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맥랑시대
KBS의 청소년 대상 시추에이션 드라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맥랑시대》(麥浪時代)는 한국방송공사의 청소년 드라마인데 내용이 평온했지만 너무 동화같아서 실제 고교생들의 문제와 정서에 동떨어졌다는 지적이[1] 있었다. 한편, 방영 시작 후 여러 가지 악재가 겹쳤는데 전양자 (김준호 어머니 역)가 오대양 사건 재수사의 여파 탓인지 6회 이후 출연을 중단했으며 고현정 (강신애 역)이 학업 탓인지 9회를 끝으로[2] 드라마에서 빠졌다. 급기야 초대 연출자 윤흥식 PD가 1991년 11월 전주방송총국으로 인사 이동하면서 17회부터 나상엽 PD로 연출자가 바뀐 데다[2] 초대 집필자 김준일 작가도 개인사정 때문에[2] 빠졌다. 이에 제작진은 전양자 고현정 등의 출연 중단으로 인한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유경아 (허미옥 역)에게 초점을 맞췄지만<[2] 미국 유학 탓인지 18회를 끝으로 출연을 중단했고 이주희 (이주희 역) 김호진 (김영진 역) 등이 20회부터 출연을 개시해 문예부 대신 방송반을 중심으로 꾸며졌으며 허숙 작가가 새 집필자로 투입됐다. 하지만, 허숙 작가도 1992년 3월에 SBS로 이적하는 바람에[3] 참여를 중단하기도 했다. 아울러, 17회부터 연출자가 바뀐 데다 출연자가 물갈이되면서 무대를 문예반에서 방송반으로 바꾸는 한편 뒷날 주연급 학생들과 교사에 신인과 아역 출신 배우들을 대거 등장시켰지만[4] 방영 초기 지방 소도시 학생들의 생활을 풋풋가게 그리겠다는 기획의도를 그려내겠다는 것이 출연자, 연출자, 작가 등이 전격 교체되면서 소도시에 걸맞은 내용이나 설정이 없이 등장인물들의 장난기만을 부각시킨 무전취식과 미팅을 비롯한 신변잡기식의 내용을 내보내는 등 산만한 구성과 허약한 주제의식을 보여줬다는 혹평이 있었다[5].
Remove ads
방송 일정
출연자
교직원
상급생
하급생
주변 인물
- 이영후: 이 양 자매의 아버지역(20회부터 출연)
 - 박정수: 이 양 자매의 어머니역(20회부터 출연)
 - 조하나: 주희의 언니 이정원역(20회부터 출연)
 - 조정국: 홍 씨역
 - 김봉근: 김 씨 남매의 아버지역
 - 전양자: 김 씨 남매의 어머니역(6회 이후 출연 중단)
 - 이금화: 김준호의 누나역
 - 이선용: 서점 주인역
 - 김형일: 혁진역
 - 홍영자: 송미애의 어머니(한영순)역(61화 제외), 유아 시절 최동현의 어머니역(61화)
 - 고상백: 권상옥역
 - 강인기: 태수역
 - 신구: 김영진의 할아버지역
 - 박주아(40화) → 김소원(50화, 57화): 한솔의 할머니(이소라)역
 - 김해권: 최동현의 아버지역
 - 서영애: 최동현의 어머니역
 - 김흥기: 한솔의 아버지역
 - 서미애: 한솔의 새어머니역
 - 유명순: 이한수의 어머니역(9화), 창수의 어머니역(55화)
 - 장영주: 문보영의 어머니역
 - 맹호림: 문보영의 아버지역
 - 남윤정: 한솔의 친어머니(백영희)역
 - 방숙례: 홍영섭의 어머니역
 - 박현정: 권미옥의 어머니역(8화 ~ 18화), 가겟집 아줌마역(62화)
 
기타 인물
- 하미혜
 - 염준영
 - 김찬우
 - 박형준
 - 김동현
 - 이화규
 - 이오비: 심재희역
 - 윤아: 지혜역
 - 고희준: 정진복역
 - 이지형: 이진호역
 - 김지영: 진희역
 - 윤진호: 유병문역
 - 신수강: 유병문의 어머니역
 - 강영하: 병원 여직원역
 - 전원주: 점쟁이 할머니역(16화), 이치열의 어머니역(33화, 38화, 48화, 59화, 63화)
 - 강태기: 박명환 작가역
 - 황선정: 박명환 작가의 배우자역
 - 손호균: 의사역
 - 이종길: 레스토랑 종업원역(24화), 버스 승객역(59화)
 - 양재원: 지혜의 남자친구역(15화), 유미의 매니저역(46화)
 - 김하균: 집배원역
 - 이주실: 장학사역
 - 김현철: 최봉식역
 - 이화영: 최봉식의 누나역
 - 이필수: 경비원역
 - 최상일: 비디오테이프 대여점 주인역
 - 변영훈: 유준하역
 - 유복녀: 가정부역
 - 이경애: 양돌순역
 - 김유철: 훈이역
 - 최정: 돌이역
 - 문윤선: 귀신역
 - 김동완: 조 씨 아저씨역
 - 서상익: 이한수의 아버지역(15화), 김 박사역(57화)
 - 최연수: 혜자역(28화), 장은정역(58화, 61화)
 - 김준모: 버스 승객역
 - 송상은: 도서관 남학생역
 - 본사 공채 14기 연기자 일동: 사물놀이 공연단역
 
특별 출연
- 문경은 외 연세대학교 농구부원 일동 (37화)[6]
 - 김병식 (38화)
 - 임성은: 유미역 (46화)[7]
 
Remove ads
에피소드 목록
1991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2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작진
- 극본 : 김준일, 김경숙 → 허숙 → 이유정
 - 연출 : 윤흥식 → 나상엽 프로듀서
 
편성 변경
- 1991년 9월 18일: 7시부터 《남북한 UN 동시가입 경축공연》이 편성됨에 따라 방송일이 1주일 연기되었다[10].
 - 1991년 9월 25일: 6시 10분부터 KBO 리그 준플레이오프 3차전 중계방송이 편성됨에 따라 방송일이 1주일 연기되었다.
 - 1991년 10월 9일: 6시부터 KBO 리그 한국시리즈 1차전 중계방송이 편성됨에 따라 방송일이 1주일 연기되었다.
 - 1991년 12월 18일: 6시 55분부터 TV 30년 기획 연속 생방송 《TV 30년 웃고 사는 인생》이 편성됨에 따라 방송일이 1주일 연기되었다[11].
 - 1992년 2월 5일: 7시부터 《역사에의 초대》 - 〈덕수궁 - 왕조의 세월〉이 편성됨에 따라 방송일이 1주일 연기되었다[12].
 
외부 링크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