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류자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류자쿤(刘家琨, Liu Jiakun, 1956년 ~ )은 미니멀리즘, 휴머니즘, 지역적 맥락에 맞는 디자인에 중점을 둔 것으로 알려진 중국 건축가이다. 2025년 그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하여[1][2] 왕수에 이어 이 상을 받은 두 번째 중국 국적 건축가가 되었고, I.M. 페이에 이어 이 상을 받은 세 번째 중국 태생 건축가가 되었다.

간략 정보 류자쿤刘家琨, 인물 정보 ...
Remove ads

초기 생활과 교육

류자쿤은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태어났다.[3] 그의 어머니는 청두 제2인민병원의 내과의사였다.[4][5] 문화대혁명 당시 17세였던 그는 국가의 지칭(知青,농촌 청년) 정책 농촌으로 보내져 노동자로 일하게 되었다.[5][6] 처음에는 예술가가 되기를 꿈꿨지만, 건축이 드로잉과 디자인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 끌려 건축을 전공했다. 그는 1982년에 충칭건축공학대학(현재 충칭 대학의 일부)를 건축공학 학사 학위로 졸업했다.[5]

생애

요약
관점

졸업 후 류자쿤은 국영 청두 건축 설계 연구소에서 근무했다.[6] 그는 이후 티베트동튀르키스탄에서 예술과 문학을 탐구하였다. 1993년, 그는 동문인 탕화(중국어: 汤桦, Tang Hua)의 전시회에서 영감을 받아 건축계로 돌아왔다.[7] 그는 예술가 뤄중리(Luo Zhongli, 罗中立 또는 羅中立)와 허두어링(He Duoling(중국어판)), 자이용밍(Zhai Yongming)과 함께 건축의 영향과 중요성에 대한 공적 담론을 시작하였다.[8]

1999년에 그는 청두에 Jiakun Architects(자쿤 건축사무소)를 설립했다. 그 이후 그의 회사는 학술, 문화, 시민, 상업 및 도시 계획 작업을 포함하여 중국 전역에서 30개가 넘는 프로젝트를 완료했다.[5]

건축철학과 작품선정

류자쿤의 작업은 과도한 장식을 피하는 동시에 지역적 맥락, 전통적인 장인 정신,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통합을 강조한다.[7][9][10] 그의 프로젝트는 종종 현지 재료와 불완전함의 미학을 활용한다.[11] 2008년 쓰촨성 지진 이후 그는 지진 잔해를 재활용해 새로운 건축 자재를 만들었다.[12] 잔해물은 지역의 시멘트와 결합되어 벽돌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공동체의 회복력을 보여주는 사례였다.[13] 이 벽돌들은 노바티스 빌딩, 수정방 박물관, 웨스트빌리지 (청두)(중국어판) 등의 건물에 사용되었다.[8] 류자쿤는 또한 후후이산 기념비(Hu Huishan Memorial)를 설계했는데, 이는 지진 당시 학교가 붕괴되면서 사망한 15세 소녀 후후이산을 기념하는 기념비이다.[2] 기념관은 텐트 모양으로 지어졌으며 스카프와 배낭을 포함한 후후이산의 소지품 일부가 보관되어 있다.[6][14]

2002년, 그는 전통적인 중국 정원을 모델로 한 청두의 루예위안 석조 조각 미술관을 설계하였으며, 이 미술관은 사리의 개인 컬렉션을 수용하기 위해 지어졌다.[6] 2013년에는 600년 된 증류소 부지에 건설된 수이징팡 박물관(중국어판)에서 작업을 하였으며, 이 박물관은 중국 백주의 역사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그는 젠촨 박물관 클러스터(Jianchuan Museum Cluster, 구글지도)에 위치한 시계 박물관을 설계하였으며, 이 박물관은 중국 문화 대혁명의 종말을 묘사한 여러 시계들을 전시하였다.[6]

그의 상업 프로젝트로는 2014년에 그가 설계한 제약 회사 노바티스의 상하이 캠퍼스가 있다. 캠퍼스는 여러 단의 발코니와 같은 전통적인 중국 미학과 현대적인 외관을 결합했다.[4] 청두에 있는 그의 2015년 작품 웨스트빌리지 (청두)(중국어판)는 사무실, 레크리에이션, 운동 및 문화 공간을 포함하는 복합 용도의 공공 프로젝트로, 겸손하고 시각적으로 절제된 디자인으로 이웃의 고층 건물들과 대비를 이루었다.[6] 이 마을 블록은 보행자 도로, 녹지 공간, 자전거 도로를 포함하고 있다.[4] 청두에 있는 류자쿤의 다른 작품으로는 청두 판다 연구 기지에 위치한 산부인과 분만실이 있다.[7][4]

전시회 및 국제적 인정

류자쿤의 디자인은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과 베를린 AEDES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여는 등 국제적으로 전시된 적이 있다. 2018년에는 국제적인 주목을 받은 베이징의 서펜타인 파빌리온 설계를 의뢰받았다.[15]

수상

2025년에 류자쿤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했다.[16] 그는 2012년 왕수와 1983년 I. M. 페이에 이어 이 상을 수상한 세 번째 중국 출신 건축가가 되었다.[1] 프리츠커 심사위원단은 류자쿤의 "문화, 역사, 자연에 대한 경의, 시간을 기록하고 중국 고전 건축의 현대적 해석을 통해 친숙함으로 사용자를 위로하는 것"을 칭찬했다.[4] 수상 인용문에는 "깊은 일관성과 끊임없는 품질을 갖춘 뛰어난 작품을 통해 류자쿤은 어떠한 미학적 또는 양식적 제약도 없는 새로운 세계를 상상하고 구축합니다."라고 적혀 있다.[7] 류자쿤이 수상한 다른 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03년 제7회 아시아건설협회 명예상[17]
  • 2003년 중국건축예술상[17]
  • 2006년 Architectural Record China Award (최우수 공공건축상)[18]
  • 2007년 극동건축상[19]
  • 2009년 중국건축학회 건축창작상[20]
  • 2010 Architectural Record China Awards (최우수 역사 보존 건물, 최우수 공공 건물)[18]
  • 2017년 극동건축상[19]
  • 2025년 제4회 중국건설창의인상[21]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