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성남 FC–수원 삼성 블루윙즈 라이벌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성남 FC–수원 삼성 블루윙즈 라이벌전은 K리그 소속인 성남 FC (천안 일화와 성남 일화 시절 포함)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간의 더비 경기이다.
명칭
성남 FC의 성남 일화 천마 시절에는 마계대전'(馬鷄大戰)이라는 명칭으로 불렸는데 이 명칭은 2000년대 중반, 성남 일화 천마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전성기를 구가하며 두 팀의 경기가 수준 높은 모습을 보였을 때 인기를 끌던 김성모의 만화 마계대전[1] 이 성남의 상징인 천마(天馬)와 수원 삼성의 비하어인 닭(鷄)[2]와 같은 음이 나서 붙여진 별명으로 일부 수원 팬들은 계마대전(鷄馬大戰), 조마대전으로 부르기도 한다.[3]
2014년 성남 일화 천마가 성남 FC로 재출범한 후 명칭 변경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성남의 마스코트인 까치 ‘작’(鵲)과 마계대전에 인용됐던 수원의 닭 ‘계’(鷄)를 조합하고 피가 튀는 혈투의 의미도 함축하여 계작살(鷄鵲殺)이라는 명칭을 성남 FC 측에서 2015년 만들어 사용하였다.[4][5]
그러나 계작살 명칭 역시 2016년 이후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현재는 더비 명칭을 브랜드화 시킨 네이밍이 사실상 없다고 볼 수 있다.
Remove ads
역사
1996년 천안 일화 천마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첫 대결을 펼친 이후 연고지를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경기도 성남시로 옮기며 수원시와 지역적으로 가까워져 수도권 인근 수원시와 지역적으로 가까워져 수도권 인근에 위치한 두 팀의 지역적인 관계로 인하여 성남 일화 천마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간의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고,[6] 이후 안양 LG 치타스와 부천 SK가 각각 2004년과 2006년 서울특별시와 제주도로 연고지를 옮기면서 수도권을 대표하는 대표적인 더비 경기로 자리잡게 되었다.[7]
양 팀과의 과거의 악연에서 형성된 K리그 클래식을 대표하는 또 다른 더비 경기인 지지대 더비와 달리 마계대전은 K리그 클래식을 대표하는 양 팀간의 성적으로 맞물려있는 클래식 더비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무림의 최고수들끼리 한판승을 벌인다는 의미인 '마계대전(魔界大戰)'의 중의적인 의미 또한 포함하고 있다.[8][9]
K리그 클래식의 판도를 주도해온 라이벌답게 성남과 수원 양 팀은 중요한 길목에서 서로 맞붙기도 하였는데, 2000년 대한민국 슈퍼컵을 시작으로, 2000년 아디다스컵 결승, 2006년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09년 FA컵 결승. 2010 AFC 챔피언스리그 8강전, 2011년 FA컵에서 우승을 다투었다.
Remove ads
양 팀에서 활약하였던 선수
김이주 (성남 : 1989-1995 / 수원 : 1996-1997 / 성남 : 1997-1998)
황인수 (성남 : 2000-2001 / 수원 : 2001-2002)
박충균 (수원 : 1996-2001 / 성남 : 2001-2003)
사샤 (수원 : 1998-2000 / 성남 : 2001-2003)
박남열 (성남 : 1993-2003 / 수원 : 2004)
이기형 (수원 : 1996-2002 / 성남 : 2003-2004)
데니스 (수원 : 1996-2003 / 성남 : 2003-2005 / 수원 : 2006-2007)
- 1996년 만 19세의 나이로 수원에 입단하였고, 수원에서 고종수, 산드로와 함께 일명 '고데로 트리오'를 이루며 1996년 FA컵 득점왕과 1997년 K리그 도움왕에 오르기도 하였다. 이후 1998년과 1999년 팀의 리그 2연패에 혁혁한 공을 세워 1999년과 2000년 2년 연속 K리그 베스트 11에 포함되었으며, 1999년 K리그 컵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2003년 그는 7년간 동고동락했던 수원과 작별을 고하고 성남으로 이적하였고, 그 해 7월 대한민국으로 귀화하여 등록명을 이성남으로 바꾸게 되었다.[10] 2004년 11월 3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친정팀과의 경기에서 역전 결승골을 넣었는데, 이때 그는 득점한 골문 반대편의 수원 서포터들에게 달려가 자신의 등에 찍힌 이름 "이성남"을 양 손가락으로 가리켜 보이며 도발하였다. 2005년 말에 수원으로 다시 돌아갔지만 이 때의 세레머니는 지금도 수원 서포터들의 기억에 남아있을 정도다.
서동원 (수원 : 2001 / 성남 : 2006-2007)
이싸빅 (성남 : 2003-2005 / 수원 : 2005-2007)
김상덕 (수원 : 2005 / 성남 : 2006-2007)
이따마르 (수원 : 2005-2006 / 성남 : 2007)
손대호 (수원 : 2002-2004 / 성남 : 2005-2008)
김동현 (수원 : 2004-2005 / 성남 : 2007-2008)
안효연 (수원 : 2005 / 성남 : 2006 / 수원 : 2007-2008)
조병국 (수원: 2002-2004 / 성남 : 2005-2010)
김대의 (성남 : 2000-2003 / 수원 : 2004-2010)
- 2000년 성남에서 K-리그 무대에 데뷔하였고,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성남의 리그 3연패의 수훈갑이 되어 2002년 K-리그 MVP를 수상기도 하였다. 2004년 수원으로 이적하였고, 성남 서포터들에게 무수한 비난의 화살을 받았다. 2010년까지 수원에서만 7년차가 되었지만 김대의 스스로도 친정팀에 대한 기억이 남아있는 만큼 성남과의 경기에서는 타 경기에서보다도 전력을 다해 뛰며 양 팀의 라이벌 관계를 더욱 치열하게 했다.
최성국 (성남 : 2007-2010 / 수원 : 2011)
남궁웅 (수원 : 2003-2010 / 성남 : 2011-2012)
한동원 (성남 : 2007-2009 / 수원 : 2012)
하강진 (수원 : 2010 / 성남 : 2011-2012)
황재원 (수원 : 2010-2011 / 성남 : 2012-2013)
이상기 (성남 : 2010 / 수원 : 2011-2013)
라돈치치 (성남 : 2009-2011 / 수원 : 2012-2014)
홍철 (성남 : 2010-2012 / 수원 : 2013-2020)
조동건 (성남 : 2008-2011 / 수원 : 2012-현재)
정성룡 (성남 : 2008-2010 / 수원 : 2011-2016)
박태민 (수원 : 2008-2010 / 성남 : 2015-현재)
권태안 (수원 : 2011-2012 / 성남 : 2014-현재)
김두현 (수원 : 2001-2005 / 성남 : 2005-2007 / 수원 : 2009-2014 / 성남 : 2015-2017)
Remove ads
경기장
역대 전적
요약
관점
K리그1
천안 일화 천마 vs 수원 삼성 블루윙즈 전적 (1996-1999)
리그컵
천안 일화 천마 vs 수원 삼성 블루윙즈 전적 (1996-1999)
FA컵
천안 일화 천마 vs 수원 삼성 블루윙즈 전적 (1996-1999)
슈퍼컵
관중: 14,021
AFC 챔피언스리그
Remove ads
기록
역대 승무패 전적
- 2015년 3월 22일 기준
-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공식 마계대전 통계는 1996년부터 1999년까지의 성남 일화 천마의 천안 일화 천마 시절 기록을 포함한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통산 전적으로 계산되고 있다.[12]
- 승부차기 승패는 무승부로 처리된다.
각주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