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면역억제

면역계 활동의 감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면역억제
Remove ads

면역억제(免疫抑制, 영어: immunosuppression)는 면역계의 활성이나 효능(efficacy)이 감소하는 것이다. 면역계의 일부는 면역계의 다른 부분에 대해 면역억제 효과가 있으며, 면역억제는 다른 상태를 치료하며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1][2]

간략 정보 면역억제, ICD-10-PCS ...

일반적으로 의도적으로 유도된 면역억제는 신체가 장기 이식에 대한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한다.[3] 또한 골수 이식 후 나타나는 이식편대숙주병을 치료하거나 전신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크론병과 같은 자가 면역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약물을 사용하여 수행되지만 비장절제술과 같은 수술, 혈장분리교환법, 방사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면역억제를 받고 있거나 다른 이유로(화학요법을 받고 있거나 HIV 환자인 경우) 면역계가 약한 사람을 면역 저하자라고 한다.[4]

Remove ads

고의로 유도된 경우

Thumb
아자티오프린
Thumb
백혈구와 적혈구

면역억제제는 의도적으로 면역억제를 유도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주로 면역계의 과민성 성분을 표적으로 하는 것이 최적의 상황이다.[5] 면역억제를 필요로 하는 암이 관해(증상이 감소)된 사람들은 재발을 경험할 가능성이 적다.[6] 역사적으로 방사선 치료는 면역계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되었다.[7] Brigham and Women's Hospital의 조지프 머리 박사는 면역억제 연구로 1990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8]

면역억제제는 면역결핍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기회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고, 암에 대한 면역감시를 감소시킬 수 있다.[9] 면역억제제는 자가 면역 질환과 같이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이 일어날 때 처방될 수 있다.[10]

초기 화합물의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었지만, 스테로이드는 확인된 첫 번째 면역억제제의 한 부류였다. 아자티오프린은 1960년에 확인되었지만 1980년 시클로스포린이 발견되며 아자티오프린과 함께 잘 맞지 않는 기증자-수혜자 쌍까지 장기 이식 대상이 크게 확장되었다. 또한 폐 이식, 췌장 이식, 심장 이식[3] 등의 여러 이식에도 적용이 가능했다. 장기 이식 후 신체는 기증자와 수혜자의 사람 백혈구 항원의 차이로 인해 거의 항상 새로운 장기에 대해 거부 반응을 일으킨다. 그 결과 면역계는 새로운 조직을 '이물질'로 감지하여 백혈구로 공격, 제거를 시도하고, 결국 기증된 조직이 사망하게 된다. 거부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투여한다. 그러나 신체는 그러한 치료 과정에서 감염과 악성 종양에 더 취약해진다.[11][12][13]

Remove ads

의도하지 않은 면역억제

Thumb
백혈병

의도하지 않은 면역 억제는 예를 들어 모세혈관확장성 운동실조증, 보체 결핍, 다양한 유형의 이나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와 같은 특정 만성 감염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의도하지 않은 면역억제에서는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고, 결국 면역결핍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1]

또한 많은 면역억제제의 잠재적인 부작용으로 면역결핍이 나타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일반적으로 면역억제(immunosuppression)라는 용어에는 면역계의 기능을 감소시켜 나타나는 유익한 효과와 잠재적인 부작용이 모두 포함된다.[14]

B세포 결핍과 T세포 결핍은 사람이 타고나거나, 후천적으로 나타나는 면역계 장애로, 면역결핍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15] 네젤로프 증후군은 T세포 면역 결핍의 예시 중 하나이다.[16]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추가 자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