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사달멜리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사달멜리크(Sadalmelik)는 물병자리에 있는 별로, 지구에서 760광년 떨어져 있다. 바이어 명명법에 따르면 물병자리 알파(α Aqr, α Aquarii)로 표기한다. ‘사달멜리크’는 아랍어로 ‘왕의 행운’이라는 뜻이다. 이 별의 겉보기 등급은 2.94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르면 알파별이나[6] 실제로는 베타별 사달수드에 이어 물병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다. 히파르코스의 시차 자료에 따르면 사달멜리크까지의 거리는 약 520광년이다.[5]
Remove ads
Remove ads
특징
이 별의 나이는 5천 3백만 년으로[10] 항성 진화에서 초거성 단계로 진입했으며 분광형은 G2 Ib이다. 따라서 이 별의 표면 온도는 태양과 비슷하며 흔치 않은 황색 초거성이다.[10] 초거성의 진화과정 중 태양과 비슷한 유효온도를 보여주는 때를 황색진화공백(yellow evolution void)으로 부르는데, 그 이유는 이 온도에서 거성은 불안정하여 오래 머무르지 않으므로 관측할 수 있는 대상이 많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질량은 태양의 6.5배이며[10] 반지름은 태양의 77배까지 부풀어 올라 있다.[11] 표면 온도는 태양보다 낮은 5,210 켈빈이나 에너지를 뿜는 영역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밝기는 태양의 3천 배에 이른다.[10][9] 이 정도 온도에서 사달멜리크는 우리 눈에 노란 빛을 뿜는 것처럼 보인다.[12]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의 관측 결과 이 별은 평범한 G형 주계열성에 비해 엑스선 방출량이 현저하게 적었다. G형 거성들은 보통 이렇게 엑스선을 거의 방출하지 않는다.[8]
사달멜리크로부터 각거리 110.4초각 위치에 안시 동반성 CCDM J22058-0019B이 있는데 밝기는 12.2등급이며 위치각은 40도이다.[3]
Remove ads
문화
이 별의 고유명칭 ‘사달멜리크’는 아랍어 표현 سعد الملك(‘사드 알-말리크’)에서 왔는데 ‘왕의 행운’이라는 뜻이다. 울루그 베그는 이 이름을 물병자리 오미크론과 사달멜리크 두 별을 부르는 명칭으로 기록했다. ‘루크바’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카시오페이아자리 델타도 루크바 명칭을 함께 쓴다.[4] 사달멜리크는 천구 적도로부터 1도 이내에 있는 항성들 중 고대로부터 불리던 애칭이 있는 두 별 중 하나이다. 아랍어 이름의 유래는 역사에서 찾아볼 수 없다.[9]
사달멜리크는 동아시아 별자리 위수(危宿)에 속해 있다. 위수를 구성하는 별들은 사달멜리크, 페가수스자리 세타, 페가수스자리 엡실론이다.[13] 사달멜리크 자체의 명칭은 위수일(危宿一)이며 ‘위수의 첫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14]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