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어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어순(語順, 영어: word order)은 문장이나 어구 속에서 단어와 어절이 정렬되는 방식이다. 문장의 구성요소의 배열순위를 말하여, 어서(語序) 또는 어열(語列)이라고도 한다.
구어(음성 언어)로 얘기를 나눌 때 단어는 하나하나 차례로 발음된다. 구어에서는(수화와 달리) 두 단어를 동시에 발음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단어는 구어나 문장 등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이야기된다. 이는 형태소와 어구 등과 같이 단어보다 작은 단위나 큰 단위에도 해당된다. 형태소도 말도 한번에 하나밖에 발음 할 수 없기 때문에 나열할 때 어떠한 순서로 나란히 발음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어순 유형론
요약
관점
언어유형론에서는 여러 어순이 가능한 경우에는 그 중 하나가 기본 어순(basic word order) 또는 지배적 어순(dominant [word] order)이라고 한다.
라틴어와 핀란드어는 정형적인 어순이 없다. 그러나 경향상 전자가 SOV형, 후자가 SVO형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유연한 어순을 사용하는 언어는 글 속에 있어서 명사의 역할을 표시하는 격을 갖는 것이 보통이다. 또 헝가리어나 체코어처럼, 어순이 주제·초점 등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언어도 있다.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
Dryer(2011a)는 세계 1377개의 언어를 알아보고 가능한 어순이 복수인 경우에는 사용 빈도에 의해 기본 어순을 결정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많은 언어들 중에서 SOV형이 가장 많아 565개이며, 이어서 SVO형이 488개였다. 다른 4가지 유형은 모두 100개 이하였고 VSO형이 95개, VOS형이 25개, OVS형이 11개, OSV형이 4개였다. 같은 정도로 잘 사용되는 어순이 두 개 이상의 언어는 189개이며, 이들은 빈도에 의해서 기본 어순을 결정할 수 없어 분류에서 제외되고 있다.
SOV형은 전세계에 분포하고 있지만 한국, 일본, 동남아·중동을 위시하는 아시아와 뉴기니, 동유럽의 일부 튀르크족의 국가들에서 특히 지배적이다. SVO형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와 중국에서 동남아시아·태평양 서부에 걸친 지역, 유럽에 널리 보인다.
- SOV형: 한국어, 일본어, 튀르크어족, 드라비다어족, 힌디어, 페르시아어, 수메르어, 히타이트어, 엘람어, 아제르바이잔어, 타타르어, 에르자어 등
- SVO형: 중국어(광둥어 등의 여러 방언 포함),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현대 그리스어, 태국어, 과라니어, 스와힐리어 등
- VSO형: 고전 아랍어, 히브리어, 아람어, 페니키아어, 고대 이집트어, 그으즈어, 타갈로그어, 세부아노어, 일로카노어, 마오리어 등
다음 나머지의 주어보다 목적어가 먼저 나오는 경우는 적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Dryer, Matthew S. 2011a. Order of Subject, Object and Verb. Dryer & Haspelmath (eds.) Chapter 81 2011-08-27 열람
- Dryer, Matthew S. & Haspelmath, Martin (eds.) 2011.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Online . Munich : Max Planck Digital Library.
![]() |
이 글은 언어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