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명령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 일본어 용언의 활용형 |
|---|
| 미연형 |
| 연용형 |
| 종지형 |
| 연체형 |
| 이연형/가정형 |
| 명령형 |
일본어의 동사나 형용사 등은 어형 변화를 일으킨다. 활용형은 학교 문법에서 '어형 변화 후의 어형'을 6개로 나눈 것이고, 명령형은 그 중 6번째에 위치한다.
정의
명령형은 청자에게 명령이나 지시를 하는 뜻으로 말의 끝을 마무리할 때 사용되는 어형이다. 토조 기몬의 《일본어 설약도》(일본어: 和語說略圖) (1833년)에서는 희구어로 되어 있지만, 타나카 요시카도의 《소학교 일본 문전》(일본어: 小學日本文典)(1874년)에서는 명령형으로 적혀 있다.
4단동사・ナ변동사 · ラ변동사에서는 이연형과 같고, エ단음으로 되고, 1단동사 · 2단동사에서는 イ단음 혹은 エ단음+'よ(ろ)'가 된다.
한편, 형용사 · 형용동사에서는 'かれ', 'なれ'로 쓰이나, 현대 구어에서는 '大きくなれ', '靜かにしろ'와 같이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서 명령형은 위치하지 않는다.
| 분류 | 문어 | 구어 | |||||||
| 품사 | 활용의 종류 | 어형 | 예시 | 활용의 종류 | 어형 | 예시 | |||
| 동사 | 4단활용 | 書く | かけ | -e | 5단활용 | 書く | かけ | -e | |
| ラ행변격활용 | あり | あれ | -e | ||||||
| ナ행변격활용 | 死ぬ | しね | -e | ||||||
| 하1단활용 | 蹴る | けよ | -eよ | ||||||
| 하2단활용 | 受く | うけよ | -eよ | 하1단활용 | 受ける | うけろ うけよ | -eろ -eよ | ||
| 상1단활용 | 着る | きよ | -iよ | 상1단활용 | 起きる | おきろ おきよ | -iろ -iよ | ||
| 상2단활용 | 起く | おきよ | -iよ | ||||||
| カ행변격활용 | 來 | こ (こよ) | -o (-oよ) | カ행변격활용 | 來る | こい | -oい | ||
| サ행변격활용 | す | せよ | -eよ | サ행변격활용 | する | しろ せよ | -iろ -eよ | ||
| 형용사 | ク활용 | なし | なかれ | かれ | |||||
| シク활용 | 美し | うつくしかれ | しかれ | ||||||
| 형용동사 | ナリ활용 | 靜かなり | しずかなれ | なれ | |||||
| タリ활용 | 堂々たり | どうどうたれ | たれ | ||||||
Remove ads
문제점
명령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1단활용・2단활용・カ변・サ변의 「よ(ろ)」이고, 이것을 조사로 분류하고 제외하면 미연형과 같은 어형이다.
언어학에서 본 명령형
형태론에서 어휘의 변화하지 않는 부분은 어간이라 한다. 거기에 속함으로써 어형에 변화를 가져오고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은 어미라고 부른다. 이에 의하면 일본어 동사는 자음어간동사와 모음어간동사로 나뉜다. 자음어간동사는 4단동사・ラ변동사・ナ변동사를 말하며, 로마자 분석 시 변화하지 않는 어간 부분은 자음으로 끝난다.
모음어간동사는 1단동사・2단동사이다. 문어에서는 어간 모음이 모음 변환을 일으키고, 2개 어형을 가지나, 현대 구어에서는 모음 변환이 일어나지 않고 어간이 일정하다.
이처럼 명령형이란 자음어간동사 (4단동사・ラ변동사・ナ변동사)에서는 모음/e/로 만들어진 어미-e가 어간자음에붙음으로써 만들어진 어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모음어간동사에서는 -jo/-ro 라는 다른 어미가 붙은 것이다.. 또한 이 「よ/ろ」는 각각 거의 서/동일본의 방언형이고, 동국의 「ろ」는 만요슈 시대부터 존재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형용사・형용동사에서 カリ활용이나 ナリ활용이라고 일컫는 활용을 가진다.이는 어간과 어미 사이에 -ar-(あり)가 들어가는 것을 칭한다. 「あり」는 단어로는 존재를 나타내는 어휘이나, 어미로 쓰이면 지정・조정의 문법 기능을 수행한다. 고로 그 활용 또한 자음어간동사 「あり」에 따라 -e에 의한 명령형이 만들어진다.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