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마음방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마음방랑(Mind-wandering)은 당면 과제와 무관한 생각들을 말한다. 여기에는 해야 할 일과 상관없이 자극이 없어도 떠오르는 사고들이 있다.[1][2] 이는 정적이고 건설적인 백일몽(positive constructive daydreaming), 죄책감이 들 정도로 느끼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주의력 통제 빈약과 같은 세 하위 유형에 속한다.[3]
마음방랑은 장시간 한 가지 주제, 특히 집중력을 요구하는 과업을 수행할 때에, 그것에 오래 머물지 못하는 사고를 경험하는 것으로 흔히 이해된다.[4]
일례로 운전하는 상태에서도 마음방랑이 발생한다. 이는 최적의 조건에서 운전하는 것은, 사람이 집중력을 요구하는 과업을 수행할 때에 활성화되는 뇌망(brain network)인 과업 정적 뇌망(Task-positive network)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자동적 활동(automatic activity)이기 때문이다.[5] 경계(vigilance)가 낮은 상황에서 사람은 자신의 생각에 몰입하기에 주변 환경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 지를 기억하지 못한다. 이를 디커플링 가설(decoupling hypothesis)이라 한다.[6]
사건 관련 전위(event-related potential, ERP)를 이용한 연구들에서 마음방랑은 뇌의 외부 정보 처리 능력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보였다. 사고가 당면 과제와 무관할 경우, 뇌는 과업과 유관하거든 무관하든 상관없이 모든 감각 정보를 처리하지만, 그 디테일은 떨어진다.[7][8][9]
마음방랑은 사람의 안정적인 특질(trait)이자 일시적인 상태인 것처럼 보인다. 연구들은 연구실 내에서의 수행 문제[10]와 일상에서의 수행 문제를 연결하였다.[11] 마음방랑은 발생 가능성 있는 차 사고와 관련되어 왔다.[12] 또한 마음방랑은 정동(affect) 상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연구에서는 과업과 무관한 생각은 기분이 저하되거나 우울한 사람에게 흔하다고 지적한다.[13][14] 또한 마음방랑은 알코올 중독자에게도 발생한다.[15]
연구들에서는 마음방랑 상태에서는 과거와 관련된 사고보다는 미래에 관련된 사고에 개입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마음방랑은 자발적인 사고에 해당한다고 보는 경향이 강하였다.[16] 기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는 마음방랑과 내부 지향 사고(internally directed thought)에 관여한다고 보지만,[17] 최근 연구는 이러한 가정을 반박한다.[18]
Remove ads
같이 보기
- 과집중 (반의어)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