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문화막시즘

마르크스주의 집단의 총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문화막시즘
Remove ads

마르크스주의 문화 분석( - 主義 文化分析, 영어: Marxist cultural analysis)은 문화 헤게모니 이론의 관점에서 자본주의 하의 이익 추구와 대량생산되는 문화의 측면을 분석하는 문화분석반자본주의적 문화 비평의 양식을 뜻한다.[1][2][3]

이러한 분석의 원류적 이론은 서구마르크스주의 내의 주요 경향을 대표하는 프랑크푸르트 학파루카치 죄르지, 안토니오 그람시와 연관된다. 마르크스주의 문화 분석은 "문화 산업"(영어: culture industry, 독일어: kulturindustrie)이 수행하는 문화의 산업화, 대량생산, 기계적 재생산이 사회에 개인의 자기인식을 물화하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여긴다.[3]

마르크스주의 문화 분석의 전통은 문화에 대한 마르크스의 사고를 인용하며 문화마르크스주의(文化Marx主義, 영어: Cultural Marxism)로도 불린다.[4] 그러나 1990년대부터 "문화마르크스주의"는 마르크스주의적인 문화 분석과 무관하게 극우에서 유행하는 문화마르크스주의 음모론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다.[5]

Remove ads

배경과 역사

우리는 마르크스 용어로 "사회적 관계들의 총체(ensemble)"이고, 자본주의적 생산 및 복제 양식의 역사적 특수성을 다함께 정의하는 계급적으로 밀접한 구조, 그것에 기초한 다수의 서로 다른 사회적 관계들의 교차로 중심에서 우리는 우리 삶을 살고 있으며, 또한 그 분명한 현현의 근원이 되고 있다.
 
마르사 기메네즈, "마르크스주의와 계급, 성, 그리고 인종: 3부작에 대한 재고"[6]


비평이론가인 더글라스 캘너 UCLA 교수에 따르면, "루카치 죄르지, 안토니오 그람시, 에른스트 블로흐, 발터 벤야민, 그리고 테오도어 아도르노에서 프레드릭 제임슨테리 이글턴에 이르기까지, 많은 20세기마르크스 이론가들이 맑스 이론생산, 사회·역사와의 교차, 그리고 대중 및 사회적 생활에 대한 영향력과 관련한 문화 형식의 분석에 이용했다."[7][8] 비록 전세계 학자들이 문화적 인공물들의 분석을 위해 마르크스의 여러 가지 사회 비평을 채택해왔지만,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요한 볼프강 괴테 대학교의 사회연구소(Institut für Sozialforschung), 그리고 영국 버밍햄 대학현대문화연구센터(CCCS) 두 곳의 연구기관이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