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년(수 양제 대업 3년), 무안군으로 개명되기 이전까지는 명주(洺州)로 불렸다. 8현, 118,595호를 거느렸다.[1]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영년현 |
永年縣 |
한단 시 융녠 구 광부진(廣府鎭) 일대 |
본래 이름은 광평현(廣平縣)이었고 광평군에 속했다. 북제 시기에 북광평군이 폐지되면서 곡량현(曲梁縣)이 통폐합되었다. 개황 초에 군이 폐지되면서 현이 폐지되었다. 그러나 얼마 안 가서 일부 지역이 광평현으로 복치되었고 후에 계택현(雞澤縣)으로 개명되었다. 601년(수 문제 인수 원년)에 광평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무안군을 설치하면서 계택현이 통폐합되었다. |
비향현 |
肥鄉縣 |
한단 시 페이샹 현 |
동위 시기에 폐지되었다가 590년(수 문제 개황 10년)에 복구되었다. |
청장현 |
淸漳縣 |
한단 시 광핑 현 평고점진(平固店鎭) 일대 |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에 신설되었다. |
평은현 |
平恩縣 |
한단 시 취저우 현 동남 남 후촌진(候村鎭) 서북 |
|
명수현 |
洺水縣 |
한단 시 취저우 현 남리악향(南里岳鄕) 일대 |
과거 척장현(斥漳縣)으로 불렸으며 북제 시기에 평은현이 통폐합되었다. 586년에 곡주현(曲周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에 통폐합되었다. |
무안현 |
武安縣 |
한단 시 우안 시 |
590년에 양읍현(陽邑縣)이 신설되었으나 대업 초에 폐지되었다. 유계(榆溪), 알려산(閼與山), 침수(浸水)가 현경 내에 있었다. |
한단현 |
邯鄲縣 |
한단 시 |
동위 시기에 폐지되었다. 596년에 복치되면서 척향현(陟鄉縣)이 신설되었지만 대업 초에 폐지되었다. |
임명현 |
臨洺縣 |
한단 시 융녠 구 |
과거 역양현(易陽縣)으로 불렸으며 북제 시기에 양국현(襄國縣)에 통폐합되었다. 북주 시기에는 양국현이 역양현으로 개명되었고 다른지역에 양국현이 따로 신설되었다. 586년에는 역양현이 한단현으로 개명되었다가 590년에 한단현이 임명현으로 개명되었다. 자산(紫山), 구산(狗山), 탑산(塔山)이 현경 내에 있었다.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