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문화재

문화 유산을 대표하는 건축물과 저작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문화재
Remove ads

문화재(cultural property)는 덜 실체적인 문화 표현과 대비되는, 집단이나 사회의 문화유산의 일부를 이루는 물리적 항목들을 의미한다.[1][2] 여기에는 문화 경관, 역사적 건물, 미술품, 유적뿐만 아니라 도서관, 기록 보관소, 박물관의 소장품 등이 포함된다.

Thumb
잘츠부르크 건물에 부착된 연방기념물사무소 명판. "문화재"를 네 가지 언어(독일어: Kulturdenkmal, 영어: Cultural property, 프랑스어: Bien culturel, 러시아어: Культурное достояние)로 표기하고 있다.

문화재는 여러 국제 협약과 국내법에 의해 법적으로 보호받는다. 유엔, 유네스코, 블루 실드 인터내셔널 간에는 문화재 보호를 위한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3][4][5]

Remove ads

정의

이 용어는 19세기에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1891년 미국 수산위원회의 게시판은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를 포함한 여러 국가의 어업 관련 문화재와의 관계를 설명했다.[6] 1899년에는 네덜란드의 굴 어업 맥락에서도 사용되었다.[7]

문화재에 대한 보편적으로 합의된 정의는 없다.[8] 널리 사용되는 정의 중 하나는 1954년 무력 충돌 시 문화재 보호를 위한 헤이그 협약 제1조에 제공되어 있다.[9]

"'문화재'라는 용어는 기원이나 소유권에 관계없이 다음을 포함한다.
(a) 모든 민족의 문화유산에 중요한 이동 또는 고정 재산으로서, 종교적이든 세속적이든 건축, 예술 또는 역사의 기념물; 고고학 유적지; 전체적으로 역사적 또는 예술적 가치를 지닌 건물군; 예술 작품; 필사본, 서적 및 기타 예술적, 역사적 또는 고고학적 가치를 지닌 물건; 과학 컬렉션 및 중요한 서적 또는 기록 보관소 컬렉션 또는 위에 정의된 재산의 복제품;
(b) 박물관, 대규모 도서관 및 기록 보관소, 무력 충돌 시 위에 정의된 이동 가능한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한 피난처와 같이 위에 정의된 이동 가능한 문화재를 보존하거나 전시하는 것이 주된 효과적인 목적인 건물;
(c) 위에 정의된 (a) 및 (b)항에 따라 대량의 문화재를 포함하는 센터로, '기념물을 포함하는 센터'로 알려진다."

문화유산은 '문화 표현의 가장 두드러진 형태'로 묘사되어 왔으며, '전통 춤, 관습 및 의식'과 같은 유형 및 무형의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10] 문화재는 문화를 결정하고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문화의 필수적인 요소이다.[10]

Remove ads

상징

Thumb
블루 실드는 무력 충돌 시 보호되어야 할 문화재와 이를 보호하는 책임자를 식별하는 보호 상징이다. 그 사용은 국제인도법에 의해 제한된다. 1954년 무력 충돌 시 문화재 보호를 위한 헤이그 협약은 이 로고를 설명하고 그 사용 조건을 명시하고 있다.

협약 제16조는 문화재에 대한 국제적으로 인정된 표시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 협약의 고유한 상징은 아래가 뾰족하고 파란색과 흰색이 엇갈린 방패 형태를 취한다(방패의 한 각이 뾰족한 부분을 이루는 로열 블루 사각형과 그 위에 로열 블루 삼각형으로 구성되며, 양쪽 공간은 흰색 삼각형으로 채워짐).
이 상징의 사용은 국제인도법에 의해 제한된다. 상징 사용에 대한 지침은 블루 실드유네스코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역사

1998년과 1999년 국제 박물관의 날 주제는 "문화재 불법 거래와의 싸움"이었다.[11]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