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매화마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매화마름(Ranunculus kazusensis)은 1960년대까지만 해도 영등포에서 채집될 정도로 흔했던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 또는 한해살이 수생식물이다. 꽃은 물매화와 비슷하고 잎은 붕어마름을 닮아 매화마름이라고 한다. 흰색의 꽃은 4 ~ 5월에 피며 꽃자루가 물 위로 나와서 그 끝에 지름 약 1 cm, 3~7 cm 크기의 꽃자루에 한 개의 꽃이 피어난다. 꽃잎과 꽃받침은 다섯 개이고 수술과 암술은 여러 개이다. 환경부에서는 1998년 2월, 매화마름을 멸종위기야생식물로 지정하였다.
재배 및 관리
자배기 등에 마사토를 섞은 무거운 흙을 넣고 물을 너무 깊지 않게 부어 키운다. 여러해살이가 하지만, 자연에서는 씨가 바로 밑에 떨어져 그 자리에서 계속 자라 올라오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꽃이 진 뒤 별 모양의 열매가 맺히는데, 때를 놓치지 않고 씨를 받아 물이 자작한 땅에 뿌리거나 줄기를 꺾꽂이해 늘려갈 수 있다.[1]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