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문재인의 대통령 순방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문재인의 대통령 순방 목록이다. 2017년 5월 10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문재인은 총 40개국 58회의 순방을 진행하였다. 국가별 순방 횟수는 다음과 같다.
- 8회: 미국
- 2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주 1],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러시아,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영국, 이탈리아, 바티칸 시국
- 1회: 노르웨이, 뉴질랜드, 덴마크, 독일,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벨기에,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스페인, 아르헨티나, 오스트리아, 우즈베키스탄, 이집트, 인도, 인도네시아, 체코, 카자흐스탄, 캄보디아, 투르크메니스탄, 파푸아뉴기니, 프랑스, 핀란드, 필리핀, 헝가리, 호주

순방 목록
2017년
자세한 정보 나라, 장소 ...
| 나라 | 장소 | 일자 | 세부 내용 | 사진 |
|---|---|---|---|---|
| 워싱턴 D.C. | 6월 28일~7월 3일 | 공식 실무 방문.[1] | ||
| 베를린, 함부르크 | 7월 5일~7월 8일 | 2017년 함부르크 G20 정상회의 참석. 독일의 연방총리 앙겔라 메르켈,[2]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 시진핑[3] 인도의 총리 나렌드라 모디, 오스트레일리아의 총리 맬컴 턴불, 프랑스의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인도네시아의 대통령 조코 위도도, 캐나다의 총리 쥐스탱 트뤼도와 정상회담.[4] 베를린 구상 발표.[5] | ||
| 블라디보스토크 | 9월 6일~9월 7일 | 공식 방문. 동방경제포럼 참석. 러시아의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6]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와 정상회담.[7] | ||
| 뉴욕 | 9월 19일~9월 21일 | 실무 방문. 유엔 총회 참석 및 기조연설.[8] 영국의 총리 테리사 메이, 체코의 대통령 밀로시 제만, 세네갈의 대통령 마키 살,[9] 미국의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와 정상회담.[10] | ||
| 자카르타 | 11월 8일~11월 10일 | 국빈 방문.[11] | ||
| 다낭 | 11월 10일~11월 12일 | 2017년 다낭 APEC 정상회담 참석. 베트남의 주석 쩐다이꽝,[12]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 시진핑과 정상회담.[13] | ||
| 마닐라 | 11월 12일~11월 14일 | 동아시아 정상회의 참석. 필리핀의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14] 싱가포르의 총리 리셴룽과 정상회담.[15] | ||
| 베이징시, 충칭시 | 12월 13일~12월 16일 | 국빈 방문.[16] |
닫기
2018년
자세한 정보 나라, 장소 ...
닫기
2019년
자세한 정보 나라, 장소 ...
닫기
2021년
자세한 정보 나라, 장소 ...
| 나라 | 장소 | 일자 | 세부 내용 | 사진 |
|---|---|---|---|---|
| 워싱턴 D.C. | 5월 20일~5월 22일 | 공식 실무 방문.[70] | ||
| 세인트아이브스 | 6월 11일~6월 13일 | 제47회 G7 정상회담 참석. 오스트레일리아의 총리 스콧 모리슨, 독일의 연방총리 앙겔라 메르켈, 유럽 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 샤를 미셸, 영국의 총리 보리스 존슨, 프랑스의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71] 유럽 집행위원회 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과 정상회담.[72] | ||
| 빈 | 6월 13일~6월 15일 | 국빈 방문.[73] | ||
|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 6월 15일~6월 17일 | 국빈 방문.[74] | ||
| 뉴욕, 호놀룰루 | 9월 19일~9월 23일 | 실무 방문. 유엔 총회 참석 및 기조연설. 영국의 총리 보리스 존슨, 베트남의 주석 응우옌쑤언푹과 정상회담.[75] | ||
| 바티칸 시국 | 10월 29일 | 공식 방문.[76] | ||
| 로마 | 10월 30일~10월 31일 | 2021년 로마 G20 정상회의 참석. 유럽 집행위원회 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77] 프랑스의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78] 오스트레일리아의 총리 스콧 모리슨,[79] 독일의 연방총리 앙겔라 메르켈과 정상회담.[80] | ||
| 글래스고 | 11월 1일~11월 2일 | 2022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 참석.[81] | ||
| 부다페스트 | 11월 2일~11월 4일 | 국빈 방문. 헝가리의 총리 오르반 빅토르, 슬로바키아의 총리 에두아르드 헤게르, 폴란드의 총리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체코의 총리 안드레이 바비시와 정상회담.[82] | ||
| 캔버라, 시드니 | 12월 12일~12월 15일 | 국빈 방문.[83] |
닫기
2022년
Remove ads
다자 회담
문재인이 참석한 다자 정상회담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기구, 연도 ...
| 기구 | 연도 |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 유엔 총회 | 9월 19일~9월 21일 | 9월 24일~9월 27일 | 9월 23일~9월 25일 | 화상 개최[주 2] | 9월 19일~9월 23일 |
| 한중일 | 미개최 | 5월 9일 | 12월 24일 | 미개최 | 미개최 |
| APEC | 11월 10일~11월 11일 | 11월 17일~11월 18일 | 취소[주 3] | 화상 개최[주 2] | 화상 개최[주 2] |
| ASEM | 미개최 | 10월 18일~10월 19일 | 미개최 | 연기[주 4] | 화상 개최[주 2] |
| EAS (ASEAN) | 11월 13일~11월 14일 | 11월 14일~11월 15일, | 11월 4일 | 화상 개최[주 2] | 화상 개최[주 2] |
| G20 | 7월 7일~7월 8일 | 11월 30일~12월 1일 | 6월 28일~6월 29일 | 화상 개최[주 2] | 10월 30일~10월 31일 |
| P4G | 미개최 | 10월 19일~10월 20일 | 미개최 | 연기[주 4] | 화상 개최[주 2] |
닫기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