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무릉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무릉군(武陵郡)은 중국의 옛 군현제의 군이다.

전한

고제(高帝)가 고제 5년(기원전 202)에 검중군(黔中郡)의 이름을 무릉군으로 고쳐 설치하였다.[1][2][3] 현대의 연구 결과에 따라 검중군의 실존이 의심되고 동정군의 존재가 확인되면서 무릉군은 동정군을 계승하는 군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형주(荊州)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34,177호에 인구 185,758명이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4]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진다.

자세한 정보 이름, 한자 ...

[1][6]

Remove ads

왕망(王莽) 때는 건평(建平)이라 하였으며,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자세한 정보 전한, 신 ...

후한

요약
관점

후한시기 12개현 46,672호 250,913명의 주민들을 거느렸다. 본군에 살았던 토착 비한족계 민족들은 무릉만(武陵蠻)이라 불렸는데, 왕망신나라건국이후 혼란기를 틈타 한나라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이후 무릉만은 수차례 한조정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고 독자적인 세력권을 차지했다.[7][8]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손오, 서진

263년(손휴 영안 6년) 영양현, 충현, 누중현이 천문군으로 분리되어 군역이 축소되었다. 10현 14,000호를 거느렸다.[9]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명 ...

남조

유송대엔 10현 5,090호 37,555명을 거느렸다. 남제시기에도 영현은 변하지 않았다.[10][11]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명 ...

수당

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원릉현을 비롯한 군의 서부지역이 원릉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창더 시 이남일대로 축소되었다. 을 멸망시킨 뒤 낭주(郎州)가 설치되었다가 이름이 원주(沅州)로 바뀌었다. 2현 3,416호를 거느렸다.[12]

수나라멸망이후 소선(蕭銑)이란 이름의 군벌이 차지했다.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소선을 격파한 뒤 낭주(朗州)를 설치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당나라가 주현제가 아닌 군현제를 실시할 때 무릉군으로 칭했으며, 천보연간에 강남서도에서 산남동도로 소속이 바뀌었다. 758년(당 현종 건원 원년)낭주로 복귀되었다. 당초에는 2현 2,149호 10,913명이, 천보연간에는 9,306호 43,716명을 거느렸다.[13]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