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레브 반란 (2002년~현재)

북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반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마그레브 반란 (2002년~현재)

마그레브 반란알제리, 모리타니, 모로코 등 마그레브 지역에서 2002년부터 발생한 반란의 총칭으로,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단체인 GSPC가 주도했다. 이후 이 단체는 알카에다 이슬람 마그레브 지부와 연합해 알제리 정부에 맞섰다.[20] 분쟁은 이후 2002년 종결된 알제리 내전의 여파로 발생한 것으로, 알제리 주변 국가들로 확산되고 있다. 알제리와 다른 마그레브 국가들은 2007년부터 항구적 자유 작전 - 트란스 사하라가 2007년부터 개시되면서 미국과 영국의 지원을 받고 있다.[21][22]

간략 정보 마그레브 반란, 날짜 ...
마그레브 반란
테러와의 전쟁의 일부
Thumb
GSPC 반군이 활동하는 영역 지도
날짜2002년 4월 11일 - 현재
장소
상태 진행 중
교전국

AQIM (2007-)
알무라비툰 (2013-)
MOJWA (2011-2013)[7]
살라프 지하댜[8]
보코 하람[9] (2009-2015)


ISIL[10]

  • 준드 알칼리파 (2014-)
  • 보코 하람 (2015-)
  • ISIL 리비아 지부 (-2016)
지휘관

디온쿤타 트라오레
아마두 사노고
아마두 투마니 투레
무함마드 6세
압델릴라 벤키란
도널드 트럼프
버락 오바마
데이비드 로드리게스
압델라지즈 부테플리카
압둘말리크 살랄
니콜라 사르코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수아 올랑드
에두아르 귀라드
베지 에셉시
하비브 에시드

모하메드 아지즈

아마리 사이피 (POW)
나빌 사라위  
압델말렉 드루크델
모크타르 벨모크타르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  
아부 알라 아프리 [11][12]

구리 압델말렉  [13]
병력
불명

AQIM 800+1,000[14][15] 살라프 지하댜 700명 이상[16]


ISIL 리비아 지부: 5,000

준드 알 칼리파: 30명 이하[17][18]
피해 규모

917명 사망
417명 포로
12명 처형
1,354명 이상 부상

2명 실종

AQIM

  • 1,312명 이상 사망
  • 536명 포로
  • 1명 이상 부상[19]

ISIL: 76명 사망, 25명-45명 포로[13]
닫기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