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마찰음
닿소리를 발음할 때 공기가 좁은 틈을 통과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마찰음(摩擦音, Fricative, 문화어: 스침소리)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공기가 좁은 틈을 통과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이다. 갈이소리라고도 한다. 통과하는 공기가 치아 쪽으로 빠져나갈 때를 치측 마찰음 또는 치찰음이라 한다.
치찰음
비 치찰음
설측음
유사 마찰음
Remove ads
- ㅅ·ㅆ
- 뒤에 /i, j, y, ɥ/가 오지 않음: 무성 치경 마찰음 [s]
- /i, j, y, ɥ/ 앞에서: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ɕ]
- ㅎ
- 첫소리에서 뒤에 /i, j, y, ɥ, ɯ, ɰ, u, w/가 따르지 않음: 무성 성문 반찰음 [h]
- 첫소리에서 뒤에 /i, j, y, ɥ/가 옴: 무성 경구개 마찰음 [ç]
- 첫소리에서 뒤에 /ɯ, ɰ/가 옴: 무성 연구개 마찰음 [x]
- 첫소리에서 뒤에 /u, w/가 옴: 순음화 무성 양순 마찰음: [ɸʷ]
- 모음이나 유성음과 모음 사이: 유성 성문 반찰음 [ɦ]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