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동 | 법정동 | 한자 | 설명 |
공덕동 | 공덕동 | 孔德洞 |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 청파4계(靑坡四契)·공덕리계(孔德里契)·만리창계(萬里倉契) 지역이었다. 1913년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공덕리로 되었고, 1936년 경성부 공덕정(孔德町)으로 편입되었다. 1943년 서대문구 공덕정이 되었고, 1944년 마포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10월 1일 공덕동으로 개명.[2] |
신공덕동 | 新孔德洞 |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 성외(城外) 신창계(新倉契)였다. 1913년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龍江面) 신공덕리(新孔德里)였고, 1936년 경성부 신공덕정(新孔德町)으로 편입되었다. 1943년 서대문구 신공덕정으로 바뀌었고, 1944년 마포구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10월 1일 신공덕동으로 개명.[2] |
아현동 |
阿峴洞 |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반송방 아현계(阿峴契)· 차자리계(車子里契)· 권정승계(權政丞契)였다. 1913년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龍江面) 아현리로 되었고, 1936년 경성부 아현정(阿峴町)으로 바뀌었다. 1943년 서대문구로 편입되었고, 1944년 마포구에 속한 뒤 1946년 10월 1일 아현동으로 개명.[2] |
아현동 |
〃 |
공덕동 | ↑ 참고 |
도화동 | 도화동 | 桃花洞 |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 마포계(麻浦契)·도화동계(桃花洞契)였다. 1911년 경성부 용산면에 속하였고, 1914년에는 도화정(桃花町)이라고 하였다. 1943년 용산구에 편입되었고, 1944년 마포구로 관할이 바뀌었으며, 1946년 10월 1일 도화동으로 개명.[2] |
마포동 | 麻浦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마포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마포동으로 개명.[2] |
용강동 | 용강동 | 龍江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용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용강동으로 개명.[2] |
토정동 | 土亭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토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토정동으로 개명.[2] |
도화동 | ↑ 참고 |
마포동 | ↑ 참고 |
대흥동 | ↓ 참고 |
염리동 | ↓ 참고 |
대흥동 | 대흥동 | 大興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대흥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대흥동으로 개명.[2] |
노고산동 | 老姑山洞 | 1936년 노고산정(老姑山町), 1943년에는 서대문구 노고산정이라 하였다. 1946년 10월 1일 노고산동으로 개명.[2] 1964년 6월 1일 서대문구에서 마포구로 편입되었다. |
신수동 | ↓ 참고 |
염리동 | 염리동 | 鹽里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염리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염리동으로 개명.[2] |
공덕동 |
↑ 참고 |
신수동 | 신수동 | 新水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신수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신수동으로 개명.[2] |
현석동 | 玄石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현석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현석동으로 개명.[2] |
구수동 | 舊水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구수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구수동으로 개명.[2] |
신정동 | 新井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신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신정동으로 개명.[2] |
대흥동 | ↑ 참고 |
서강동 | 창전동 | 倉前洞 | 조선시대의 창고인 광흥창의 앞동네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창전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창전동으로 개명.[2] |
상수동 | 上水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상수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상수동으로 개명.[2] |
하중동 | 賀中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하중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하중동으로 개명.[2] |
당인동 | 唐人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당인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당인동으로 개명.[2] |
신정동 | ↑ 참고 |
서교동 | 서교동 | 西橋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서교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서교동으로 개명.[2] |
동교동 | 東橋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동교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동교동으로 개명.[2] |
노고산동 | ↑ 참고 |
합정동 | 합정동 | 合井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합정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합정동으로 개명.[2] |
망원제1동 | 망원동 | 望遠洞 | 1944년 10월 마포구 신설로 마포구 망원정이 되었고 1946년 10월 1일 망원동으로 개명.[2] 한강을 이웃하고 있어,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서울의 상습 침수 지역 중 하나였다. 이런 이유 때문에 개발도 상대적으로 덜 돼 망원동은 인근 합정동이나 상암동에 비해 노후 주택이 많은 편이다.[3] |
망원제2동 |
연남동 | 연남동 | 延南洞 | 1975년 연희동 일부를 분리하여 연남동이라고 하였다. |
성산제1동 | 성산동 | 城山洞 | 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고[4] 1975년 10월 1일 마포구 관할이 되었다.[5] |
성산제2동 |
〃 |
중동 | 中洞 | 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다.[4] |
상암동 | 상암동 | 上岩洞 | 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은평출장소에서 관할)로 편입되었고[4] 1975년 10월 1일 마포구 관할이 되었다.[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