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문천회맹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문천회맹(蚊川會盟)은 임진왜란 영남 의병장들의 맹약이다.

의의

문천회맹임진왜란 발발로 영남의 요처들이 왜군에게 침탈되자, 경주를 중심으로 영남 각지에서 거병한 유현(儒賢) 등 의병장들이 경주부윤 윤인함과 판관 박의장을 필두로 1592년 6월 9일[1] 경주 문천에 모여 마혈(馬血)을 나누어 마시고 민군이 합세하여 결사항전을 다짐했던 회합이다. 1593년 2월 문경당교회맹(唐橋會盟), 1593년 10월 언양구강회맹(鷗江會盟), 1596년 3월 대구팔공산회맹(八公山會盟), 1597년 7월의 화왕산회맹(火旺山會盟)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문천회맹에 참여했던 의병장들 중 살아남은 다수가 구강회맹, 팔공산회맹화왕산회맹에 참여하였다.[2]

문천(蚊川)은 경주의 남쪽을 흐르는 하천으로 남천이라고도 부른다.

문천회맹록

문천회맹록(蚊川會盟錄)은 여러 본이 있는데, 동엄실기(東广實紀)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3]

  • 경주(慶州) 윤인함(尹仁涵)[4], 이계수(李繼秀), 견천지(堅川至), 이삼한(李三韓), 이태립(李台立), 김응생(金應生), 김득복(金得福), 황희안(黃希安), 김득추(金得秋), 최계종(崔繼宗), 권응생(權應生), 백이소(白以昭), 이용갑(李龍甲), 이여량(李汝良), 최해남(崔海南), 이팽수(李彭壽), 이눌(李訥), 손시(孫時), 최봉천(崔奉天), 손엽(孫曄), 김홍위(金弘煒), 김이관(金以寬), 권사악(權士諤), 김천석(金天錫), 김몽량(金夢良), 이원명(李元明), 서사적(徐思迪), 김춘룡(金春龍), 김광복(金光福), 이승급(李承級), 김란서(金鸞瑞), 이방린(李芳隣), 김득상(金得祥), 이몽룡(李夢龍), 박영립(朴榮立), 박인국(朴仁國), 황희철(黃希喆), 이창후(李昌後), 김만령(金萬齡), 김영수(金永壽), 오열(吳悅)
  • 영해(寧海) 박의장(朴毅長)[5], 백중립(白中立)[6]
  • 울산(蔚山) 유정(柳汀), 이경연(李景淵), 서인충(徐仁忠), 이승금(李承金), 이우춘(李遇春), 장희춘(蔣希春), 김흡(金洽), 윤홍명(尹弘鳴), 전응충(全應忠), 이봉춘(李逢春), 이응춘(李應春), 박언복(朴彦福), 김득례(金得禮), 박인립(朴仁立).[7]
  • 영천(永川) 조이함(曺以咸), 조이항(曺以恒), 조이절(曺以節), 정사진(鄭四震), 정세아(鄭世雅), 정의번(鄭宜藩)[8], 전삼익(全三益), 조시언(趙時彦), 조덕기(曺德驥), 조경(曺瓊), 서도립(徐道立), 이지효(李止孝), 조준기(曺俊驥)[9]
  • 대구(大邱) 최동보(崔東輔)
  • 연일(延日) 김천목(金天穆), 정대용(鄭大容), 안신명(安信命), 심희청(沈希淸), 김현룡(金見龍), 권여정(權汝精), 김원룡(金元龍), 김우정(金宇淨), 김우결(金宇潔)
  • 장기(長鬐) 서방경(徐方慶), 이대임(李大任), 서극인(徐克仁)
  • 흥해(興海) 박몽서(朴夢瑞), 정인헌(鄭仁獻), 호신수(扈臣秀)[10], 최흥국(崔興國), 이대립(李大立), 정삼외(鄭三畏), 정삼계(鄭三戒), 이화(李華), 이대인(李大仁), 진봉호(陳奉扈), 정삼고(鄭三顧)
  • 동래(東萊) 박희근(朴希根), 이인의(李仁宜), 양통한(梁通漢)
  • 양산(梁山) 이몽란(李夢鸞), 안근(安瑾), 정호의(鄭好義), 정호인(鄭好仁), 최기(崔沂)[11]
Remove ads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