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관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관계
Remove ads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는 1957년 8월 31일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1]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양자 관계 중 하나이다.[2]

간략 정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여러 측면에서 유사성을 공유하는 인접 국가이다.[3] 양국은 역사, 문화, 종교에서 공통적인 기준틀을 가지고 있으며, 별개의 독립국임에도 깊이 자리 잡은 유사성이 존재한다.[4] 말레이시아어인도네시아어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상당 부분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양국은 모두 무슬림 다수 국가이자 ASEANAPEC의 창립 회원국이며, 비동맹 운동, 개발도상 8개국, 유엔, 이슬람 협력 기구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양국은 수 세기에 걸친 공통의 종교, 언어, 지리적 근접성, 문화적 유산으로 묶여 있지만, 관계는 종종 우호적이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외교적 마찰을 자주 겪었다.[5] 독립 이후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사회, 경제, 정치 발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이는 종종 심각한 양자 간 긴장으로 이어졌다.[2] 최근 수십 년 동안 두 나라의 민주화 속도 차이도 관계를 점점 더 어렵게 만들었다. 말레이시아의 정부 통제 언론은 인도네시아와 관련된 민감한 사안 보도를 자제한 반면, 인도네시아의 자유로운 대중 언론은 긴장을 고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말레이시아는 자카르타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메단, 페칸바루, 폰티아낙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6] 인도네시아는 쿠알라룸푸르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페낭, 조호르바루, 코타키나발루, 쿠칭, 타와우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7]

Remove ads

상세

본래 이 지역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말레이족, 그리고 인도인들이 그들의 대륙으로부터 이주하여 살던 지역이었다.[8][9][10] 두 나라가 근대적 의미에서 외교 관계를 맺은 것은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고, 말레이시아의 전신 국가인 말라야 연방대영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한 20세기 중반부터다.[11] 두 국가는 1957년 8월 31일에 외교 관계 수립에 합의하였다.[12]

문화 및 언어에 있어서 두 나라는 상당히 많은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1960년대 초 두 국가의 관계는 부정적이었다.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는 당시 신생국이었던 두 국가의 갈등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당시 인도네시아의 지도자인 수카르노는 말레이시아의 탄생을 영국의 신식민주의로 인식하고, 이를 저지하고자 하였다.[13] 이는 콘프론타시(Confrontasi)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인도네시아는 말레이시아에 대해 선전포고 없이 비공식적으로 전쟁을 벌였다.[14][15] 특히 인도네시아는 사바섬사라왁주에 대하여 인도네시아가 문화적으로 더 가깝다고 주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는 말레이시아에 군사적 지원을 하였다.[16] 이후 수하르토가 쿠테타를 일으켜 권력을 잡고, 기존 공산주의 성향에서 친서방주의로 노선을 바꾸면서 갈등을 일단락되고, 두 국가는 자카르타 협정으로 알려져 있는평화 협정을 맺었다. 이는 1966년에 체결되었으며, 이후 두 국가 간 무력 충돌은 잦아들게 되었다. 그러나 육상에서는 술라웨시섬, 사라왁주, 사바주의 일부 지역의 국경선들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보르네오해의 해상 영역에 대한 국경 갈등이 존재한다.

Remove ads

방위 협력

신질서 시대인 1966년 3월 12일, 정부 포고령이 발령되면서, 인도네시아는 공산주의 확산과 관련 단체들을 금지하였다. 당시 서칼리만탄주사라왁주에는 북칼리만탄 공산당(NKCP)이라는 공산주의 운동이 존재하였다. 이 시기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공산주의자들을 공동의 적으로 간주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 협력하였다.[3]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