
프리드리히 트라이치케의 시 (1817년 빈) |
|
xxiii/242 |
xii/1 |
WoO 148 |
그것은 모두 같은 것 |
1817년 |
빈 예술 잡지, ii (1817년) |
|
xxiii/224 |
xii/1 |
WoO 149 |
체념 |
1817년[43] |
빈 예술 잡지, iii (1818년) |
|
xxiii/246 |
xii/1 |
WoO 150 |
별이 빛나는 하늘 아래의 저녁 노래[44] |
1820년 3월 |
빈 예술 잡지, v (1817년) |
|
xxiii/247 |
xii/1 |
Op. 128 |
키스 |
1822년 11월-12월 |
1825년 마인츠 |
|
xxiii/227 |
xii/1 |
WoO 151 |
고상한 사람 |
1823년 1월 |
G. Lange: 음악 역사 (1900년 베를린) |
체칠리에 폰 에스켈레스 남작부인 |
HS v |
|
닫기
민요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152 |
스물다섯 개의 아일랜드 민요 |
1810–2년 |
1814년 런던과 에든버러 |
|
xxiv/261 |
|
WoO 153 |
스무 개의 아일랜드 민요 |
1810-5년 |
1814년 런던과 에든버러 [1–4], 1816년 [5–10]; GA |
|
xxiv/262 |
|
WoO 154 |
열두 개의 아일랜드 민요 |
1812–3년 |
(1816년 런던과 에든버러 [2와 7 없이]); GA |
|
xxiv/258 |
|
WoO 155 |
스물여섯 개의 웨일즈 민요 |
1809년 |
1817년 런던과 에든버러 |
|
xxiii/219 |
xi/1[45] |
Op. 108 |
스물다섯 개의 스코틀랜드 민요 |
1815–8년 |
1818년 런던과 에든버러 |
|
xxiv/257 |
xi/1[45] |
WoO 156 |
열두 개의 스코틀랜드 민요 |
1815–9년 |
1822년 런던과 에든버러 [1], 1824–5년 [2–4, 8, 9, 12], 1839년 [5–6], 1841년 [7, 10, 11); GA |
|
xxiv/260 |
xi/1[45] |
WoO 157 |
열두 개의 다양한 국적의 민요 |
1815–20년 |
1816년 런던과 에든버러 [2, 6, 8, 11], 1822년 [3], 1824–5년 [5], 11839년 [1]); GA |
|
xxiv/259 |
xi/1, xi/3[45] |
WoO 158a |
스물세 개의 다양한 국적의 민요 |
1816–7년 |
음악, ii (1902–3년) [19], J. 슈미트-고르그: 베토벤의 세속적이고 정신적인 성악곡에 대한 미지의 원고 (1928년 본) [17], 완성 (1943년 라이프치히) |
|
HS xiv |
xi/3[45] |
WoO 158b |
일곱 개의 영국 민요 |
1813–7년 |
|
|
HS xiv |
xi/1, xi/3[45] |
WoO 158c |
여섯 개의 다양한 국적의 민요 |
1817–20년 |
|
|
HS xiv |
xi/1, xi/3[45] |
Hess 168 |
프랑스 민요 |
1817년 |
|
|
HS xiv |
xi/3 |
Hess 133–4 |
두 개의 오스트리아 민요, Hess 133, 134 |
1820년 |
네덜란드 음악신문, xiii (1865년) |
|
|
xi/3 |
닫기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18 |
군악대를 위한 행진곡 1번 F 장조 ("요르크 행진곡") |
1809년, 개정. 1810 |
pf red.: 프라하, ?1809년; s: 1818–19년 베를린 |
오스트리아의 안톤 빅터 대공 (자필에 의해) |
xxv/287/1; HS iv; HS Viii (pf) |
ii/4[46] |
|
WoO 18, B♭ 장조로서의 트리오 |
1822년경 |
HS |
|
HS iv |
ii/4 |
WoO 19 |
군악대를 위한 행진곡 2번 F 장조 |
1810년 |
pf red.: 1810년 빈 |
오스트리아의 빅토르 대공 (자필에 의해) |
xxv/287/2; HS iv |
ii/4[46] |
|
WoO 19, f 단조로소의 트리오 |
1822년경 |
HS |
|
HS iv |
ii/4 |
WoO 20 |
군악대를 위한 행진곡 C 장조 |
1810년경 |
GA |
|
xxv/288; HS iv |
ii/4[46] |
|
WoO 20, F 장조로서의 트리오 |
1822년경 |
|
|
xxv/288 |
ii/4 |
WoO 21 |
군악대를 위한 폴로네이즈 D 장조 |
1810년 |
GA |
|
xxv/289 |
ii/4[46] |
WoO 22 |
군악대를 위한 에코세즈 D 장조 |
1810년 |
GA |
|
xxv/290 |
ii/4[46] |
WoO 23 |
군악대를 위한 에코세즈 G 장조 |
1810년경 |
pf red. 체르니의 무지칼리셰 페니히-마가친, i에서 (1834년 빈) |
카를 체르니의 피아노 편곡만 존재함 |
xxv/306 (pf) |
ii/4[46] |
WoO 24 |
군악대를 위한 행진곡 D 장조 |
1816년 |
pf red.: 1827년 빈 |
|
ii/15 |
ii/4[46] |
닫기
무곡 모음집
베토벤은 미뉴에트, 독일 무곡, 대무곡, 에코세즈와 왈츠 같은 장르의 무곡을 작곡했으며, 당시 사회의 거의 모든 인기있는 무곡을 선보였다.
카논 및 음악적 농담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49]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159 |
사랑의 포옹 |
1795년경 |
I. 폰 사이프리드 : 루드비히 판 베토벤의 통주저음 연구 (1832년 빈) |
알브레히츠베르거를 위한 대위법 연구 |
xxiii/256/1 |
xiii/1 |
WoO 160/1 |
오 사랑스런 숲 |
1795경 |
사이프리드 (1832년) |
알브레히츠베르거를 위한 대위법 연구 |
HS v |
xiii/1 |
WoO 160/2 |
카논 다장조 |
1795년경 |
사이프리드 (1832년) |
알브레히츠베르거를 위한 대위법 연구 |
HS v |
xiii/1 |
|
카논 |
1796–7년 |
J. 커먼, 편찬: 루트비히 판 베토벤: 1786년부터 1799년까지의 육필원고 (1970년 런던) |
|
|
|
Hess 276 |
백작님, 물어보러 왔습니다 |
?1797년 |
HS |
|
HS v |
|
WoO 100 |
슈판치히는 악당입니다 |
1801년 |
Grove1 |
이그나츠 슈판치히를 위해 |
HS v |
|
WoO 101 |
백작, 백작, 백작, 백작 |
1802년 |
알렉산더 윌록 세이어: 루트비히 판 베토벤 작품의 연대기 기록 (베를린, 1865년 베를린) |
니콜라우스 츠메스칼 폰 도마노베츠를 위해 |
HS v |
|
Hess 274 |
카논 G 장조 |
1803년 |
|
|
HS ix |
|
Hess 229 |
나는 투덜거립니다 |
1803년 |
피시먼 (1962) |
|
HS xiv |
|
Hess 275 |
카논 내림가장조 |
1803년 |
HS |
|
HS |
|
WoO 162 |
타 타 타…친애하는 멜첼 |
|
|
|
HS vii |
|
WoO 161 |
영원히 당신의 것 |
?1811년 경 |
AMZ, new series, i (1863) |
|
xxiii/256/14 |
|
WoO 163 |
고통은 짧다 |
1813년 11월 |
NZM, xi (1841), |
프리드리히 나우에를 위해 |
xxiii/256/3a |
|
WoO 199[50] |
나도 주인입니다 |
1814년 |
|
루돌프 대공을 위해서 |
|
|
WoO 164 |
우정은 행복의 샘 |
1814년 9월 |
GA |
|
xxv/285/2 |
|
WoO 165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1815년 1월 |
1816년 빈 |
요한 밥티스트 프라이헤르 폰 파스콸라티 남장을 위해 |
xxiii/256/16 |
|
WoO 166 |
고통은 짧고 기쁨은 영원하다 |
1815년 3월 |
GA |
루이 슈포어를 위해 |
xxiii/256/3b |
|
WoO 167 |
블라우플레, 링케 |
1815년 경 |
세이어, 1865 |
요한 자이버 브라우흘레와 요제프 링케 |
HS v |
|
WoO 168/1 |
침묵하는 법 배우기 |
1816년 1월 |
빈 일반음악신문, i (1816) |
찰스 니트를 위해서 |
xxiii/256/5 |
|
WoO 168/2 |
말해라, 말해라 |
1816년 1월 |
GA |
찰스 니트를 위해 |
xxiii/256/4 |
|
WoO 169 |
나는 그녀에게 키스합니다 |
1816년 1월 |
Die Jahrenszeien, xii/3 (1853) |
안나 밀더 하우프트만을 위해서 |
HS v |
|
WoO 170 |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 |
1816년 4월 |
놀: 베토벤의 새 편지 (Stuttgart, 1867) |
요한 네포무크 훔멜을 위해서 |
HS v |
|
WoO 171 |
무엇보다 행복이 그립습니다 |
1817년 |
T. von Frimmel: 새 베토벤 작품 (1888년 빈) |
마리아 안나 지안나타시오 델 리오를 위해 |
HS v |
|
WoO 172 |
부탁입니다, 장조의 음계를 써주세요 |
?1818년 경 |
GA |
빈센트 후스카를 위해 |
xxiii/256/15 |
|
WoO 201[51] |
난 준비가 됐습니다! 아멘 |
1818년 |
|
빈센트 후스카를 위해 |
|
|
WoO 173 |
악마가 당신을 잡습니다! |
1819년 여름 |
세이어 (1865) |
지그문트 안톤 슈타이너를 위해 |
HS v |
|
WoO 174 |
믿음을 갖고 희망을 가지세요. |
1819년 9월 |
놀: 베토벤의 편지 (Stuttgart 1865) |
모리스 슐레징어를 위해 |
xxv/285/3 |
|
WoO 176 |
축하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1819년 12월 |
GA |
에르되디 백작부인을 위해 |
xxiii/256/6 |
|
WoO 179 |
황제 폐하, 건강하시고 행복하소서 |
1819년 12월 |
놀 (1865) |
루돌프 대공을 위해 |
xxiii/256/7 |
|
Hess 300 |
저를 사랑해주세요, 친애하는 바이센바흐여 |
?1820년 1월 |
J. Schmidt-Görg, ed.: 장엄미사를 위한 세 가지 스케치북, i (Bonn, 1952) |
알로이스 바이센바흐를 위해 |
|
|
Hess 301 |
그것은 조금도 망상이 아닙니다 |
?1820년 1월 |
J. Schmidt-Görg, ed.: 장엄미사를 위한 세 가지 스케치북, i (Bonn, 1952) |
프르디리히 바그너를 위해 |
|
|
WoO 175 |
성 베드로는 바위였고, 베르나르도는 성자였다 |
?1820년 1월 |
세이어 (1865) |
카를 피터스와 카를 베르날트를 위해 |
HS v |
|
WoO 180 |
호프만과 호프만이 아닌 사람 |
1820년 3월 |
Caecilia, i (1825) |
|
xxiii/256/8 |
|
WoO 177 |
친애하는 시장님, 춥사옵니다 |
1820년 경 |
D. MacArdle and L. Misch: 베토벤의 새 편지 (Norman, OK, 1957) |
|
HS v |
|
WoO 178 |
수도원장님, 저는 병중입니다 |
?1820년 경 |
GA |
막시밀리안 스타들러를 위해 |
xxiii/256/13 |
|
WoO 181/1 |
오늘 바덴을 기억하세요 |
1820년 경 |
GA |
|
xxv/285/4 |
|
WoO 181/2 |
안녕히 계십시오 |
1820년 경 |
Festschrift Arnold Scherings (Berlin, 1937) |
|
HS v |
|
WoO 181/3 |
미덕이란 공허한 명목은 아닙니다 |
1820년 경 |
|
|
HS v |
|
WoO 182 |
오 토비아스 |
1821년 9월 |
AMZ, 새로운 시리즈, i (1863) |
토비아스 하슬링거를 위해 |
xxiii/256/9 |
|
WoO 183 |
친애하는 백작님, 당신은 호인입니다 |
1823년 2월 |
Mf, vii (1954) |
모리츠 리히노브스키 백작을 위해 |
HS v |
|
WoO 184 |
팔스타펠러, 어디 보자! |
1823년 4월 |
음악, ii (1902–3) |
이그나츠 슈판치히를 위해 |
HS v |
|
WoO 185 |
사람은 고귀하고 자비롭고 선량하도다 |
?1823년 5월 |
빈 예술 잡지, viii (1823) |
루이 슐로서를 위해 |
xxiii/256/10 |
|
Hess 263 |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
?1824년 |
HS |
카를로 에바시오 솔리바를 위해 |
HS v |
|
Hess 264 |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52] |
?1824년 |
HS |
카를로 에바시오 솔리바를 위해 |
HS v |
|
WoO 186 |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
1824년 6월 |
GA |
카를로 에바시오 솔리바를 위해 |
xxv/285/1 |
|
WoO 187 |
깔보지 말고 방향을 바꾸어라 |
1824년 11월 |
Caecilia, i/7 (1825) |
카를 슈밴케를 위해 |
xxiii/256/11 |
|
WoO 188 |
신은 견고한 요새입니다 |
1825녀 1월 |
F. Prelinger: 베토벤의 모든 편지, iv (Vienna, 1909) |
오버스트 폰 더스터로히를 위해 |
HS v |
|
WoO 203 |
선 뿐만 아니라 아름다움도 |
1825년 |
렐스탑: 정원과 숲, iv (Leipzig, 1854) |
루트비히 렐슈타프를 위해 |
HS v |
|
WoO 189 |
박사님, 죽음의 문을 닫으세요 |
1825년 5월 |
놀 (1865) |
안톤 브라운호퍼를 위해 |
HS v |
|
WoO 190 |
방문했습니다, 박사님 |
1825년 6월 |
?HS |
안톤 브라운호퍼를 위해 |
HS v |
|
WoO 35 |
카논 가장조 |
1825년 8월 |
놀 (1867) |
오토 드 보어를 위해 |
HS vi |
|
WoO 191 |
시원하고, 미지근하지 않습니다 |
1825년 9월 |
사이프리드 (1832) |
프리드리히 쿨라우를 위해 |
xxiii/256/12 |
|
WoO 192 |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 |
1825년 9월 |
세이어 (1865) |
조지 토머스 스마트 경을 위해 |
HS v |
|
WoO 194 |
문이 열리지 않으면 벽을 통해서 |
1825년 9월 |
마르크스 (1859), ii |
모리스 슐레징어를 위해서 |
xxiii/256/17 |
|
WoO 195 |
인생을 즐겨라 |
1825년 12월 |
GA |
테오도르 프레데릭 몰트를 위해 |
xxv/285/5 |
|
WoO 193 |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 |
?1825년 경 |
facsimile in auction catalogue no. 120 of Henrici (Berlin, 1927) |
|
HS v |
|
|
최고 행정관 |
?1826년 4월 |
출판되지 않음, 스케치북에 나타남 'Autograph 24' |
|
|
|
WoO 196 |
그래야만 한다 |
?1826년 7월 |
세이어: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삶, ed. H. Riemann, v (Leipzig, 1908) |
이그나츠 뎀프셔를 위해 |
HS v |
|
Hess 277 |
당나귀 속 당나귀 |
?1826년 9월 |
HS |
|
HS v |
|
WoO 197 |
이것이 그 작품이다 |
1826년 9월 |
1949년 취리히 |
홀츠를 위해 |
HS v |
|
WoO 198 |
우리는 모두 헤맨다 |
Dec 1826년 12월 |
놀 (1865) |
홀츠를 위해 |
HS v |
|
닫기
그 외 여러 가지 작품들
자세한 정보 번호, 제목, 조성 ...
번호 |
제목, 조성 |
작곡, 초연 |
출판 |
헌정, 참고 |
GA |
NA |
WoO 31 |
오르간을 위한 푸가 D 장조 |
1783년 |
GA |
|
xxv/309 |
|
|
다양한 춤, kbd 연습, 더 큰 작품을 위해 스케치 사이에 입력되었지만 출판용이 아닐 수 있음 |
약1790–8년 |
필사. 구스타프 노테몸 글에서 선별적으로 작성: 커먼, 편집에서 다수 출판 (I(ii)1970년) |
|
HS ix |
|
|
하이든과 알브레흐츠베르거를 위해 준비한 대위법 연습 |
1793–5년 |
노테봄 : 베토벤의 연구 (1873년 라이프치히), 선택적 필사 |
|
HS vi, xiv |
xiii/1[53] |
WoO 33/1 |
기계 시계를 위한 아다지오 F 장조 |
1799년 |
음악, i (1902) |
|
HS vii |
vi/1[53] |
WoO 33/2 |
기계 시계를 위한 스케르초 G 장조 |
1799–1800년 |
구스타프 베킹의 베토벤의 개인 스타일에 대한 연구 : 스케르초 주제 (1921년 라이프치히) |
|
HS vii |
vi/1[53] |
WoO 33/3 |
기계 시계를 위한 알레그로 G 장조 |
?1799년경 |
기억, iii (1957) |
|
HS vii |
vi/1[53] |
WoO 33/4 |
기계 시계를 위한 알레그로 C 장조 |
?1794년 |
1940년 마인츠 |
|
HS vii |
vi/1[53] |
WoO 33/5 |
기계 시계를 위한 미뉴에트 C 장조 |
?1794년 |
1940년 마인츠 |
|
HS vii |
vi/1[53] |
Hess 107 |
기계 시계를 위한 척탄병행진곡[54] F 장조 |
?1798년경 |
베토벤-1927년 독일 음악 도서관 연감 (1927년 레겐스부르크) |
요제프 요한 슈바르첸베르크 공작 |
HS vii |
vi/1 |
WoO 99 |
살리에리를 위해 준비한 이탈리아 선언 연습 |
1801–2년 |
노테봄 (1873년) [선택적]; HS i [완성] |
|
HS i |
xiii/1 |
WoO 58 |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0번의 첫악장과 피날레를 위한 카덴차 d 단조 |
?1809년 |
1악장ː 빈 예술잡지… (1836년 2월 23일); 피날레: GA; |
페르디난트 리스를 위해 쓰여짐 |
ix/70a/11–12 |
vii/7 |
WoO 200 |
시 '오 희망이여'와 루돌프 대공의 변주곡을 위한 주제 |
1818년 |
1819년 빈 |
|
|
|
|
편지와 일기로, 다양한 음악 인사 |
|
|
|
|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