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모로코 아랍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Remove ads
모로코 아랍어(아랍어: اللهجة المغربية, 모로코 아랍어: الدارجة المغربية)는 모로코에서 다리자(الدارجة)라고 불리며 모로코에서 사용되는 아랍어의 한 형태이다.[1] 모로코 아랍어는 마그레브 아랍어 방언연속체에 속하며, 알제리 아랍어와는 어느 정도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튀니지 아랍어와는 그보다 덜한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모로코 인구의 약 50~75%가 모국어로 사용한다. 그 외의 모로코 사람들은 대부분 타마지트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교육받은 모로코 타마지트어 구사자는 모로코 아랍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모로코 아랍어는 주로 베르베르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라틴어(아프리카 로망스어), 퓨니크어, 프랑스어, 스페인어의 영향 또한 받았다. 모로코 아랍어와 다른 중동 구어체 아랍어 방언의 차이는 매우 커서, 일부 언어학자들은 모로코 아랍어를 다른 북아프리카 방언과 함께 다른 언어로 분류하기도 한다.[2]
현대 표준 아랍어는 종교 설교, 책, 신문, 정부 커뮤니케이션, 뉴스 방송 및 정치 토크쇼 등 공식적인 상황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지만 일상 생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모로코 아랍어는 모로코 내의 주요한 구어이며 모로코 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영화 및 상업 광고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 모로코 아랍어에는 많은 지역 방언과 억양이 있다. 주가 되는 방언은 카사블랑카, 라바트, 페즈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며, 탕헤르와 우즈다와 같은 다른 지역 방언의 존재감을 약화하고 미디어의 주를 이룬다.
서사하라에서 사용되는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의 하사니아 아랍어(Hassaniya Arabic)는 일반적으로 일부 타마지트어(베르베르어) 어휘가 포함된 별도의 아랍어 변종으로 여겨진다.
Remove ads
방언
모로코 아랍어는 두 그룹 (바누 힐랄의 침공 이전과 이후)에 속하는 여러 아랍어 방언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힐랄 이전 방언
힐랄 방언
음운
요약
관점
모음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