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리모트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리모트뷰 (RemoteView)
리모트뷰(RemoteView) SaaS는 클라우드 기반의 구독형 원격제어[1] 서비스다. 별도의 서버 구축 없이 인터넷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관리하는 기기 수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제품의 상세 정보는 브랜드 사이트(content.rview.com)에서 제공하며 실제 서비스 이용을 위한 로그인은 서비스 도메인(rview.com)에서 이루어진다. 재택근무[2], IT 자산 관리, 무인 기기 점검 등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활용된다.
주요 특징:
- 지원 환경: PC(Windows, Mac, Linux)와 모바일(Android, iOS) 등 대부분의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스마트폰, 태블릿, 서버, 키오스크 등 다양한 기기에 원격 접속이 가능하다.
- 인프라: 전 세계 15개 지역에 클라우드 기반 중계 서버를 구축하여 원격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 보안: 통신 전 구간은 SSL 256비트 표준으로 암호화되며, 2단계 인증, 접속 IP/MAC 주소 제한, 원격지 화면 잠금 등의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 관리 기능: 사용자와 기기를 그룹별로 관리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하위 매니저를 지정하여 운영이 가능하다. '라이브뷰(LiveView)' 기능을 통해 원격 접속 없이 다수 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Remove ads
리모트뷰SE (RemoteView SE)
리모트뷰(RemoteView) SE(Security Edition)는 보안이 강화된 구축형(On-Premise) 원격제어 솔루션으로, '2024 IT 혁신상품[3]'에 선정된 바 있다. 기업의 내부 서버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으로, 망 분리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보안을 요구하는 금융권이나 대기업의 재택근무 환경에 주로 사용된다.
주요 특징:
- 보안 규정: 금융보안원의 '금융권 재택근무 보안 고려사항' 및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원격근무 보안 가이드라인 등을 충족한다.
- 접속 전 보안 점검: 원격 접속을 시도하는 PC의 OS 최신 보안 패치 여부, 백신 설치 및 업데이트 상태를 사전에 점검하여,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면 접속을 제한한다.
- 정보 유출 방지:
- 워터마크: 원격제어 화면에 접속자 정보(ID, IP, MAC 주소 등)를 워터마크로 표시하여 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 원격 화면 잠금: 원격제어 중인 PC의 실제 모니터 화면을 검게 만들어 타인에게 업무 내용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 파일 전송 통제: 사용자별로 파일 송수신 권한을 설정하여 악성코드 유입이나 자료 유출 위험을 차단한다.
- 감사 및 이력 관리: 모든 원격제어 세션은 자동으로 녹화되어 서버에 저장되며, 접속 및 파일 전송 등 모든 활동 이력이 로그로 기록된다.
Remove ads
온라인 용역통제 시스템
온라인 용역통제 시스템은 공공기관 및 기관에서 외부 용역업체 인력의 내부 시스템 접근을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한 구축형(On-Premise) 원격제어 솔루션이다. '국가 정보보안 기본지침' 등 공공기관의 보안 요구사항을 준수하도록 개발되었다. 이 솔루션은 전자신문사가 주최하는 '2024년 하반기 베스트 신상품[4]'에 선정되었다.
주요 특징:
- 접근 절차:
- 사전 승인: 외부 용역 인력은 원격 작업 전 보안서약서가 포함된 신청서를 제출하고 관리자의 추가 승인을 받아야 접속이 허용된다.
- 1회성 접속: 이메일 초대 기능을 통해 특정 외부 인력에게 지정된 시간 동안만 유효한 1회성 접속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 내부 시스템 접근 제어: 외부 인력의 원격 접속 시, 사전에 등록된 특정 프로그램(프로세스)이나 웹사이트(URL)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비인가 시스템 접근을 막는다.
- 관리 체계 분리: 시스템 정책 설정, 계정 관리 등은 내부망에서만 접근 가능한 '관리자 페이지'에서, 실제 원격제어는 외부망에서 접근하는 '사용자 페이지'로 이원화하여 보안을 강화했다.
- 감사 기능: 외부 인력의 모든 원격제어 활동은 영상으로 녹화되며, 관리자는 이를 통해 작업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리모트뷰OT (RemoteView OT)
리모트뷰(RemoteView) OT(Operational Technology)[5]는 스마트 팩토리의 OT(운영 기술)/FA(공장 자동화) 망에 특화된 구축형(On-Premise) 원격제어 솔루션이다. 외부망과 생산망(내부망) 사이의 원격 연결을 제공하여, 공장 내 설비와 기계를 중앙에서 통제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되었다.
주요 특징[6]:
- OT망 보안: KISA(한국인터넷진흥원)의 스마트팩토리 보안 가이드라인을 충족하며, 여러 원격 프로그램을 단일 솔루션으로 표준화하여 중앙에서 관리함으로써 보안 사고를 예방한다.
- 영상 처리 기술: 자체 개발한 H.264 영상 인코딩 기술 'XENC'를 적용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공장 설비의 화면을 최대 30FPS로 전송한다.
- 파일 전송 보안: 외부(IT망)에서 내부(OT망)로 파일을 전송할 때 백신을 연동하여 파일의 무결성을 검사함으로써 악성코드 감염을 방지한다.
- 관리 기능: 여러 장비 화면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보는 '라이브뷰' 기능과, 공장 라인별, 기계별로 그룹을 설정하고 사용자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Remove ads
리모트뷰박스 (RemoteViewBOX)
리모트뷰박스(RemoteViewBOX)는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하는 하드웨어[7] 방식의 원격제어 장비다. HDMI(영상)와 USB(키보드/마우스) 케이블을 연결하여 작동하며, 소프트웨어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인터넷 연결이 없는 환경의 기기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주요 특징[8]:
- 비설치 방식: 원격 대상 기기에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 시스템 부하가 없으며, 보안 정책상 S/W 설치가 금지된 환경에 적합하다.
- OS 호환성: Windows 구형 버전, Linux, Unix 등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제어할 수 있으며, PC 부팅 전 단계인 CMOS/BIOS 설정 화면에도 원격으로 접근 가능하다.
- 고해상도 지원: 최대 4K 고화질 영상 전송을 지원하여 3D 그래픽, 설계 도면 등의 원격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 활용 분야: 데이터센터(IDC) 서버, 반도체 생산 라인 장비, 병원 의료 기기, ATM, 키오스크 등 특수 목적 장비 관리에 사용된다.
- 물리적 제어: 장비 외부 버튼을 이용해 원격 접속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거나 원격제어 화면을 녹화할 수 있다.
Remove ads
리모트WOL (RemoteWOL)
리모트WOL(RemoteWOL)은 알서포트가 출시한 하드웨어(HW) 기반의 원격 전원 관리 장비다. 원격제어 솔루션인 '리모트뷰(RemoteView)'와 손쉽게 연계하여 사용하는 점이 경쟁력[9]으로 평가받는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PC를 사용해 원격지에 있는 PC의 전원을 켠 후 리모트뷰로 접속하는 방식으로 활용한다.
주요 특징:
- 하드웨어 방식: 소프트웨어(SW) 방식과 달리 별도의 하드웨어 장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작동한다. 이 방식은 다른 PC를 항상 켜 둘 필요 없이 모든 PC가 꺼진 상태에서도 전원 제어가 가능한 장점[10]이 있다.
- 에너지 효율성: 회사 측 설명에 따르면, 한 대의 PC를 항상 켜두어야 하는 소프트웨어 방식 대비 전력 소모를 7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 다중 PC 제어: 하나의 리모트WOL 장비로 여러 대의 PC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 개발 배경: 기존 원격 접속 시스템이 있더라도 대상 PC의 전원이 꺼져 있으면 사용할 수 없었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