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메타세쿼이아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메타세쿼이아속
Remove ads

메타세쿼이아속(학명: Metasequoia)은 메타세쿼이아와 몇몇 멸종된 식물을 포함하는 이다. 1944년에 재발견한 이후 메타세쿼이아는 여러 나라의 공원이나 도로 곳곳에서 찾을 수 있는 유명한 조경수가 되었다.

간략 정보 메타세쿼이아속, 생물 분류ℹ️ ...

메타세쿼이아는 메타세쿼이아속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수종아며 세 개의 화석 수종이 발견되었다. 세쿼이아과(Sequoioideae) 및 일부 다른 속들이 DNA 분석에 기반하여 주목과에서 측백나무과로 옮겨졌다.[1]

Remove ads

고생물학

메타세쿼이아속의 화석 수종들은 북반구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이 되었는데, 그 중 20종 이상의 화석 수종이 명명되었으나(일부는 세쿼이아속으로 동정되었다), 단지 세 종(M. foxii, M. milleri, M. occidentalis)만을 정식으로 취급한다.[2] 화석은 앞서 세노마눔절 지층에서부터 발견되었다. 팔레오세, 에오세에 걸쳐, 북쪽으로 엘즈미어섬스트라스코나 피오르드까지, 북위 80도 부근의 액슬하이버그섬(Axel Heiberg Island, 북캐나다) 지역에서 메타세쿼이아류가 광대한 숲을 이루었다.[3] 메타세쿼이아는 이 당시에 활엽수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 시기 고위도를 볼 때, 이 시기의 고위도가 따뜻하고 열대 기후였던 점을 고려할 때, 활엽성이 주요 계절의 온도 변화가 아닌 비정상적인 빛 이용 패턴에 대응하여 진화해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4] 여름 중 3개월 동안은 해가 계속 떠 있으며 겨울 중 3개월 동안은 칠흑같은 어둠에 싸여 있었을 것이다. 또한 메타세쿼이아류가 고위도에 대규모로 서식하기 전에 상록성에서 활엽성으로 변화한 것은 이들이 북쪽에서 우점을 했기 때문이라는 가설도 있다.[5]

이 나무들은 백악기 후기~마이오세 지층에 걸쳐서 발견이 되지만, 마이오세 이후 지층부터는 화석이 전혀 나오지 않고 있다. 메타세쿼이아가 발견되기 전에는 이 분류군이 마이오세 도중에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며, 발견 후로는 '살아있는 화석'으로 알려졌다.

Remove ads

생김새

Thumb
메타세쿼이아의 잎사귀(대생 잎차례에 주목)

나무껍질과 잎사귀는 세쿼이아속과 비슷한 점이 있으나, 낙우송처럼 활엽수라는 차이가 있다. 메타세쿼이아는 나무껍질과 잎사귀가 세쿼이아속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낙우송 (Taxodium distichum)처럼 활엽수이다. 나이를 먹을수록 나무의 지상부 하단이 두꺼워진다.

메타세쿼이아는 속성수(速成樹)이며 현재까지 재배된 성목 기준으로 나무높이(樹高) 40~50m, 흉고직경 2m이다.[6] 잎은 대생(對生)이며 길이 1~3cm이고, 밝은 상록색을 띠고, 가을에는 적갈색으로 물든다. 암구화수는 길이 6mm이고, 이른 봄에 긴 가시에서 만들어지며, 여름이 더운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에서만 만들어진다. 구과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지름 1.5~2.5cm이고, 실편은 16~28개가 있는데, 우측 각도에서 각 쌍이 인접한 쌍과 직각으로 네 줄씩 반대 쌍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꽃가루받이 후 약 8~9개월뒤에 씨가 여문다.

메타세쿼이아속은 지난 6,600만 년 동안 형태적 정체를 경험해 왔다. 현대의 메타세쿼이아백악기 후기에 살던 조상들과 똑같아 보인다.[7]

Remove ads

연구사

Thumb
에오세 (이퍼르절)의 M. occidentalis 잎가지 일부

메타세쿼이아속의 화석은 1939년에 미키 시게루가 발견한 것이다. 1941년에 미키는 '메타세쿼이아'라는 명칭을 준 이 화석 식물을 기재한 논문을 게재했다. 동 해 겨울에, 중국의 식물학자, 간토(干铎)이 모다오시(磨刀溪, 현재 후베이성의 리촨현에 있는 머우다오(谋道))에서 특이하게 생긴 커다란 나무를 발견했다.[8] 현지에서는 이 나무를 쉬사(水桫, 수소)로 부르고 있었다. 겨울 때문에 나무에는 이미 잎이 없어 결국 표본을 채집하지 못하게 되었다. 1942년에 다른 식물학자인 왕잔(王战)이 모다오시에 방문해 살아있는 표본을 채집했다. 그는 이 나무가 알려진 종인 수송(水松, 학명: Glyptostrobus pensilis)에 속한다고 믿고 표본을 정리했다. 1945년에 왕잔은 이 표본을 또다른 식물학자인 청완춘(郑万钧)에게 보여줬다. 청완춘은 이 나무가 수송에 속하지 않은 대신 신종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는 이후 표본을 판기념생물학연구소장이자 저명한 중국의 식물학자인 후셴수(胡先骕)에게 보냈다. 후셴수는 중일전쟁으로 혼란한 와중에도 여전히 국제 식물학 논문을 추적하고 있었다. 후셴수는 이 생물 표본이 속하는 속이 미키 시게루가 발견한 화석 속인 메타세쿼이아속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했다. 연구가 좀 더 진행된 이후 후셴수와 청완춘은 1948년 5월에 신종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et Cheng)을 판기념생물학연구소의 게시판에 게재하였다. '살아있는 화석'의 발견은 즉각적으로 전 세계의 식물학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는 '20세기 식물학의 가장 위대한 발견'으로 널리 받아들여졌다. 1948년, 하버드대학교아놀드수목원에서 후셴수와 청완춘의 도움으로 중국 수집가들이 씨앗을 채집하는 탐사에 자금을 지원했다. 곧이어 씨앗들이 생장 시험을 위해 전 세계의 여러 대학과 수목원으로 배포되었다.

현재 후베이성 리촨현의 언덕과 습지에는 여러 메타세쿼이아 야생 개체군이 존재한다. 대부분은 나무가 30그루 미만으로 규모가 작지만, 샤오허 계곡의 경우 가장 큰 개체군은 규모가 약 5,400그루로 추정된다.[8] 인접해 있는 후난성에도 몇 그루의 메타세쿼이아가 존재한다고 한다.[8]

사진 갤러리

각주

더 읽어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